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스마트 모빌리티를 위한 차량용 이더넷 관련 기술 및 도입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135
용량 1.71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스마트 모빌리티를 위한 차량용 이더넷 관련 기술 및 도입 현황.pdf 1.7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0-06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4 

스마트 모빌리티는 스마트 시티를 구축하기 위한 주요 기술 중 하나로 Connected and Automated Vehicles(CAV) 관련 기술이 발전하면서 상용화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CAV의 안정적인 주행을 위해 실시간 주행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차량 내에 탑재되는 센서 및 Electronic Control Unit(ECU)의 수가 증가하면서 차량 내 송수신 되는 데이터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증가한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해 차량 내/외부 네트워크 전송 기술도 같이 발전하고 있다. 특히, 차량용 이더넷 기술은 Controller Area Network(CAN) 버스로 대변되는 차량 내부 아키텍처에 큰 변화를 불러오고 있는 기술이며 현재 차량 제조 사 및 주요 부품사들이 관련 연구를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고에서는 차량용 이더넷 관련 기술 표준 및 도입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고, 앞으로 스마트 모빌리티 기반 아키텍처 및 서비스 구현을 위해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I. 서론 스마트 모빌리티는 대도시권의 미래지향적 공간 설계방안인 스마트 시티를 위한 필수요소 중 하나이다[1]. IoT를 통해 도시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스마트 시티의 경우 다양한 데이 터를 수집하고 관련 제어 기술을 적용해야 하는데, 스마트 모빌리티는 교통 혼잡 제어를 위한 Internet of Vehicles(IoV)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1],[2]. 스마트 시티를 위한 IoV 기술인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은 Vehicle-to-Vehicle(V2V), Vehicle-to-Infrastructure(V2I)를 넘어 Vehicle-to-Everything(V2X)으로 연동 대상이 확대되면서, [그림 1]과 같이 신호등 및 가로등 제어, 결제, 차량공유, 지능형운송수단, 자율 주차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 또한, WiFi, Wireless * 본 내용은 고경민 조교수(☎ 042-520-5089, minylago@gmail.com)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스마트 모빌리티를 위한 차량용 이더넷 관련 기술 및 도입 현황 Chapter 01 기획시리즈-스마트 모빌리티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WAVE),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DSRC) 등 차량 외부 연동에 필요한 무선통신 기술들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은 데이터 수집, 차량 외부 통신, 조향장치 및 가속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차량용 ECU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게 만드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2019년 컨설팅 회사인 McKinsey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그림 2]와 같이 차량에 탑재되는 ECU와 아키 텍처 구축을 위한 Domain Control Unit(DCU) 관련 시장이 2030년까지 연평균 5% 성장 할 것으로 예측된다[3]. 이와 같은 전망은 앞으로 차량 아키텍처 설계에서 ECU 간 통신 및 제어 방안에 대한 검토가 중요한 설계 요소가 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모빌리티와 연계된 CAV 기술이 발전하면서 차량에서 제공되는 엔터테인먼트, 쇼핑, 원격제 어 등의 서비스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와 관련하여 차량에 탑재되는 기능, 운영체제, 미들웨어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시장이 연평균 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3]. 차량 외부와의 연동의 필요성, 차량용 ECU/DCU의 탑재 수, CAV 서비스를 위한 차량 소프트웨어가 증가하면서 차량 내부의 제어/상태 데이터 및 차량 외부의 서비스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량 또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차량 내부 데이터 전송의 경우, 기존의 차량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 CAN, FlexRay, LIN 등의 저대역폭 통신 기술은 자율주행 등의 서비스에 필요한 고대역폭 데이터 송수신량[6]을 감당하기에 가용 대역폭의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408 성장동력산업 2022년 반도체산업 수출 전망 1도토리 나혜선
2407 성장동력산업 연료전지 개요와 현황 1도토리 장민환
2406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석유가스 산업의 에너지 전환 대응 전략 3도토리 황세영
2405 성장동력산업 2021년 3분기 석유·가스 시장 분기보고서 1도토리 황세영
2404 성장동력산업 2021년 3분기 태양광 산업 동향 1도토리 조정희
2403 성장동력산업 2021년 4분기 석유·가스 시장 분기보고서 1도토리 장민환
2402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하반기 해외건설업 현황 3도토리 조정희
2401 성장동력산업 중형조선산업 동향 2021년도 상반기 1도토리 조정희
2400 성장동력산업 해운조선업 2021 3분기 동향 및 2022 전망 3도토리 조정희
2399 성장동력산업 해운 조선업 2021년 및 2021년 4분기 동향과 2022년 전망 3도토리 장민환
2398 성장동력산업 정밀 제어가 가능한 로봇손 1도토리 장민환
2397 성장동력산업 멀티에이전트 기반 엣지연계 도심형자율주행 서비스검증용 시뮬레이션 SW 기술 1도토리 황세영
2396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관련 국내 긴급재난문자 서비스 동향 분석 1도토리 황세영
2395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기반 보안용 시스템 반도체 동향 1도토리 황세영
2394 성장동력산업 현실-가상정보 융합형 자율주행 시뮬레이션SW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93 성장동력산업 HBM 기반 PIM NPU 반도체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92 성장동력산업 사물인터넷 부트스트래핑 보안 기술 1도토리 장민환
2391 성장동력산업 초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 동향 1도토리 장민환
2390 성장동력산업 PAM4-106Gbps EML 광원소자의 EA 변조기 제작 기술 1도토리 장민환
2389 성장동력산업 Spiking Neural Network 기반 인공지능 반도체: 이것이 답일까? 1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