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Spiking Neural Network 기반 인공지능 반도체: 이것이 답일까?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79
용량 1.1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Spiking Neural Network 기반 인공지능 반도체 이것이 답일까.pdf 1.1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1 

뉴로모픽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뇌와 같은 인공지능을 추구하는 연구로서, 이를 위한 주요 원칙(principle)들 로 ① Fine-grained Parallelism, ② Event-driven computation, ③ Adaptive, self-modifying을 표방하고 있다. 이들 원칙들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기술로서 스파이킹 뉴럴 네트워크(Spiking Neural Network: SNN) 기반의 뉴로모픽 연구가 현재 산업계, 학계 모두의 각광을 받고 있다. 본 고에서는 SNN 연구의 기본 철학, 연구 역사 및 반도체 구현 기술에 대한 소개를 시작으로 SNN 기반 뉴로모픽 연구의 난제들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고의 저자들이 지금까지 수행해온 SNN 기반 뉴로모픽 연구를 소개하고 향후 계획을 공유함으로써 SNN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과 소통하려 한다. 그리고 SNN이 궁극적으로 인공지능 반도체에서 갖는 의미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해보고자 한다. I. 서론 바야흐로 인공지능(AI)의 시대이다. 알파고의 센세이션과 함께 이 새로운 시대의 장이 열 렸고, 대중의 폭발적인 관심과 학계, 산업계의 전폭적인 지지 아래 현재 인공지능은 최고의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의 번영을 이끈 최고 주역은 딥러닝(deep learning) 이라고 하는 수학적 알고리즘과 이를 가속 처리하기 위한 딥 뉴럴 네트워크(Deep Neural Network: DNN) 하드웨어의 발전이다. 이들은 이전의 컴퓨팅 기술로는 해석할 수 없던 데이터들을 해석해주고, 오랜 시간이 걸리던 문제를 순식간에 풀어주며, 예측의 정확도를 크게 개선시키는 등 고성능 컴퓨팅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었고, 기술 기대치가 [그림 1]의 * 본 내용은 이우주 교수 (☎ 02-820-5961, space@cau.ac.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Spiking Neural Network 기반 인공지능 반도체: 이것이 답일까? Chapter 01 기획시리즈-인공지능 반도체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 가트너 조사와 같이 최고조에 이른 상태이다. 사회 전반에 걸쳐, 이제 인공지능은 마치 고성능 컴퓨팅을 일컫는 것처럼 여겨지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대부분의 사람들은 알파고를 통해 인공지능의 압도적인 성능을 경험하였으 며, 자율주행자동차, 인공지능 스피커를 포함한 다양한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일 상생활에서 인공지능이 제공하는 고성능 컴퓨팅 파워를 체감하고 있기에, 인공지능이야 말 로 고성능 컴퓨팅 그 자체로 느껴지는 것이 당연해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불현듯 “이것이 과연 내가 상상하던 인공지능인가?”라는 의문이 들거나 “이것이 과연 진정한 인공지능인 가?”라는 질문을 누구나 한번쯤은 해보았을 것 같다. 우리가 막연히 상상해오던 인공지능이 란 만화 영화에 등장하던 사람처럼 말을 하는 로봇이나 영화 아이언맨의 자비스와 같은 인격 을 갖춘 비서였는데, 이는 작금의 인공지능과 상당한 거리가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상상해온 인공지능과 우리가 현재 접하고 있는 인공지능의 차이는 사실 연구 및 기술의 성숙도에 따른 알려짐의 정도가 다른 것에서 기인한다. 사실 인공지능 분야는 이미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039 생명공학/바이오 코로나19가 불러온 글로벌 CRO 산업 지형의 변화 1도토리 국준아
1038 성장동력산업 2021년 G7 정상회담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037 생명공학/바이오 면역항암제 기술 및 시장동향 3도토리 국준아
1036 성장동력산업 미·중 갈등과 중국의 반도체 산업 육성전략 및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035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7월-1) 1도토리 조정희
1034 성장동력산업 환경 모니터 2020 파트 1 1도토리 조정희
1033 성장동력산업 2021 ICAP 전세계 배출권거래제 현황 보고서 1도토리 조정희
1032 성장동력산업 환경 모니터 2020 파트 2 1도토리 조정희
1031 생명공학/바이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의료기기 주요기업 특허 출원 동향과 의료 분야 응용 기술 개발동향 3도토리 국준아
1030 생명공학/바이오 코로나19 이후 급부상하고 있는 디지털헬스산업 1도토리 국준아
1029 생명공학/바이오 미국 코로나19 백신 긴급사용승인과 정식승인의 차이 1도토리 국준아
1028 생명공학/바이오 무역 관점에서 본 글로벌 백신 공급망 현황 1도토리 국준아
1027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반도체전략 특징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026 생명공학/바이오 숫자로 본 2021년 글로벌 재생의료 산업 현황 1도토리 국준아
1025 성장동력산업 한계기업 결정요인 분석과 COVID19 이후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시사점 7도토리 조정희
1024 생명공학/바이오 중국의 최근 항암제 신속 승인 현황 1도토리 국준아
1023 생명공학/바이오 미국 코로나19 백신 공급망 확대 투자 30억 달러 1도토리 국준아
1022 생명공학/바이오 미국의 미래 팬데믹 대응 대규모 투자계획(아폴로 계획) 1도토리 국준아
1021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반도체·배터리 공급망 조사 보고서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1020 생명공학/바이오 미국 고가 전문의약품과의 전쟁 시나리오 발표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