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필리핀의 인공지능 산업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140
용량 1.37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필리핀의 AI 산업 동향.pdf 1.3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0-14 
출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페이지 수 : 24 

[ 목 차 ]

 

Ⅰ. 아세안의 AI 산업 동향

 1. AI 도입 움직임

 2. AI 도입 영향

 

Ⅱ. 필리핀의 AI 산업 동향

 1. AI 경쟁력 및 개발 현황

 2. AI 산업육성 정책

 

Ⅲ. 시사점

 


 

1. AI 도입 움직임 v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4차 산업혁명 도입이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아세안 각국도 AI 기반의 디지털 기술 도입과 투자가 진행 중 n 아세안 지역의 전반전인 AI 도입 수준은 초기단계이며 이동통신, 금융, 교통 및 물류 영역에서 비교적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 - 글로벌 컨설팅 기업이 아세안의 AI 도입 현황을 조사한 보고서에 따르면 83%가 투자·개발전략 수립 또는 시범 적용에 해당하는 초기단계, 15%가 본격적인 도입을 진행하는 단계에 있는 것으로 조사 < 아세안 국가별 AI 도입 현황 > * 출처 : Kearney – EDBI AI Study (2020) 2 n 최근 아세안 지역 내 AI 솔루션 개발 관련 투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투자활동이 가장 활발한 싱가포르의 경우 1인당 투자액이 68달러 규모의 투자가 진행- 아세안의 AI 분야 상위 10개 기업 중 9개가 싱가포르 기업으로 포진되어 있으며 이들 기업들이 제공하는 AI 솔루션 서비스는 아세안 권역으로 확대 * Biofourmis는 웨이러블 생리학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강분석 플랫폼을 개발하여 싱가포르와 인도네시아에서 서비스를 운영 - 싱가포르는 AI 준비도에서 글로벌 최상위귄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들 역시 싱가포르에 AI 관련 연구센터를 설립하는 등 아세안의 AI 산업을 선도* 중국(YIYUTech, Alibaba), 영국(Dyson), 미국(Google, Facebook, Infinion), 한국(현대자동차) 등이 싱가포르에 AI 관련 연구센터를 설립하여 운영 중n 싱가포르를 제외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및 베트남 등 주요 아세안 국가들은 최근 AI 육성 전략을 발표하고 아세안의 AI 선도국 도약을 목표로 제시- 말레이시아는 디지털경제공사(MDEC)를 중심으로 AI 투자 및 기술협력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국 Alibaba와 공동으로 실시간 도시 교통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시티 브레인(Malaysia City Brain) 플랫폼을 개발 - 인도네시아는 아세안 내 민간 주도의 AI 기반 스타트업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국가이며, 인도네시아 정부는 ‘Making Indonesia 4.0’를 통해 AI 기술협력 및 인력양성을 위해 미국, 중국 등 기술 선도국들과 협력활동을 추진 - 태국은 Thailand 4.0 전략을 통해 AI, 로봇을 포함한 디지털 분야를 전략산업으로 지정하였으며 주요 산업분야인 제조, 의료, 관광산업과 연계한 AI 기술개발을 추진 - 베트남은 ‘Make in Vietnam’을 발표(20.12)하고 AI 분야에서 2030년까지 아세안에 주요 4대 국가로 부상하고 전 세계 상위 50위 내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340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IoT 기술과 사례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39 성장동력산업 밀폐 공간 내 감염병 위험도 감시를 위한 멀티모달 센싱 기반 감시지능 통합 시스템 1도토리 나혜선
2338 성장동력산업 심리상담용 RNN 기반 대화형 AI챗봇 개발 방안 1도토리 나혜선
2337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IoT 기술 개발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36 성장동력산업 멀티 소스 영상 자동 편집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35 성장동력산업 적응형 인터랙션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34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와 블록체인 기술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33 성장동력산업 컴퓨팅 컨티뉴엄: 임베디드-엣지- 클라우드 컴퓨팅 연계 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32 성장동력산업 MLP, CNN 기반 고신뢰 딥러닝 가속기 1도토리 나혜선
2331 성장동력산업 선호도 지원 정보인프라 자율제어 AI 기술 1도토리 나혜선
2330 성장동력산업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응용을 위한 ATSC 3.0 전송 프로파일 소개 1도토리 정한솔
2329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사물인터넷 산업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328 성장동력산업 멀티스펙트럼 영상기반 유해가스 검출 기술 1도토리 정한솔
2327 성장동력산업 홀로그램 재생 공간, 색 및 왜곡도 평가 광학 시스템 1도토리 정한솔
2326 성장동력산업 가상융합기술(XR) 특허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25 성장동력산업 비면허대역 Massive IoT 무선 접속 핵심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324 성장동력산업 연산스토리지 상에 쿼리 오프로드 인터페이스 1도토리 박민혁
2323 성장동력산업 머신 러닝 모델 기반 DBMS 근사 질의 처리 엔진 1도토리 나혜선
2322 성장동력산업 생성모델(Generative Model) 연구 동향 및 금융에서의 활용 1도토리 나혜선
2321 성장동력산업 AI를 활용하고 지원하는 지능형 사물인터넷 국제 표준 동향 1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