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지능형 토탈물류 서비스를 위한 복합물류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109
용량 1.83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지능형 토탈물류 서비스를 위한 복합물류시스템 기술개발 동향.pdf 1.8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0-27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3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물류산업에서도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의 핵심 기술을 활용한 융복합 추세로의 산업 패러다임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물류산업은 사회적 이슈를 기술적 솔루션으로 해결하기 위한 지능형 토탈물류 서비스(Intelligent total logistics service)의 형태로 다양한 융합기술을 기반한 시스템 및 장치 를 중심으로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지능형 토탈물류 서비스는 기업물류 및 생활물류 배송의 생산성 향상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한 복합시스템(System of Systems)의 형태로 개발 및 운영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지능형 토탈물류 서비스 구축 및 운영, 지원되기 위한 복합물류시스템 및 디바이스의 개괄적 개발 현황과 향후 관련 서비스 지원을 위한 관련 규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복합물류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 한 시스템 및 디바이스에 대한 신뢰성 높은 운영을 위해 갖추어야 하는 운영상 통신 네트워크 및 제어 측면에 서 고려해야 하는 복합물류시스템 및 디바이스 개발의 기술적 장벽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I. 서론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비대면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온라인 상거래가 확산되고 있다. 이는 코로나 19의 유행 직후 택배 물동량의 급격한 증대를 가져 왔으며, 택배 물동량의 급격 한 증대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1]. 이러한 사회적 문제의 해결과 물류산 업 특성상 업무의 효율성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물류산업의 시스템 및 디바이스의 선진화 활용사례는 기업 규모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같이 물류 물동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시점에는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해주는 기술적 사항의 평준화가 요구되고 있다[2]. 지능형 물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복합물류시스템 및 디바이 스는 4차 산업혁명의 진전과 코로나 19로 인해 스마트 물류시대를 앞당겨 줄 것으로 보인다 * 본 내용은 김영민 조교수(☎ 031-219-3949, pretty0m@ajou.ac.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지능형 토탈물류 서비스를 위한 복합물류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Chapter 01 기획시리즈-지능형 IoT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 [3]. 따라서, 자동화 기계의 활용과 4차 산업혁명 기반의 스마트 기술의 융합 기술을 기반으 로 한 지능형 토탈물류 서비스(Intelligent Total Logistics Service)가 지원되어야 복합물 류시스템 및 디바이스의 최적화 운영환경을 구축하여 운영될 수 있다. 지능형 토탈물류 서비 스는 물품의 수송부터 보관, 포장, 배송에 이르기까지 물류수송 전 수명주기적(FullLifecycle) 관점에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핵심 기술이다[4].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한 물류 서비스는 인공지능 및 블록체인 기술의 융복합 적용을 통한 제품의 정확한 수요예측과 재고 관리, 출처ㆍ출하 상태에 대한 조작되지 않은 정보의 제공을 통해 물류비용 절감 및 물류 효율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최근 들어, 자율주행이 가능한 이송로봇이 물류센터에 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가상의 디지털 세계와 같은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물류 효율화를 통한 혁신을 이어가고 있다. 지능형 토탈물류 서비스는 상/하차 자동시스템, 관제 시스템, 핸드 스캐너, 이송로봇, 물류 드론, 보관함, 물류터미널 등 복합시스템(System of Systems)의 형태로, 또한 총체적 관점 (Holistic View)의 운영개념 및 기능, 센서, 제어, 네트워크를 고려하여 개발 및 운영되어야 한다[6]. 복합물류시스템 및 디바이스의 최적화된 운영을 위해 다수의 센서가 감지한 데이터 를 저장, 교환, 분석할 수 있는 플랫폼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개별 센서들의 데이터 신호 교환과 분석을 위해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WAN(Wide Area Network), LPWAN(Low Power Wide Area Network), Bluetooth, WiFi, LTE (Long-Term Evolution), 4G 또는 5G 등의 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을 통해 물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동기화 전송할 수 있다. 물류 데이터는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통한 플랫폼 내에서 인공지능 기반의 자동화 해석 및 제어를 통해 지능형 토탈물류 서비스가 수행 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7]. 본 고에서는 지능형 토탈물류 서비스 기반의 복합물류시스템의 개발 동향을 살펴보고, 실제 물류 서비스 환경에서 활용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하는 기술개발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지능형 토탈물류 서비스의 정의에 대해 살펴보고 지능형 물류 서비스 환경 및 디바이스 특성을 분석한다. 복합물류시스템 및 디바이스의 전체 운영상 요구되는 운영 성능의 제약사항 을 식별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요구사항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지능형 토탈물류 서비스 기반의 복합물류시스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개별 시스템 및 디바이스 에 요구되는 효율적인 데이터 통신 및 제어 등에 대한 최신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388 성장동력산업 모바일 단말을 위한 AI 최적화/경량화 알고리즘 및 소프트웨어 1도토리 황세영
2387 성장동력산업 미디어 지능화(지능적 미디어 속성 추출 및 공유) 플랫폼 1도토리 황세영
2386 성장동력산업 5G 사설망을 위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표준기술 1도토리 장민환
2385 성장동력산업 반도체 소자 스케일링에 따른 전기적 저항 향상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8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카카오게임즈 1H22 기존 게임 지역 확대 및 NFT & 메타버스 사업 추진 1도토리 노민우
238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위메이드 내년 블록체인 플랫폼 매출 비중 10% 상회 전망 1도토리 국준아
238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컴투스홀딩스 3월 부터 블록체인 플랫폼 사업 본격화 1도토리 국준아
23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 - 2022 년 Play to Earn(P2E) 플랫폼 관련주 주목 7도토리 국준아
23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은행 - 금리상승과 은행주 3도토리 국준아
2379 성장동력산업 트랜잭션 검증을 위한 축약 증명 기술 1도토리 강정훈
2378 성장동력산업 블록체인 환경하에서 컨테이너 기반 모듈형 인덱스 관리기술 1도토리 강정훈
2377 성장동력산업 TSMC 반도체 기술 동향 및 성공요인 분석 1도토리 강정훈
2376 성장동력산업 엣지-컴퓨팅 웨어러블 기기를 위한 인공지능 반도체 하드웨어 기술 동향 1도토리 강정훈
2375 성장동력산업 영상 속 개인식별 정보 비식별화 기술 1도토리 이지훈
2374 성장동력산업 멀티스펙트럼 영상기반 시설물 이상상태 검출 기술 1도토리 강정훈
2373 성장동력산업 실거래 테스트 자동화를 통한 SW 품질 확보 방안 1도토리 강정훈
2372 성장동력산업 미래 모빌리티의 기반, 자율주행차 상용화 동향 1도토리 강정훈
2371 성장동력산업 착용형 햅틱글러브 1도토리 김민성
2370 성장동력산업 이종 융합데이터 특성 생성 플랫폼 1도토리 김민성
2369 성장동력산업 순서 보존 암호화 기술 연구 동향 1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