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군집 자율형 무인체계의 군사적 활용 및 기술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114
용량 1.3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군집 자율형 무인체계의 군사적 활용 및 기술 동향.pdf 1.3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2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1 

인공지능과 자율주행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들 기술이 적용된 국가 안보 또는 군사적 목적의 무인 지상차 량, 항공기 및 함정 등이 개발되고 있다. 무인체계는 운용인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무기체계 게임체인저 (Game Changer)로써 전장 운영개념을 변화시키고 있다. 로봇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는 무인체계는 드론이 대표적이지만 지상 및 해상용을 포함하여 대부분 기존 원격제어에서 자율형으로 발전하고 있다. 군사용 무인체계는 인공지능과 네트워크 기술 발전을 통해 실시간 상황공유 및 지휘통제 기능을 갖추어 군집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군집 주행은 기술의 민군협력이 용이하고 기존 무인체계의 획득비용 증가 문제를 감소시키면서 무기체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에서는 군집 자율형 무인체계에 대한 이해와 관련 소프트웨어에 대한 연구개발 및 전력화 동향을 다루고자 한다. I. 서론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 기술과 드론 등의 시스템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 들의 군사적 활용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 군에서도 “다차원 동시ㆍ통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무인체의 연구 개발에 나서는 한편 이를 통해 전장에서의 운영개념을 발전시키고 있으며, 주요 군사선진국은 인공지능이 경제, 사회 및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의 증가와 획득, 운용비용의 절감을 위해 상용 기술의 군사적 활용을 확대하고 있다. 미국 국방부는 2020년 인공지능과 무인화 기술이 국가안보와 국방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 하고 기술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에릭 슈미트를 의장으로 NSCAI(National Security Commission on AI)를 구성하고 2021년 활동 결과를 종합한 최종보고서를 발간하였다[1]. 동 보고서에서는 인공지능을 적용한 자율무기체계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으며 실제로 군사 * 본 내용은 박현규 원장(☎ 02-6424-5000, hyunkyoopark@mnd.go.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군집 자율형 무인체계의 군사적 활용 및 기술 동향 Chapter 01 기획시리즈-스마트 모빌리티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 선진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은 자율주행기술을 적용한 드론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군사용 자율무인체계를 개발하고 있다. 무인체계는 드론으로 불리는 무인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가 대표적이며 미국, 중국이 가장 앞서고 있으나, 저비용, 고효율의 비대칭 전술무기로 이스라엘, 터키 및 이란과 같은 국가에서도 전술적으로 활용 가능한 체계가 개발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군사 용 무인체계의 경우, 상황인식, 지휘통제 및 제어 기능이 원격지에서 인력에 의해 통제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인공지능 기반 기술을 적용한 실험 수준의 자율형 무인체계가 개발되고 군집 운용이 가능토록 연구개발 로드맵을 수립하고 있다[2]. 본 고에서는 군사용 자율무인체계에 대한 현황과 주요 동향, 특히 인력과 운영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군집주행에 대해 전력화 및 핵심 소프트웨어 기술을 논의하 고, 우리군이 추진하고 있는 대응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II. 무인체계의 군사적 활용 군사용 무인체계는 임무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 전력화되고 있으며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살상용 자율 무기체계(Lethal Autonomous Weapon Systems: LAWS) 의 실전 운영이 예상되고 있다. LAWS에 대한 국제적으로 공통된 정의는 없으나 미국 국방부 훈령 3000.09에서는 “활성화된 이후 인간 운용자의 개입 없이 표적 선정과 교전이 가능한 무기체계”로 규정하고 있다[3]. LAWS에 대해서는 [표 1]과 같이 국가별 정책이 다르며 향후 인공지능(AI)의 오폭 방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408 성장동력산업 2022년 반도체산업 수출 전망 1도토리 나혜선
2407 성장동력산업 연료전지 개요와 현황 1도토리 장민환
2406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석유가스 산업의 에너지 전환 대응 전략 3도토리 황세영
2405 성장동력산업 2021년 3분기 석유·가스 시장 분기보고서 1도토리 황세영
2404 성장동력산업 2021년 3분기 태양광 산업 동향 1도토리 조정희
2403 성장동력산업 2021년 4분기 석유·가스 시장 분기보고서 1도토리 장민환
2402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하반기 해외건설업 현황 3도토리 조정희
2401 성장동력산업 중형조선산업 동향 2021년도 상반기 1도토리 조정희
2400 성장동력산업 해운조선업 2021 3분기 동향 및 2022 전망 3도토리 조정희
2399 성장동력산업 해운 조선업 2021년 및 2021년 4분기 동향과 2022년 전망 3도토리 장민환
2398 성장동력산업 정밀 제어가 가능한 로봇손 1도토리 장민환
2397 성장동력산업 멀티에이전트 기반 엣지연계 도심형자율주행 서비스검증용 시뮬레이션 SW 기술 1도토리 황세영
2396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관련 국내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동향 분석 1도토리 황세영
2395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기반 보안용 시스템 반도체 동향 1도토리 황세영
2394 성장동력산업 현실-가상정보 융합형 자율주행 시뮬레이션SW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93 성장동력산업 HBM 기반 PIM NPU 반도체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92 성장동력산업 사물인터넷 부트스트래핑 보안 기술 1도토리 장민환
2391 성장동력산업 초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 동향 1도토리 장민환
2390 성장동력산업 PAM4-106Gbps EML 광원소자의 EA 변조기 제작 기술 1도토리 장민환
2389 성장동력산업 Spiking Neural Network 기반 인공지능 반도체: 이것이 답일까? 1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