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차세대 차량 통신 기술개발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08
용량 891.82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차세대 차량 통신 기술개발 동향.pdf 891.8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09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1 

5G 기술이 발전하고 시장이 성숙해지면서 사람 대 사람(Human-to-human) 간 통신을 넘어서 사물 간 통신(Internet-of-Things: IoT)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사물 간 통신에서는 기존과는 다른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므로 이에 적합한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사물 간 통신에서의 대표적인 예로는 차량 통신을 들 수 있다. 차량 통신은 차량 충돌 사고 방지, 자율주행 구현,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등의 다양한 목적을 위해 해당 서비스 시나리오에 적합한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본 고에서는 5G에서의 차량 통신 요구사 항, 표준화, 기술 개발에 대한 동향을 바탕으로 하여 차세대 6G에서 예상되는 차량 통신 기술에 대한 전망을 살펴보려고 한다. I. 서론 5G 이동통신은 기존 4G LTE(Long Term Evolution)와 다양한 측면에서 차별화가 이루 어지도록 개발되었다. 우선 성능 측면에서 수십 Gbps급 최대 데이터 전송률(Peak data rate), 수백 Mbps급 사용자 체감 데이터 전송률(User experienced data rate), ms급의 지연(Latency), 매우 높은 신뢰성(Reliability), 매우 높은 전송 밀도(Connection density), 매우 높은 이동성(Mobility) 등을 지원해야 한다[1]. 위와 같은 다양한 성능 목표치는 새로 개발된 다양한 5G 서비스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제시되었다. 이러한 5G 서비스들 은 다음과 같이 3가지 사용 예(Use case)로 분류할 수 있다[1]. 각 사용 예에 대한 대표적인 * 본 내용은 노고산 책임연구원(☎ 042-860-1183, gsnoh@etri.re.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이 논문은 2022년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o.2018-0-00792, 통신비 부담 경감을 위한 대중교통수단에서의 공공와이파이 체감 품질 개선 기술 개발) 차세대 차량 통신 기술개발 동향 Chapter 01 기획시리즈-차세대통신(6G 등) 정보통신기획평가원 3 서비스들을 [그림 1]에 나타내었다. -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고속의 대용량 전송을 위한 서비스로 높은 데이터 전송률 및 높은 사용자 밀도 제공을 목표로 하며 주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 해당한다. eMBB 서비스의 예로는 대용량 데이터 전송, 3D 비디오 스트리밍, 고화질 영상 전송 등을 포함한다. - URLLC (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매우 높은 전송 신뢰도와 매우 낮은 전송 지연이 필요한 서비스 지원을 목표로 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차량 통신, 공공 안전 및 재난 통신, 원격 의료, 산업 자동화 등을 포함한다. - 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닌 기계 간 통신을 위한 서비스 지원을 위해 매우 높은 전송 밀도, 저전력, 넓은 커버리지 지원 등을 목표로 한다. MTC의 예로는 원격 센서, 모니터링 장치 등을 포함한다. 상기 5G의 대표 서비스 중 차량 통신은 5G 응용 분야 중 시장성과 성장성이 매우 큰 분야이며, 구체적으로는 안전주행 및 자율주행 안전과 관련된 URLLC 서비스 및 인포테인먼 트 제공 등의 편의와 관련된 eMBB 서비스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차량 통신은 통신 대상에 따라 차량 대 차량(Vehicle-to-Vehicle: V2V), 차량 대 인프라(Vehicle-to-Infrastructure: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328 성장동력산업 멀티스펙트럼 영상기반 유해가스 검출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27 성장동력산업 홀로그램 재생 공간, 색 및 왜곡도 평가 광학 시스템 1도토리 정한솔
2326 성장동력산업 가상융합기술(XR) 특허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25 성장동력산업 비면허대역 Massive IoT 무선 접속 핵심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24 성장동력산업 연산스토리지 상에 쿼리 오프로드 인터페이스 1도토리 박민혁
2323 성장동력산업 머신 러닝 모델 기반 DBMS 근사 질의 처리 엔진 1도토리 나혜선
2322 성장동력산업 생성모델(Generative Model) 연구 동향 및 금융에서의 활용 1도토리 나혜선
2321 성장동력산업 AI를 활용하고 지원하는 지능형 사물인터넷 국제 표준 동향 1도토리 나혜선
2320 성장동력산업 열 치료 과정에서 생체 내부 온도감시 영상화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19 성장동력산업 광액세스용 100Gbps 코히어런트 광전송 디지털신호처리(DSP)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18 성장동력산업 오픈소스의 지식재산권 분쟁 대응 방안 1도토리 정한솔
2317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IoT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16 성장동력산업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데이터 소유권 증명 및 이전 기술 1도토리 박민혁
2315 성장동력산업 대규모 블록체인 트랜잭션 데이터 고확장성 저장 기술 1도토리 박민혁
2314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 관련 법적 쟁점 1도토리 나혜선
2313 성장동력산업 온디바이스 AI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나혜선
2312 성장동력산업 사이버 보안 오케스트레이션 및 자동 대응 기술 1도토리 나혜선
2311 성장동력산업 다중 시계열 데이터 기반 처리 및 통합 시스템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10 성장동력산업 스마트팩토리 환경의 사이버공격 및 대응체계 현황 1도토리 정한솔
2309 성장동력산업 차세대 지능형 교통 체계(C-ITS) 기술 동향 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