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강한 전염성과 높은 치사율을 동반한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집합 금지 조치와 수주량 감소 그리고 부품 공급 차질로 인한 완성품 생산 감소에 직면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곳 중에 하나는 제조 분야였다. 제어할 수 없는 팬데믹으로 인해 생산성에 차질 을 받았고 이로 인해 높은 품질을 유지하며 생산성을 향상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며 인간 중심 의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제조 설비의 디지털화, 자동화, 지능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다. 독일 IFO 경제연구소가 실시한 “코로나 팬데믹이 제조업에 미친 영향” 설문조 사에서 응답 기업의 55% 이상이 제조업의 디지털화를 촉진했다고 대답한 것을 보면 이를 더 잘 알 수 있다[1]. 제조업 강국인 독일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제조업을 부흥시키기 위해 2011년부터 높은 품질을 유지하며 높은 수익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조업 혁신을 이끄는 인더스트리 4.0 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그 발걸음이 더욱 빨라지고 있다. 이는 이전의 제품 별 생산라인, 중앙 제어와 폐쇄적인 연결망, 비효율적인 자산관리 등의 특징을 가지는 소품 종 대량생산(Mass Production)에서 모듈 공정, 유연 설비, 분산 제어, 개방형 연결망, 실시 간 자산관리 등의 특징을 가지는 다품종 맞춤 생산(Mass Customization)으로 변천을 일으 * 본 내용은 장종수 책임연구원(☎ 042-860-4839, jsjang@etri.re.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Acknowledg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Planning & Evaluation (IITP)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SIT)(No.2020-0-00952, Development of 5G Edge Security Technology for Ensuring 5G+ Service Stability and Availability) 스마트팩토리 환경의 사이버공격 및 대응체계 현황 Chapter 02 주간기술동향 2022. 1. 12. 18 www.iitp.kr 킴을 의미하며, 이는 곧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 공정을 유연하게 하는 지능형 생산을 가능하 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에서도 스마트팩토리 중에서 제조 분야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2018 년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 혁신 전략”을 정부가 발표하였고, 중소기업 제조 강국 실현을 목표 로 생산공정의 스마트화를 통한 스마트 제조혁신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2],[3]. 이렇게 국가별로 제조 분야의 디지털화, 스마트화를 추진함에 따라 기존의 에어 갭이라고 하는 폐쇄적인 환경이 개방화되고 IT 환경과 융합되고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되는 환경으로 변화되어 기존의 IT 환경의 위협 요인을 승계하는 문제를 보이게 된다. 최근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인 TSMC의 공장이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공격으로 가동이 중단된 사건이나, 세계 최대 알루미늄 생산업체인 노르스크 하이드로사가 로커고가 (LockerGoga) 랜섬웨어 공격으로 가동 중단 및 수동 전환을 하였던 사례를 보면 많은 스마 트팩토리가 사이버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본 고에서는 국내외 스마트팩토리 현황을 살펴보고, 스마트팩토리 보안 사고를 통한 보안 이슈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대응체계에 대한 부분을 알아보고자 한다. II. 대표적 스마트팩토리 구축 현황 1. 해외 스마트팩토리 영국의 “매뉴팩처링 글로벌(Manufacturing Global)” 2020년 5월호에서 “글로벌 10대 디지털팩토리(TOP 10 Digital Factories)”[4]에서 언급한 가장 우수한 스마트팩토리와 대 표성을 가지는 글로벌 제조기업 중에서 몇몇 스마트팩토리 구축 현황을 [표 1]로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