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AI를 활용하고 지원하는 지능형 사물인터넷 국제 표준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135
용량 643.2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AI를 활용하고 지원하는 지능형 사물인터넷 국제 표준 동향.pdf 643.2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08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5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끄는 주요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기술들이 많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핵심적인 기술 을 뽑자면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그리고 클라우드를 이야기할 수 있다. 세 가지 기술이 활용되는 서비스인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무인기, 스마트팩토리 등을 살펴보면 모두 데이터와 관련된 서비스들이란 공통점이 있다. 즉, 데이터가 미래 기술의 핵심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알 수 있다. 하지만, 아직 다양한 분야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표준의 부재로 인하여 효율적인 서비스 및 기술 개발에 있어서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사물인터넷과 클라우드 플랫폼의 국제 표준인 oneM2M에서 인공지능 서비스 및 기술 지원을 위해 데이터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관리하는 최신 국제 표준 동향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특히, oneM2M 릴리즈 5의 일환으로 개발되고 있는 인공지능 기술 지원 공통 기능 개발, 데이터 라이센싱 기능 지원, 데이터의 개인정보 보호 법령 지원, 그리고 인공지능 학습 지원을 위한 메타데이터 관리 시맨틱 기능 관련 표준 기술 내용에 대해서 살펴본다. I. 서론 4차 산업혁명이 주목하고 있는 기술 및 서비스를 보면 데이터가 그 핵심에 존재하고 있다.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무인기 제어, 스마트팩토리, 빅데이터 등 여러 분야가 향후 미래를 이끌 기술 분야로 각광을 받고 있는데, 이들 기술이 성공적으로 개발되어 비즈니스를 창출하 기 위해서는 데이터에 대한 관리 및 활용이 필수적이며, 특히 다양한 분야에서의 확산을 고려하면 표준 기반의 데이터 관리 및 활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사물인터넷을 통해 다양 한 분야에서 수집되는 수많은 데이터들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져야만, 그 위에서 동작 하는 서비스들이 혁신적이고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렇듯 사물 * 본 내용은 송재승 교수(☎ 02-3408-2901, jssong@sejong.ac.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AI를 활용하고 지원하는 지능형 사물인터넷 국제 표준 동향 Chapter 01 기획시리즈-지능형 IoT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 인터넷 기술은 독립적으로 비즈니스를 창출하기보다는 타 산업 및 기술들과 융합을 통해서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는데 필수적인 기반 기술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1].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을 받고 있는 AI 기술의 경우 대용량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 을 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이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해결하는 능력을 제공해준 다. AI 기술은 비단 일반적인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정교한 의사결정시스템 지원, 프로세스 자동화, 자율주행자동차와 같은 다양한 분야의 복잡한 서비스에도 활용되며 활용 분야를 넓히고 있다. 하지만, AI 기술도 인간이 원하는 수준의 올바른 결과 및 판단을 하기 위해서는 고품질의 표준화된 데이터의 활용이 필요하다. 잘못된 데이터를 통해 학습된 또는 개발된 인공지능 모델 및 서비스는 인공지능 기술이 사용되는 중요한 역할을 고려할 때 심각한 결과 를 초래할 수 있다. 이미 우리는 과거에 잘못된 데이터를 통해 개발된 챗봇들이 심각한 윤리 문제들을 초래하여 인공지능 서비스와 관련된 많은 숙제와 이슈(인권, 윤리, 개인정보 유출 등)를 남기며 중단된 사례들을 볼 수 있었다[2]. 반면,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AI를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 기술들에게 필요한 데이터들을 관리하고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통해 수많은 사물에서 발생되는 데이 터가 수집되어지며, 수집된 데이터들은 AI를 비롯하여 다양한 기술 및 서비스에서 활용이 된다. 또한, 사물인터넷 플랫폼은 자동차, 로봇, 무인기 등 수많은 종류의 기기들을 연결하고 관리하며, 사물인터넷 서비스들로 하여금 이런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즉, AI 기술을 통해 분석된 판단에 기반하여 사물인터넷 플랫폼에 연결된 기기들을 제어함으 로써 지능형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 소개된 다양한 지능형 사 물인터넷 서비스들의 경우 표준화된 플랫폼의 미비로 인해 특정 회사에서 개발한 서비스에 서만 활용이 가능한 문제점을 가지므로 지능형 사물인터넷 표준과 관련된 표준 개발이 시급 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지능형 사물인터넷의 다양한 서비스 동향을 살펴보고, 사물인터넷 국제 표준 단체인 oneM2M에서의 인공지능 기능 지원과 지능형 서비스 지원을 위한 각종 데이터 관련 표준 기술개발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368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 기술 및 평가 동향 1도토리 이지훈
2367 성장동력산업 엣지 기반 자율주행 기능의 Fall back MRC에 따른 운영권 SW 안전성 및 대응방안 검증 기술 1도토리 이지훈
2366 성장동력산업 데이터 스티칭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1도토리 강정훈
2365 성장동력산업 완전동형암호 기술 및 표준 동향 1도토리 강정훈
2364 성장동력산업 군집 자율형 무인체계의 군사적 활용 및 기술 동향 1도토리 강정훈
2363 성장동력산업 분산협력 AI 기반 5G+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기능 및 제어 기술 1도토리 강정훈
2362 성장동력산업 단일파장 8채널 Non-hermetic 광송신 서브모듈(TOSA) 기술 1도토리 강정훈
2361 성장동력산업 소유의 귀환, NFT 기술과 서비스 동향 1도토리 김민성
2360 성장동력산업 스마트 모빌리티를 위한 노면정보 수집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김민성
2359 성장동력산업 지능적 미디어 화면비 변환 기술 및 미디어 플레이어 1도토리 이지훈
2358 성장동력산업 방송콘텐츠 및 메타데이터에 특화된 기계번역 1도토리 이지훈
2357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헬스케어를 위한 비접촉 모니터링 기술 동향 1도토리 이지훈
2356 성장동력산업 스마트 모빌리티를 위한 차량용 이더넷 관련 기술 및 도입 현황 1도토리 김민성
2355 성장동력산업 하이브리드 P2P 환경을 고려한 O(N) 블록 합의 알고리즘 1도토리 김민성
2354 성장동력산업 공평성과 예측 불가능성 보장 탈중앙화 단일 동적 합의체 구성 기술 1도토리 강정훈
2353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 서비스 동향 1도토리 강정훈
2352 성장동력산업 Visual SLAM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강정훈
2351 성장동력산업 재식별 방지 및 데이터 증강 기술 1도토리 박민혁
2350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기반 마스크 등 가려진 얼굴인식 기술 1도토리 박민혁
2349 성장동력산업 스마트시티 관련 디지털 트윈 국내외 동향 및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