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지능형 IoT 기술 개발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106
용량 744.52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지능형 IoT 기술 개발 동향.pdf 744.5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1-10 
출처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13 

전 세계적으로 신서비스 창출을 위한 디지털 전환에 주목하면서 사물ㆍ사람ㆍ공간을 서로 긴밀하게 연결하 여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물인터넷 기기는 기하급 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사물인터넷 기술은 제조, 스마트시티 등 공공ㆍ산업 분야에서 헬스케어 등 의료 분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응용 분야에 확산되고 있다. 초기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은 사물의 연결성을 지원하고, 사물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초적인 연구개발 위주로 추진되었으 나, 최근 인공지능, 클라우드 등 최신 정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ㆍ학습하여 유기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IoT 기술로 진화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지능형 IoT 기술의 구성요 소인 디바이스, 지능, 플랫폼에 관한 개괄적인 기술개발 동향과 발전 전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I. 서론 가트너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외부 환경과 통신하고 상호작용하는 임베디드 기술이 포함된 물리적 개체의 네트워크라고 규정하였다. 1999년 캐빈 애쉬튼이 사물인터넷 용어를 공식화한 이후[1] 초기에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으나, 다양한 소형 센서 및 컴퓨터 장치와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현재는 사물인터넷 기술이 모바일 장치, 웨어러 블 디바이스, 가전제품 등 다양한 형태로 실생활에 적용되고 있으며, 응용 분야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세계 IoT 디바이스의 개수는 2030년에 254억 개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2]. 현재 세계의 대표기업 및 연구기관들은 단순히 디바이스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 본 내용은 송민환 책임연구원(☎ 031-789-7582, mhsong@keti.re.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지능형 IoT 기술 개발 동향 Chapter 01 기획시리즈-지능형 IoT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 기술에서 벗어나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현실의 응용 서비스에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IoT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지능형 IoT에 대한 개념 및 정의는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사물인터넷 융합 포럼은 지능형 IoT 기술을 “사물들이 전달하여 수집된 빅데이터를 클라우드에서 분석ㆍ학습ㆍ진단하여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 규정하고 있다. 최 근에는 고도화된 지능이 탑재된 사물의 등장으로, 사물 간 상호작용 및 협업을 통한 분석 및 학습 기술의 범위도 포함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지능형 IoT 기술이 특정 분야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디바이스, 인공지능, 플랫폼, 응용 서비스 등 최신 정보 기술의 전 분야를 포함하고 있는 융합형 기술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단순히 사물에 무선통신 기술을 내장하여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에 데이터를 제공 하는 개념을 넘어서 클라우드, 인공지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분석 결과 및 최적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하는 것까지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지능형 IoT 기술의 실현을 위한 구성요소인 디바이스, 지능, 플랫폼으로 나누어 기술개발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지능형 IoT 기술의 적용을 위해 센싱ㆍ연산을 위한 디바이스 하드웨어 기술, 인공지능 모델 경량화 등 제한된 하드웨어 환경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 기술, 사물 간 협업 기술, 디바이스 운용을 위한 플랫폼 기술 등 핵심 기술이 확보되고 있으며, 현재 공공ㆍ산업 분야에 점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사물인터넷의 확산에 따라 폭증하는 지능형 디바이스와 그로부터 파생되는 대용량 데이터에 대응하며, 다양한 응용 서비스 제공에 대한 요구를 만족 하기 위한 지능형 IoT 기술에 대한 최신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II. 지능형 IoT 디바이스 개발 동향 가트너는 10대 전략기술 트렌드 2020에서 자율사물(Autonomous Things)을 포함하였 다. 자율사물은 인간이 수행하던 기능들을 자동화하는 데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디바이스이 다. 자율사물은 프로그래밍 모델을 통한 전통적인 자동화를 뛰어넘어, 주변 환경 및 사람들 과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작용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활용한다[3]. 사물을 구성하는 IoT 디바 이스는 기존의 정보전달 위주의 연결형 디바이스에서 클라우드 지능을 활용하는 지능형 디 바이스를 거쳐 자율형 디바이스로 발전하고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339 성장동력산업 밀폐 공간 내 감염병 위험도 감시를 위한 멀티모달 센싱 기반 감시지능 통합 시스템 1도토리 나혜선
2338 성장동력산업 심리상담용 RNN 기반 대화형 AI챗봇 개발 방안 1도토리 나혜선
»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IoT 기술 개발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36 성장동력산업 멀티 소스 영상 자동 편집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35 성장동력산업 적응형 인터랙션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34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와 블록체인 기술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33 성장동력산업 컴퓨팅 컨티뉴엄: 임베디드-엣지- 클라우드 컴퓨팅 연계 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32 성장동력산업 MLP, CNN 기반 고신뢰 딥러닝 가속기 1도토리 나혜선
2331 성장동력산업 선호도 지원 정보인프라 자율제어 AI 기술 1도토리 나혜선
2330 성장동력산업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응용을 위한 ATSC 3.0 전송 프로파일 소개 1도토리 정한솔
2329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28 성장동력산업 멀티스펙트럼 영상기반 유해가스 검출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27 성장동력산업 홀로그램 재생 공간, 색 및 왜곡도 평가 광학 시스템 1도토리 정한솔
2326 성장동력산업 가상융합기술(XR) 특허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25 성장동력산업 비면허대역 Massive IoT 무선 접속 핵심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24 성장동력산업 연산스토리지 상에 쿼리 오프로드 인터페이스 1도토리 박민혁
2323 성장동력산업 머신 러닝 모델 기반 DBMS 근사 질의 처리 엔진 1도토리 나혜선
2322 성장동력산업 생성모델(Generative Model) 연구 동향 및 금융에서의 활용 1도토리 나혜선
2321 성장동력산업 AI를 활용하고 지원하는 지능형 사물인터넷 국제 표준 동향 1도토리 나혜선
2320 성장동력산업 열 치료 과정에서 생체 내부 온도감시 영상화 기술 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