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모바일 단말을 위한 AI 최적화/경량화 알고리즘 및 소프트웨어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125
용량 312.9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모바일 단말을 위한 AI 최적화·경량화 알고리즘 및 소프트웨어.pdf 312.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II. 기술의 개념 및 내용 모바일 단말에서 실시간 AI 추론을 위한 강화학습 기반 모델 경량화 및 최적화 기술 - 기존 경량화 기법은 사람이 네트워크의 크기와 형태를 정해주고, AI가 정해진 네트워크 에 최적인 가중치를 도출하는 과정으로 수행되었음 - 본 제안 기술은 AI가 주어진 태스크(Task)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최적의 네트워 크 선정부터 최적의 가중치까지 도출하는 강화학습 기반의 경량화 및 최적화 기술을 * 본 내용은 김성제 책임연구원(☎ 031-739-7477, sungjei.kim@keti.re.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현재 개발 진행 및 완료 예정인 ICT R&D 성과 결과물을 과제 종료 이전에 공개하는 “ICT R&D 사 업화를 위한 기술예고”를 2014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바, 본 칼럼에서는 이를 통해 공개한 결과물의 기술이전, 사업화 등 기술 활용도 제고를 위해 매주 1~2건의 관련 기술을 소개함 모바일 단말을 위한 AI 최적화/ 경량화 알고리즘 및 소프트웨어 Chapter 04 개발목표시기 2023. 12. 기술성숙도 (TRL) 개발 전 개발 후 4 6 결과물 형태 SW-Platform 검증방법 자체 검증, 3자 검증 Keywords 인공지능, 모바일 단말, 최적화, 경량화, 강화학습 AI, mobile device, optimization, compression, reinforcement learning 외부기술요소 Open Source 기반 자체 기술 통합 개발 권리성 특허, SW ICT R&D 동향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5 개발하는 것임 - 본 제안 기술은 채널 프루닝, 양자화 기술 등 네트워크 경량화 기법에 적용하여 모바일 단말의 컴퓨팅 파워를 고려한 최적의 네트워크를 도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III. 국내외 기술 동향 및 경쟁력 1. 기술의 특성 및 성능 모바일향 최적 pre/post processing 및 추론 기술 개발 모바일향 딥러닝 네트워크 경량화 기술 개발 경량 네트워크에 최적화된 학습 기술 개발 양자화 오류를 고려한 재학습 프레임워크 설계 신경망 최적화 및 경량화를 위한 차원 감소 기법 기반 필터 제거법 개발 2. 경쟁기술/대체기술 동향 및 현황 미국 스탠포드 대학은 대용량의 커널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해 프루닝, 양자화, 엔트로피 코딩 기법을 기반한 Deep Compression 기술을 제안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428 성장동력산업 2021 글로벌 시장의 한국 게임 유저 조사(동남아시아) 7도토리 오민아
2427 성장동력산업 2021 글로벌 시장의 한국 게임 유저 조사(유럽) 7도토리 오민아
2426 성장동력산업 2021 글로벌 시장의 한국 게임 유저 조사(북미) 7도토리 오민아
2425 성장동력산업 2021 글로벌 시장의 한국 게임 유저 조사(동아시아) 7도토리 이지훈
2424 성장동력산업 202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콘텐츠 이용 트렌드 연구 7도토리 나혜선
2423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콘텐츠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7도토리 나혜선
2422 성장동력산업 게임을 통한 메타버스 내 사회심리학적 특징 연구 7도토리 나혜선
2421 성장동력산업 디지털치료제로서 게임 활용 방안 연구 7도토리 민준석
2420 성장동력산업 클라우드 게임 생태계(ecosystem) 활성 방안 고찰 7도토리 민준석
2419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콘텐츠 업계 고용구조 종합 연구 7도토리 민준석
2418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COVID-19 (재)창업 생태계 활성화 방안 연구 7도토리 정한솔
2417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대중문화예술인 방송출연표준계약서 개선방안 연구보고서 7도토리 정한솔
2416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게임산업 트렌드(2022년 09·10월) 7도토리 김민성
2415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게임산업 트렌드(2022년 11·12월) 7도토리 김민성
2414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게임산업 트렌드(2022년 01·02월) 7도토리 김민성
2413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metaverse)와 콘텐츠 3도토리 민준석
2412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콘텐츠: 개념, 예시 및 현재 제도적 과제 연구 3도토리 정한솔
2411 성장동력산업 中 당국의 고강도 산업 규제가 韓中 콘텐츠 사업에 끼치는 영향 3도토리 정한솔
2410 성장동력산업 자동차산업 2021 3분기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409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소매유통 및 관광업 동향 및 전망 3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