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스마트시티의 초개인화 서비스와 기반기술에 관한 연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115
용량 670.52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스마트시티의 초개인화 서비스와 기반기술에 관한 연구.pdf 670.5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9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4 

I. 스마트시티의 미래 1. 스마트시티의 부상 세계는 디지털 기술의 집약체인 ‘스마트시티(Smart City)’라는 패러다임을 주목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 기반으로 효율적인 스마트시티를 구현하기 위한 세계 도시들의 움직임이 상당 하다. 2022년은 국내 스마트시티가 상용화되는 분기점이기도 하다. 정부는 2018~2022년 까지 1,313억 원의 예산을 들여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R&D” 사업을 추진해 왔다. 2021년까지는 스마트시티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2022년부터 상용화된 서비스를 국민이 경 험할 수 있도록 계획해 왔다. 도시는 하나의 데이터가 되고 있다[1]. 기업들이 도시의 도로, 주거환경, 자동차 등 기존 플랫폼을 활용하고 행정기관이 수집한 시민들의 데이터에 접근하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졌 다. 스마트시티는 정부와 기업의 협력을 통해 구현될 기술의 총체가 될 것이고, 미래의 스마 트시티는 도시와 시민에게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스마트시티의 미래 서비스 중 초개인화 서비스에 집중해 보고자 한다. 스마트시티가 제공할 초개인화 서비 스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술적 기반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스마트시티 설계와 R&D 계획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내용은 김광석 겸임교수(☎ 02-3290-5302, gsk@hanyang.ac.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스마트시티의 초개인화 서비스와 기반기술에 관한 연구 Chapter 02 주간기술동향 2022. 1. 19. 16 www.iitp.kr 2. 초개인화 서비스와 스마트시티의 미래 최근 ‘개인화(Personalization)’를 넘어 ‘초개인화(Hyper-Personalization)’ 시대가 도 래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가속화되면서 빅데이터가 구축되었 고,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 또한 가속화됨에 따라 초개인화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개인화 서비스가 사람의 일반적인 정보, 온라인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람의 서비스 경험을 최적화하는 것이라면, 초개인화 서비스는 이에 더해 사람의 실제 생활 패턴과 취향 데이터를 바탕으로 적절한 상황에 적절한 메시지와 서비 스를 제공하여 만족도 높은 경험을 제공한다. 이렇듯 초개인화 서비스는 고객 데이터를 활용 하여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는 서비스로 정의될 수 있다. 점차 고객 데이터 활용 영역과 기술이 성숙해짐에 따라, 소비자가 경험하는 만족도를 극대 화한 다양한 유형의 초개인화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초개인화 서비스의 발전 형태는 [그 림 1]과 같다. 단순한 알림을 전달하는 메일링 서비스에서 소비자의 행동을 예측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초개인화 예측” 단계까지 도달한 것이다. 초개인화 서비스가 적용된 도시의 미래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초개인화 서비스는 시민들 의 특성만이 아니라 개별적으로 처한 상황과 맥락까지 파악하여 적절한 순간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2]. 초개인화 서비스가 도입된 스마트시티는 시민들의 도시 내 서 비스 이용 데이터에 기반해, 도시 인프라 운용을 최적화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348 성장동력산업 무인기 기반 IoT 네트워크를 위한 클러스터 헤드 선출 프레임워크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47 성장동력산업 연산 스토리지 기반 스니펫 스케줄러 1도토리 나혜선
2346 성장동력산업 주문형 네트워크 데이터 레포지토리 및 네트워크 AI 플랫폼 1도토리 나혜선
2345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편향성 이슈와 신뢰성 확보 방안 1도토리 나혜선
2344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토탈물류 서비스를 위한 복합물류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43 성장동력산업 다양한 실시간성 서비스를 만족하기 위한 고신뢰 및 저지연 무선전송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42 성장동력산업 밀리미터파 5G/5G+ 신호발생기 및 신호분석기 1도토리 박민혁
2341 성장동력산업 풍력에너지발전시스템 전자파적합성(EMC) 국제 표준화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40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IoT 기술과 사례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39 성장동력산업 밀폐 공간 내 감염병 위험도 감시를 위한 멀티모달 센싱 기반 감시지능 통합 시스템 1도토리 나혜선
2338 성장동력산업 심리상담용 RNN 기반 대화형 AI챗봇 개발 방안 1도토리 나혜선
2337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IoT 기술 개발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36 성장동력산업 멀티 소스 영상 자동 편집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35 성장동력산업 적응형 인터랙션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34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와 블록체인 기술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33 성장동력산업 컴퓨팅 컨티뉴엄: 임베디드-엣지- 클라우드 컴퓨팅 연계 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32 성장동력산업 MLP, CNN 기반 고신뢰 딥러닝 가속기 1도토리 나혜선
2331 성장동력산업 선호도 지원 정보인프라 자율제어 AI 기술 1도토리 나혜선
2330 성장동력산업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응용을 위한 ATSC 3.0 전송 프로파일 소개 1도토리 정한솔
2329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