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엔비디아(Nvidia) 반도체 기술 현황과 의미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149
용량 365.32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엔비디아 반도체 기술 현황과 의미.pdf 365.3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09 
출처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페이지 수 : 12 

엔비디아(NVIDIA)는 미국의 컴퓨터 그래픽 처리창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를 설계하는 팹리스 전문업체로 1993년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고전하다가 1997년 출시한 RIVA 128이 4개월 만에 100만 개가 팔리면서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1998년에는 대만의 TSMC와 파트너십 관계를 맺으면서 반도체 설계에 전념하고 생산은 TSMC가 담당하는 분 업체제가 구축되었다. 1999년에 GPU를 처음으로 공개하였고, 2008년에는 TEGRA 모바일 프로세서를 출시했다[1]. 엔비디아는 2015년부터 가상화폐용 그래픽 카드 판매가 호조를 보이고, 2016년부터 인 공지능 산업이 성장하자 매출과 영업이익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주가가 급등하였다. 엔비 디아는 풍부한 자금력을 기반으로 관련업체를 인수합병(M&A)하고, 고급 기술 인력을 파격 적인 대우로 대거 스카웃하였다[2]. 2015년에는 딥러닝 분야에 진출했고, 2016년부터 인공지능 관련 제품을 출시하였다. 2019년부터는 자율주행차 및 전문가용 그래픽 시장을 선도하였고, 2021년에는 메타버스 제품을 공개하는 등 기술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그 결과 2020년 7월부터는 인텔을 누르고 미국 반도체업체 시가총액 1위로 올라섰고, 2021년 7월에는 TSMC를 누르고 세계 반도체 업체 시가총액 1위로 등극하였다[3]. 본 고에서는 인공지능, 자율주행, 메타버스 등 새로운 분야로 진출하면서 반도체 기술혁신 * 본 내용은 전황수 연구전문위원(☎ 042-860-5115, chun21@etri.re.kr)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내용은 필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며 IITP의 공식적인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엔비디아(Nvidia) 반도체 기술 동향 및 시사점 Chapter 02 주간기술동향 2022. 2. 9. 18 www.iitp.kr 을 주도하는 엔비디아의 성장과정과 반도체 기술동향을 살펴보고, 우리 반도체 산업 및 팹리 스 업계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II. 엔비디아의 성장과정 AMD에 근무하던 대만계 미국인 젠슨 황(Jensen Huang)은 게임을 좋아해서 게이머를 위한 GPU를 설계하기 위해 4만 달러를 가지고 1993년 1월 크리스 말라초스키(Chris Malachowsky), 커티스 프리엠(Curtis Priem)과 엔비디아를 공동으로 창업했다. 본사는 캘리포니아주 산타바바라에 위치하고 있다[4]. 초기에는 개인용 컴퓨터(PC)의 그래픽카드를 제작했는데 그래픽카드는 중앙처리장치(CPU) 의 연산결과를 그래픽 신호로 바꿔 모니터 화면에 보여주는 보조장치이다. 1995년에 첫 제품인 NV1을 출시했으나 가격이 비싸고 독자기술로 호환성이 떨어져 시장에서 외면당했 다. 잇따른 실패를 겪은 후 1997년 NV3를 공개했는데 3D 게임 시장이 성장하면서 큰 인기 를 끌었다[5]. 1999년 나스닥에 상장되었고, CPU 도움 없이도 GPU 자체적으로 3D 명령어를 처리하는 ‘GeForce256(NV10)’를 공개하여 GPU 시대를 열었다. 2001년에 NFORCE와 협업해 통합 그래픽 시장에 진출했다. 2002년에는 미국에서 가장 빨리 성장하는 기업으로 선정되었고, 2005년에는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3’용 프로세서를 개발했다. 2007년에는 Forbes사로부터 ‘올해의 기업’에 선정되었고, 2008년에는 TEGRA 모바일 프로세서를 출시했다. 2010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에 엔비디아 제품이 사용 되어 기술력을 과시했다. 2012년에는 KEPLER 아키텍처 기반 GPU를 출시했고, 2013년에 는 모바일 프로세서 제품군 TEGRA4를 출시했다. 2015년에는 NVIDIA DRIVE TEGRA X1을 출시하여 딥러닝 분야에 진출했고, 2016년 에는 PASCAL, DGX-1, DRIVE PX2를 통해 AI 혁명을 가속화했다. 2016년 8월에는 서버 시장에 진출했고, 자율주행차 전용 반도체를 공개했다. 2018년에는 TURNING 아키텍처와 함께 컴퓨터 그래픽스를 혁신시켰다. 2019년에는 임베디드, 데이터센터, 자율주행차 및 전문가용 그래픽 시장 전반에서 혁신을 이루었고, 2020년에는 Ampere GPU 아키텍처를 출시하였다. 2021년 11월 GTC 행사에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348 성장동력산업 무인기 기반 IoT 네트워크를 위한 클러스터 헤드 선출 프레임워크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47 성장동력산업 연산 스토리지 기반 스니펫 스케줄러 1도토리 나혜선
2346 성장동력산업 주문형 네트워크 데이터 레포지토리 및 네트워크 AI 플랫폼 1도토리 나혜선
2345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편향성 이슈와 신뢰성 확보 방안 1도토리 나혜선
2344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토탈물류 서비스를 위한 복합물류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43 성장동력산업 다양한 실시간성 서비스를 만족하기 위한 고신뢰 및 저지연 무선전송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42 성장동력산업 밀리미터파 5G/5G+ 신호발생기 및 신호분석기 1도토리 박민혁
2341 성장동력산업 풍력에너지발전시스템 전자파적합성(EMC) 국제 표준화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40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IoT 기술과 사례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39 성장동력산업 밀폐 공간 내 감염병 위험도 감시를 위한 멀티모달 센싱 기반 감시지능 통합 시스템 1도토리 나혜선
2338 성장동력산업 심리상담용 RNN 기반 대화형 AI챗봇 개발 방안 1도토리 나혜선
2337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IoT 기술 개발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36 성장동력산업 멀티 소스 영상 자동 편집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35 성장동력산업 적응형 인터랙션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34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와 블록체인 기술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33 성장동력산업 컴퓨팅 컨티뉴엄: 임베디드-엣지- 클라우드 컴퓨팅 연계 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32 성장동력산업 MLP, CNN 기반 고신뢰 딥러닝 가속기 1도토리 나혜선
2331 성장동력산업 선호도 지원 정보인프라 자율제어 AI 기술 1도토리 나혜선
2330 성장동력산업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응용을 위한 ATSC 3.0 전송 프로파일 소개 1도토리 정한솔
2329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