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中 당국의 고강도 산업 규제가 韓中 콘텐츠 사업에 끼치는 영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46
용량 2.24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中 당국의 고강도 산업 규제가 韓中 콘텐츠 사업에 끼치는 영향.pdf 2.2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1-09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21 

[ 목 차 ]

 

Ⅰ. 서론 

 

Ⅱ. 중국 최신 콘텐츠 규제의 특징

1. 성숙기에 접어든 빅테크 기업의 통제

2.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온라인 활동 단속

3. 사회주의 가치관의 선양을 위한 콘텐츠 내용 규제 강화

 

Ⅲ. 향후 한중 콘텐츠 비즈니스 전망

1. 중국 콘텐츠 기업의 한국 기업 투자 및 협업 방향 변화

2. 중국의 콘텐츠 내용 검열에 따른 제작·유통의 불확실성 증가

3. 콘텐츠 수출 제약에 따른 불법유통 피해

 

Ⅳ. 한중 콘텐츠 비즈니스 관련 시사점

 


 

■ ’21.8월 말부터 중국 내 문화산업, 인터넷과 관련해 중국 당국이 고강도 규제를 연이어 발표하고 있음. 공산당 창당 100주년(’21년)을 맞아 발표된 새로운 5개년 경제발전 계획 및 15년 중장기 목표와 연관된 조치라는 점에서, 각 규제가 대두한 구체적인 배경과 동향을 분석하고, 한중 콘텐츠 비즈니스 협업과 대중국 수출에 미칠 영향 및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함 ■ 최근의 중국 콘텐츠 규제는 ▲성숙기에 접어든 빅테크 기업에 대한 정부의 관리 강화,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건전한 온라인 여론 형성과 인터넷 문화 전파, ▲온라인 여론의 사회주의 가치관 선양을 위한 콘텐츠 내용 규제 강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 이러한 중국 당국의 규제는 한중 콘텐츠 비즈니스 및 대중국 수출 방식에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전망됨. 관련해 ▲규제 우회를 목적으로 한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및 투자, ▲콘텐츠 내용 검열 강화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 ▲한국 콘텐츠 정식유통 제약에 따른 불법유통 증가가 예상됨 ■ 중국의 규제 강화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한국 콘텐츠의 유통 지역 및 채널 다각화, ▲한중 협업 및 중국 수출과 관련한 위험요소 관리, ▲중국 내 한국 콘텐츠 저작권 침해 대응을 위한 한중 공조 및 분쟁해결 지원 체계 강화, ▲한중 우호 관계의 지속적인 유지를 통한 중국 내 한류 확산 지체요인 관리와 같은 산업적,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임 통권 136호 | 중국의 고강도 산업규제가 한중 콘텐츠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 2 Ⅰ. 서론 : 한중 콘텐츠 교류의 상반된 시그널 - 한한령 완화 조짐과 중국내 규제 강화 n (양국 관계) 한중 수교 30주년(’22년)과 맞물려 ’20년부터 한한령 해제 분위기가 고조됨 - 게임, 음악, 영상물 등 주요 한류 콘텐츠에 대한 유통허가가 일부 이루어졌으며 중국 콘텐츠 기업과의 제휴 관련 제한도 완화되는 조짐을 보임 Ÿ (게임) ▲’20.12월 컴투스 한한령 후 외자판호 첫 허가, ▲’21.2월 핸드메이드의 신규 게임 외자판호 발급, ▲’21.6월 펄어비스 외자판호 승인 Ÿ (음악) ▲’20.5월 지드래곤, 한한령 이후 첫 한국 연예인 광고모델 발탁, ▲ 등 최신 한국 드라마 OST 중국판 리메이크, ▲’20.12월 BTS 중국 라디오 첫 방송 Ÿ (영화) ▲’21.3월 EXO 세훈 주연 합작영화 극장상영 허가 Ÿ (방송) ▲’20.9월 리메이크작 제작 후 2년 만에 중국 방영, ▲’21.2월 KBS-CCTV 제휴 - 한중 수교 30주년 기념을 위한 ‘2021-2022 한중 문화교류의 해’ 선포에 따라 양국 간 인적 교류, 콘텐츠 교류 및 공동제작 사업도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 Ÿ ’21.9월 중국 왕이 외교장관 방한 계기, 한중 교류 추진 공식 협의채널로 ‘한중 인문교류 촉진위원회’ 설립, ‘문화교류의 해’ 이행방안 발표 Ÿ 문화, 청소년, 지방 교류 포괄하는 ‘한중 문화교류의 해 사업목록’ 160건 채택 * 콘텐츠 분야 주요 사업 : ▲저작권 포럼, ▲언론인, 방송인 교류, ▲콘텐츠 제작 교류 및 공모전, ▲주요 영화제 교류 프로그램, ▲한중 우정 콘서트, ▲다큐 공동 촬영 등 (출처 : , 외교부 2021.09.15일자 보도자료 [붙임2] 발췌) n (중국산업의 변화) ’21.8월 말부터 중국 내 문화산업, 인터넷 관련 중국 당국의 고강도 규제 발표 - ’20년 중국공산당 19기 제5차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중국의 향후 발전 목표를 담은 「제14차 5개년 규획(2021~25)」(「14.5 규획」)과 2035년 장기 목표에 대한 건의 통과. 이후 ’21년 각 정부부처 및 기관별로 이와 관련한 세부 추진 방안을 구체화하고 있음 ※ 문화분야 과제 및 주요 추진 정책 1) 국민 의식 개선 - 시진핑 정부의 중국 특색 사회주의 연구 및 교육, 이념 교육 제도화 - 공산당사·신(新)중국사·개혁개방사·사회주의 발전사 및 애국주의·집체(集体)주의·사회주의 교육 강화 - 문화예술인 육성, 공중도덕 함양, 자원봉사체계 수립 및 이행, 신용사회 건설, 건전한 인터넷 문화 발전 추진 2) 문화서비스 질적 제고 - 출판·언론 및 방송·문화예술·철학 등 문화사업 발전 촉진, 문화·예술창작품 질적 제고 - 주요 미디어와 지방 미디어 간의 연계 강화, 대중 문화사업 확대, 문화시설 건설, 도농간 공공문화 서비스 시스템 통합 추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429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게임산업 트렌드(2022년 11·12월) 7도토리 김민성
2428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게임산업 트렌드(2022년 01·02월) 7도토리 김민성
2427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metaverse)와 콘텐츠 3도토리 민준석
2426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콘텐츠: 개념, 예시 및 현재 제도적 과제 연구 3도토리 정한솔
» 성장동력산업 中 당국의 고강도 산업 규제가 韓中 콘텐츠 사업에 끼치는 영향 3도토리 정한솔
2424 성장동력산업 자동차산업 2021 3분기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423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소매유통 및 관광업 동향 및 전망 3도토리 조정희
2422 성장동력산업 2022년 반도체산업 수출 전망 1도토리 나혜선
2421 성장동력산업 연료전지 개요와 현황 1도토리 장민환
2420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석유가스 산업의 에너지 전환 대응 전략 3도토리 황세영
2419 성장동력산업 2021년 3분기 석유·가스 시장 분기보고서 1도토리 황세영
2418 성장동력산업 2021년 3분기 태양광 산업 동향 1도토리 조정희
2417 성장동력산업 2021년 4분기 석유·가스 시장 분기보고서 1도토리 장민환
2416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하반기 해외건설업 현황 3도토리 조정희
2415 성장동력산업 중형조선산업 동향 2021년도 상반기 1도토리 조정희
2414 성장동력산업 해운조선업 2021 3분기 동향 및 2022 전망 3도토리 조정희
2413 성장동력산업 해운 조선업 2021년 및 2021년 4분기 동향과 2022년 전망 3도토리 장민환
2412 성장동력산업 정밀 제어가 가능한 로봇손 1도토리 장민환
2411 성장동력산업 멀티에이전트 기반 엣지연계 도심형자율주행 서비스검증용 시뮬레이션 SW 기술 1도토리 황세영
241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관련 국내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동향 분석 1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