제목 국내외 게임산업 트렌드(2022년 01·02월)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128
용량 9.47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내외 게임산업 트렌드(2022년 01·02월).pdf 9.4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10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122 

[ 목 차 ]

 

1. 글로벌 이슈 포커스

 2021년 게임산업 주요 이슈 결산 및 전망

  1. 게임산업의 변곡점이 될 2021년

  2. 메타버스 트렌드로 확대된 게임산업의 가능성

  3. 확률형 아이템에서 P2E 게임으로

  4. 역동성 회복한 콘솔업계

  5. 게임산업에서도 중요성 커지는 ESG

  6. 니치시장에 머문 구독서비스와 VR

 

2. 글로벌 게임산업 동향

  [시장] 숫자로 보는 2021년 게임시장

  [시장] e스포츠, 암호화폐와 기성 스포츠 인사 등 새로운 이해관계자들 가세 중

  [기술] UCC형 인터랙티브 게임 제작 플랫폼 ‘리치캐스트’

  [사회문화] 북미 최초의 게임 스튜디오 노조 출범, 게임산업의 노조 확산 예고

  [정책] 모든 디지털 미디어 이용장애의 기준점이 될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BM] 차세대 관전 모드, 대기 시간이 아닌 새로운 수익 창출 공간으로 진화

  [기업] 징가, 블록체인 게임에서도 리더십 발휘할까

 

3. 글로벌 이머징마켓

  [지역] 인도 게임 시장 총아로 떠오른 모바일 e스포츠

  [지역] 동남아시아 e스포츠 시장 성장세

 

4. 게임 캘린더

  [리뷰] 세계 최대 게임 시상식 TGA 2021

  [프리뷰] 오프라인으로 돌아온 GDC 2022

 

5. 부록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산업 관련 보고서 목록(2017~2021)

  콘텐츠정책금융제도 안내

 


 

2020년 게임산업은 코로나19로 전례 없는 호황을 경험했다. 2021년은 전년도의 게임산업에 대한 관심이 이어진 한 해이며, 게임산업 내적으 로는 미래를 위한 준비가 진행된 해이다. 메타버스가 시대적 화두로 부 상하며 게임이 가능성 높은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주목받았고, 게임 엔 진 등 게임 기술의 활용성이 부각되었다.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규제 움 직임이 가시화되는 상황 속에서 P2E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제시 되었으며, NFT와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었다. 2020년 촉 발된 콘솔 게임 시장의 훈풍은 주요 콘솔 사업자들의 공격적인 전략 전 개를 가능하게 했다. 훗날 게임산업 변곡점으로 기록될 가능성이 있는 2021년의 주요 이슈들의 현황과 전망을 살펴본다. 1. 게임산업의 변곡점이 될 2021년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은 게임을 온라인으로 사람들과 만날 수 있는 수단이자 집 안에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로 자리매김하 게 했다. 청년 남성이라는 게임 이용자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 이미지도 깨졌다. 이전보다 더 다양한 사람들이 게임을 즐기게 되었으며,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상당히 개선되는 효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게임산업의 문제들도 두드러졌다. 원격근무로 전환하는 과정에 서 콘텐츠 파이프라인이 손상되었다. 다양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게 임 콘텐츠와 게임산업의 행태들도 표면에 드러났다.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문제도 규제가 필요한 사회적 문제로 부상했다 2021년에도 경향은 이어졌다. 더 많은 사람들을 이용자로 포섭하기 위 한 게임산업의 노력이 이어지며 게임산업의 양적 성장도 이어졌다. 게 임 생산 및 소비 주체로서 여성은 더욱 부각되었으며, 다양성에 대한 인 식도 점점 더 강조되었다. 이와 함께 P2E 모델과 NFT 게임 등 새로운 이슈도 발생했다. 확률형 아이템의 문제로 불거진 게임 비즈니스 모델 이슈가 메타버스와 블록 체인이라는 트렌드와 결합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주요 콘솔 사업자들은 게임 스튜디오 인수에 나서며 콘텐츠 파이프라인을 확충했 으며, 블리자드(Blizzard) 사태를 계기로 게임산업의 문화 개선을 위한 움직임도 활발해지고 있다. 즉, 2020년 대두된 게임산업의 현안을 풀어 감과 동시에 미래를 위한 비즈니스 전환 작업이 시작된 것이다. 2. 메타버스 트렌드로 확대된 게임산업의 가능성 일상 전반의 디지털화와 융합을 추구하는 메타버스는 시대적 화두로 떠올랐다. 특히 게임은 메타버스 플랫폼으로서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 다.1 게임이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발전할 경우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 을 만큼 다양한 사업이 가능해진다. 다양한 게임 서비스가 메타버스를 표방하는 가운데 와 의 메 타버스 플랫폼으로서의 입지는 좀 더 강화되고 있고, 게임 엔진이 메타 버스 구축을 위한 기반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2.1. 가장 활성화된 메타버스 플랫폼 2021년 3월 직접 상장(DPO)한 는 10대 이용자가 대다수라 는 점에서 한계가 뚜렷하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그러나 메타버스 플랫 폼으로 기대받는 서비스 중 가장 활성화된 커뮤니티를 확보하고 꾸준 히 준수한 실적을 기록하며 회의적인 평가를 이겨내고 있다. 의 2021년 2분기 DAU는 4,320만 명이었으며, 3분기에는 4,700만 명을 돌파했다.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26% 증가한 것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448 성장동력산업 2021 e-Sports 정책연구 7도토리 류지원
2447 성장동력산업 이야기 IP 성공사례 케이스 스터디 7도토리 민준석
2446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방송 프로그램 외주 제작 거래 동향 보고서 7도토리 민준석
2445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 정의 및 국내외 시장 분석 120도토리 노민우
2444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이차전지 소재 분야 시장분석 120도토리 노민우
2443 성장동력산업 각 분야별 이차전지 산업 및 시장 분석 120도토리 노민우
2442 성장동력산업 2021 방송 제작 근무 여건 실태 조사 7도토리 이지훈
2441 성장동력산업 2021 대중문화 및 예술산업 실태조사 7도토리 이지훈
2440 성장동력산업 음악산업 실태 조사 및 분류체계 개발 연구 7도토리 이지훈
2439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게임 업계 종사자 근로 환경 실태 보고 7도토리 정한솔
2438 성장동력산업 2021 콘텐츠 이용 시 피해 실태조사 7도토리 정한솔
2437 성장동력산업 2021 게임 유저 대상 임상의학 코호트 연구 7도토리 노민우
2436 성장동력산업 콘텐츠 국제 교류와 무역 현황 연구 : ASEAN 6개국을 중심으로 7도토리 노민우
2435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노동시간 감축 영향 분석 7도토리 최민기
2434 성장동력산업 2021 글로벌 시장의 한국 게임 유저 조사(중남미) 7도토리 최민기
24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불확실성속저평가주찾기 3도토리 최민기
243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대한제강 업황도 좋은데 대규모 자사주 매입까지 1도토리 안소영
243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삼성화재 보험손익 개선추세 일단락 1도토리 안소영
243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국콜마 2022 년 이익 모멘텀 최대 1도토리 안소영
242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DB손해보험 차별화된 비용 관리로 호실적 달성 1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