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융합산업을 가속화하기 위한 6G 이동통신기술의 도입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114
용량 1.3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융합산업을 가속화하기 위한 6G 이동통신기술의 도입 전망.pdf 1.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9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3 

이동통신기술은 초연결, 초지능, 초융합으로 이루어지는 제4차 산업혁명의 사회 인프라 기술(General Purpose Technology)로서 발전하고 있다. 현재 5G 기술 상용화는 5G 융합 산업의 가능성을 증명하고 있다. 하지만 5G 기술의 체감 전송속도는 다운로드에서 UH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수준이나, 5G 융합산업 서비스는 양방향 속도의 차이, 지연시간에 따른 전송속도의 변화, 보편적 서비스 환경이 가능한 지역 면적 등에 따라 제한받고 있다. 6G 기술은 5G 기술에 의해 도입되기 시작한 융합산업의 서비스를 보편적 서비스로 제공하고, 원격의료수술과 같이 초고속 양방향 서비스 특성과 1ms 이내 지연시간을 요구하 는 서비스 분야로 확산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6G 기술은 보편적인 실감 서비스를 제공하고 오감 서비 스(실감영상, 촉각 인터넷 등)의 기술적 완성도를 높임으로써, COVID-19 환경에서 원격 비대면 서비스의 필요성을 인지한 항만, 자율주행차량, 스마트공장, 스마트시티, 게임, 스포츠중계, 공연, 관광 등 다양한 분야 에서 융합산업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I. 서론 이동통신기술은 초연결, 초지능, 초융합으로 이루어지는 제4차 산업혁명의 사회 인프라 기술(General Purpose Technology)[1]로서 발전하고 있다. 4G 이동통신은 음성 외 데이 터, 영상 서비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여 기존 유선 통신과 동일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인터넷 기반의 고품질 콘텐츠 제공 가능성이 높아지 면서 다양한 산업에서 정보통신기술과 융합하여 산업의 자동화와 지능화로 산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수요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5G 이동통신은 다양한 산업의 환경을 만족시키기 위해 기존의 데이터 전송속도뿐만 아니라 지연시간과 단말의 수용 능력도 함께 산업체 요구 * 본 내용은 정우기 교수(☎ 031-639-5877, wgchung@ck.ac.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융합산업을 가속화하기 위한 6G 이동통신기술의 도입 전망 Chapter 01 기획시리즈-차세대통신(6G 등)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기술 조건에 맞춰 개발함으로써 정보통신과 결합한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5G 이동통신은 네트워크가 사물까지 확대되면서 전 산업 분야의 지능 정보화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5G 이동통신은 초고 속, 초저지연, 고신뢰성, 대규모 단말 수용 능력을 기반으로 자율주행자동차, 스마트공장, 스마트시티 등 전 산업 분야의 혁신적인 서비스 발전에 사회 인프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하였다. 이동통신기술은 정보 전달능력(데이터 전송속도, 지연시간, 단말의 수용 용량) 측면에서 1G~6G로 세대를 구분하며 발전하여 왔다. 특히, 최고 데이터 전송속도는 다양한 콘텐츠의 전달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으로, 3G에서의 최고 속도 2Mbps는 영상 서비스 제공 능력, 4G에서의 최고 속도 이동 시 100Mbps, 보행 시 1Gbps는 보편적인 인터넷 서비스 제공 능력을 제시하고 있다. 5G 이동통신의 최고 속도 20Gbps, 지연시간 1ms, 단말 수용 1km2 당 100만 대는 UHD 고화질 영상 서비스, 원격의료, 스마트공장 등의 분야에서 실시 간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용화 환경에서 보편적으 로 제공되고 사용자가 느끼는 속도는 개발을 위한 기술적인 능력과는 달리 환경에 따라 다른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348 성장동력산업 무인기 기반 IoT 네트워크를 위한 클러스터 헤드 선출 프레임워크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47 성장동력산업 연산 스토리지 기반 스니펫 스케줄러 1도토리 나혜선
2346 성장동력산업 주문형 네트워크 데이터 레포지토리 및 네트워크 AI 플랫폼 1도토리 나혜선
2345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편향성 이슈와 신뢰성 확보 방안 1도토리 나혜선
2344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토탈물류 서비스를 위한 복합물류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43 성장동력산업 다양한 실시간성 서비스를 만족하기 위한 고신뢰 및 저지연 무선전송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42 성장동력산업 밀리미터파 5G/5G+ 신호발생기 및 신호분석기 1도토리 박민혁
2341 성장동력산업 풍력에너지발전시스템 전자파적합성(EMC) 국제 표준화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40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IoT 기술과 사례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39 성장동력산업 밀폐 공간 내 감염병 위험도 감시를 위한 멀티모달 센싱 기반 감시지능 통합 시스템 1도토리 나혜선
2338 성장동력산업 심리상담용 RNN 기반 대화형 AI챗봇 개발 방안 1도토리 나혜선
2337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IoT 기술 개발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36 성장동력산업 멀티 소스 영상 자동 편집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35 성장동력산업 적응형 인터랙션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34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와 블록체인 기술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33 성장동력산업 컴퓨팅 컨티뉴엄: 임베디드-엣지- 클라우드 컴퓨팅 연계 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32 성장동력산업 MLP, CNN 기반 고신뢰 딥러닝 가속기 1도토리 나혜선
2331 성장동력산업 선호도 지원 정보인프라 자율제어 AI 기술 1도토리 나혜선
2330 성장동력산업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응용을 위한 ATSC 3.0 전송 프로파일 소개 1도토리 정한솔
2329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