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Visual SLAM 기술개발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137
용량 3.39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Visual SLAM 기술개발 동향.pdf 3.3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0-13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3 

카메라를 이용하여 환경에 대한 3차원 지도를 생성하고, 카메라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자율주행차를 위한 차량 위치 및 환경 인지, AR/VR 디바이스를 활용한 가상 정보 증강, 의료 내시경의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본 고에서는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환경 복원 기술과 카메라 자세 변화를 추정하는 Visual SLAM 기술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3차원 복원 및 측위를 수행하던 기존의 기하학적 방식과 최근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딥러닝을 활용한 방식들을 소개한다. 또한, 기하학적 방법과 딥러닝 기반의 방법을 융합한 하이브리드 방식 의 Visual SLAM 기술들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SLAM과 관련된 국내외 시장 동향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I. 서론 미지의 환경에서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고 3차원 환경 지도를 생성하는 기술을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또는 SfM(Structure from Motion)이라고 한다. 본 기술은 1990년대부터 꾸준히 연구되고 있으며 컴퓨터 처리 속도가 개선되고 카메라와 라이다 등의 센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실제 많은 분야에 응용되고 있 다. 예를 들면, [그림 1]과 같이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고 환경 구조를 파악함으로써 목적지점까지 자율주행이 가능하다[1]. 3차원 환경 지도 생성 및 위치 추정을 위한 대표적인 센서로는 카메라, 레이저 센서 등이 있으며, 카메라로는 단안 카메라, 양안 카메라(stereo camera) 및 RGB-D 카메라 등이 있 * 본 내용은 김정호 책임연구원(☎ 031-739-7480, jhkim77@keti.re.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Visual SLAM 기술개발 동향 Chapter 01 기획시리즈-스마트 모빌리티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 다. 레이저 센서는 수직 해상도(vertical resolution)에 따라서 2D LiDAR와 3D LiDAR로 분류된다. 단일 카메라의 경우 센서의 크기가 작고,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이 가능하지만 단일 영상으로부터 뎁스(depth) 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양안 카메라의 경우 양안 영상으로부터 정합을 통해 거리 정보를 계산할 수 있으나 처리 시간이 필요하며 측정 가능한 거리가 양안 카메라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제한된다. RGB-D 센서는 별도의 계산 없이 뎁스 정보를 바로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양안 카메라 대비 처리 속도가 빠르고, 조밀한(dense) 지도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실외 환경에서 적용하기 어렵다. 2D LiDAR 센서는 가격이 저렴하고, 데이터양이 적어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지만 움직임의 자유도(degree-of-freedom)가 높은 경우 적용이 어렵다. 이와는 반 대로 3D LiDAR 센서의 경우 많은 수의 3D 포인트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조밀한 3차원 복원 및 6자유도의 움직임 추정이 가능하지만 센서가 무겁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표 1]은 각 센서 유형에 따른 지도 생성 및 위치 추정 결과를 보여준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SLAM을 수행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오차가 누적되므로 최종 생성된 지도와 위치 추정의 오차가 매우 커지는 경우가 있다. 오차가 발생하는 원인은 주변 환경과 조도 변화에 따라서 센서 관측치(observation)에 대한 노이즈 또는 모호성(ambiguity) 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Visual SLAM 기술은 크게 기하하적 방법, 학습을 이용한 방법 그리고 학습과 기하학적 방법을 융합한 하이브리드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고에서는 오차가 누적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발 동향에 대해서 분석하고, 실제 응용되고 있는 분야와 시장 동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388 성장동력산업 모바일 단말을 위한 AI 최적화/경량화 알고리즘 및 소프트웨어 1도토리 황세영
2387 성장동력산업 미디어 지능화(지능적 미디어 속성 추출 및 공유) 플랫폼 1도토리 황세영
2386 성장동력산업 5G 사설망을 위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표준기술 1도토리 장민환
2385 성장동력산업 반도체 소자 스케일링에 따른 전기적 저항 향상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8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카카오게임즈 1H22 기존 게임 지역 확대 및 NFT & 메타버스 사업 추진 1도토리 노민우
238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위메이드 내년 블록체인 플랫폼 매출 비중 10% 상회 전망 1도토리 국준아
238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컴투스홀딩스 3월 부터 블록체인 플랫폼 사업 본격화 1도토리 국준아
23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 - 2022 년 Play to Earn(P2E) 플랫폼 관련주 주목 7도토리 국준아
23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 - 금리상승과 은행주 3도토리 국준아
2379 성장동력산업 트랜잭션 검증을 위한 축약 증명 기술 1도토리 강정훈
2378 성장동력산업 블록체인 환경하에서 컨테이너 기반 모듈형 인덱스 관리기술 1도토리 강정훈
2377 성장동력산업 TSMC 반도체 기술 동향 및 성공요인 분석 1도토리 강정훈
2376 성장동력산업 엣지-컴퓨팅 웨어러블 기기를 위한 인공지능 반도체 하드웨어 기술 동향 1도토리 강정훈
2375 성장동력산업 영상 속 개인식별 정보 비식별화 기술 1도토리 이지훈
2374 성장동력산업 멀티스펙트럼 영상기반 시설물 이상상태 검출 기술 1도토리 강정훈
2373 성장동력산업 실거래 테스트 자동화를 통한 SW 품질 확보 방안 1도토리 강정훈
2372 성장동력산업 미래 모빌리티의 기반, 자율주행차 상용화 동향 1도토리 강정훈
2371 성장동력산업 착용형 햅틱글러브 1도토리 김민성
2370 성장동력산업 이종 융합데이터 특성 생성 플랫폼 1도토리 김민성
2369 성장동력산업 순서 보존 암호화 기술 연구 동향 1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