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반도체 소자 스케일링에 따른 전기적 저항 향상 기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94
용량 1.17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반도체 소자 스케일링에 따른 전기적 저항 향상 기술.pdf 1.1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8-25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1 

반도체 소자는 지속적으로 스케일링을 통해 집적도가 향상되고 있다.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시대, 산업 구조 가 변화함에 따라 새로운 반도체 응용 분야 확장으로 인해 저전력, 고성능의 반도체 소자 고도화에 대한 요구뿐만 아니라 반도체 칩 수요의 급속한 증가로 그 어느 때보다 반도체 소자의 초소형화와 고집적도 구현 이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반도체 소자의 물리적 영역이 나노스케일 더 나아가 원자스케일로 계속 감소함 에 따라 소자 성능이 갈수록 전기적 저항 증가에 대한 문제의 비중과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 는 전체 반도체 칩 구조에서 전기적 저항 증가가 크게 발생하는 다중 스택 구조의 금속 배선과 금속/반도체 계면의 접촉 부분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들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기술적 내용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앞으로 변화가 예상되는 반도체 소자에 대한 구조 및 스케일링을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제안되고 적용되는 기술이면서 오랫동안 반도체 물질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리콘 물질에 대한 대체 가능성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예측하고 이해를 돕고자 한다. I. 서론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의 진입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그림 1]과 같이 빅데이터(Big Data),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AR/VR(Augmented Reality, 증강/Virtual Reality, 가상),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등의 신규 응용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반도체 패러다임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반도체 칩의 수요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1],[2]. 그리고 이러한 환경에 맞는 저전력, 고성능 반도체 소자 제작이 함께 요구되고 있어 반도 체 소자의 초소형화와 집적도 향상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를 선도하기 위한 칩 생산자 간의 경쟁도 매우 치열해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는 EUV(Extreme Ultra- * 본 내용은 권혁준 조교수(☎ 053-785-6326, hj.kwon@dgist.ac.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반도체 소자 스케일링에 따른 전기적 저항 향상 기술 Chapter 01 기획시리즈-인공지능 반도체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 Violet) 광원 도입, 새로운 3차원 구조 및 적층 구조(예; 3차원 로직, 3차원 적층 NAND, 3차원 패키징 등)를 통해 기존의 미세화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집적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있다. 하지만 반도체 소자의 스케일링으로 인해 물리적인 면적이 감소되어 전기 적 저항이 커지고 이러한 전기적 저항이 전자 소자의 성능에 영향을 주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매우 커졌다. 5nm 노드 또는 그 이하의 경우 전체 RC delay의 약 50%가 전기적 저항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3],[4].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428 성장동력산업 2021 글로벌 시장의 한국 게임 유저 조사(동남아시아) 7도토리 오민아
2427 성장동력산업 2021 글로벌 시장의 한국 게임 유저 조사(유럽) 7도토리 오민아
2426 성장동력산업 2021 글로벌 시장의 한국 게임 유저 조사(북미) 7도토리 오민아
2425 성장동력산업 2021 글로벌 시장의 한국 게임 유저 조사(동아시아) 7도토리 이지훈
2424 성장동력산업 202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콘텐츠 이용 트렌드 연구 7도토리 나혜선
2423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콘텐츠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7도토리 나혜선
2422 성장동력산업 게임을 통한 메타버스 내 사회심리학적 특징 연구 7도토리 나혜선
2421 성장동력산업 디지털치료제로서 게임 활용 방안 연구 7도토리 민준석
2420 성장동력산업 클라우드 게임 생태계(ecosystem) 활성 방안 고찰 7도토리 민준석
2419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콘텐츠 업계 고용구조 종합 연구 7도토리 민준석
2418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COVID-19 (재)창업 생태계 활성화 방안 연구 7도토리 정한솔
2417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대중문화예술인 방송출연표준계약서 개선방안 연구보고서 7도토리 정한솔
2416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게임산업 트렌드(2022년 09·10월) 7도토리 김민성
2415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게임산업 트렌드(2022년 11·12월) 7도토리 김민성
2414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게임산업 트렌드(2022년 01·02월) 7도토리 김민성
2413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metaverse)와 콘텐츠 3도토리 민준석
2412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콘텐츠: 개념, 예시 및 현재 제도적 과제 연구 3도토리 정한솔
2411 성장동력산업 中 당국의 고강도 산업 규제가 韓中 콘텐츠 사업에 끼치는 영향 3도토리 정한솔
2410 성장동력산업 자동차산업 2021 3분기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409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소매유통 및 관광업 동향 및 전망 3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