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지속가능개발목표 (SDGs) 달성을 위한 산업정책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124
용량 4.08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지속가능개발목표 (SDGs) 달성을 위한 산업정책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pdf 4.0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1-02 
출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페이지 수 : 44 

[ 목 차 ]

 

Ⅰ. 서론

 

Ⅱ. SDG에 대한 기업의 역할

 

Ⅲ. 민간 부문의 SDG 기여 측정

 

Ⅳ. SDG 관련 활동의 국가 간 영향

 

Ⅴ. SDG 달성을 위한 산업정책

 

Ⅵ. 결론 및 시사점 

 


 

Ⅰ. 서론 UN은 지난 ’15년 채택한 지속가능개발목표(SDG) 17개에 대해 전 세계적인 대응이 아직 미흡하나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각 정부의 지속가능성 관련 기업 투자 지원 추세가 등장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UN의 SDG는 빈곤퇴치부터 목표를 위한 협력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를 포괄 ’20년 보고서를 통해 일부 분야에서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목표 달성을 위한 글로벌 각 국의 노력이 부족하다는 입장을 제시하고, ’30년까지 SDG 달성을 위해 더욱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 UN SDG 분야 코로나19 팬데믹이 SDG 목표달성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으나 많은 국가들이 위기에 대응해 ‘더 나은 재건(build back better)’을 목표로 하며 SDG와 관련된 경제 회복 정책과 계획을 발표 - 특히 환경 등 지속가능성 관련 기업 투자를 적극 지원하는 정부의 움직임이 두드러지는 추세 * EU의 유럽경제회복기금(European Recovery Fund), 한국의 한국판뉴딜종합계획(Korean New Deal) 등 OECD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 달성을 위한 산업정책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 2 민간 기업 부문에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책임 있는 비즈니스 행동 (responsible business conduct) 등의 개념을 통한 SDG 수용 움직임이 포착 최근에 급부상하고 있는 ESG 투자 개념은 기업에 대한 소비자, 금융 및 투자업계의 책임성 요구와 기업의 지속가능성 조치가 가지는 투명성에 대한 필요성을 반증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활동의 영향 정도를 측정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 - SDG와 관련하여 기업 부문에서 합의된 지표 개발이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 - 수량화된 지표 없이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활동을 객관화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에 대응하여 공공정책을 수립하기도 곤란 이번 OECD 보고서는 민간 기업들의 SDG에 대한 공헌 및 그 측정 방식에 대해 검토 - 특히 프로그램화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기업들의 SDG 대응을 측정하고, 국가 간 투입산출표(ICIO)*를 활용하여 기업 SDG 활동의 국경간/산업간 영향을 추적 * Inter-country Input Output 기업의 SDG 활동 촉진을 위한 정부의 산업정책 방향에 대한 관심도 고조 특히, 사회적 과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혁신과 성장에 목표를 두고 있는 미션 지향적 산업전략(mission-oriented industrial strategies)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 본 보고서에서는 기업이 자사 핵심 비즈니스를 통해서도 SDG 달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부가 산업정책을 구사할 수 있는지를 검토 그간 이루어진 미션 지향적 산업전략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EU 주요 회원국 7개국의 기존 정책 지형에 대한 분석을 실시 - 다수 국가들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증진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 도구를 활용 중이나 미션 지향적 산업전략을 통해서 적정한 거버넌스 구조를 수립하는 한편, 종합적인 정책 툴킷 마련이 요구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308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데이터 변환 및 증식 SW 1도토리 정한솔
2307 성장동력산업 에너지 기반 컴퓨팅 시스템 플랫폼 1도토리 박민혁
2306 성장동력산업 스마트시티의 초개인화 서비스와 기반기술에 관한 연구 1도토리 박민혁
2305 성장동력산업 융합산업을 가속화하기 위한 6G 이동통신기술의 도입 전망 1도토리 박민혁
2304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우크라이나 지정학 리스크, 그리고 유가의 방향성 1도토리 민준석
230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대웅제약 2022 년도에도 이어질 호실적 시현 1도토리 민준석
2302 성장동력산업 생체 수치모델 내 전자파 및 발열 해석 시뮬레이터 1도토리 황세영
2301 성장동력산업 Sub-THz 대역 전자파적합성 측정 및 소재부품 성능평가 기술 1도토리 황세영
2300 성장동력산업 LiDAR 센서용 광검출소자의 특허 동향 분석 1도토리 황세영
2299 성장동력산업 차세대 차량 통신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조정희
2298 성장동력산업 접근 제어/권한 위임이 가능한 데이터 암호화 및 암호화 공개 검증 증명 기술 1도토리 조정희
2297 성장동력산업 분산 트랜잭션 데이터 비잔틴 장애 내성 감사 기술 1도토리 조정희
2296 성장동력산업 엔비디아(Nvidia) 반도체 기술 현황과 의미 1도토리 민준석
2295 성장동력산업 지능형 사물인터넷의 관점에서 바라본 6G 네트워크 1도토리 민준석
2294 성장동력산업 시각 상식 모델 구축 기술과 객체간 관계특성에 대한 장면 그래프 생성 및 확장 기술 1도토리 황세영
2293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기반 인과 관계 질의응답 시스템 1도토리 황세영
2292 성장동력산업 개인 간 분산신원증명 시스템 1도토리 황세영
2291 성장동력산업 6G 이동통신을 위한 임의 접속 기술 발전 방향 1도토리 조정희
229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화생명 안정적 이익흐름 예상 1도토리 조정희
228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자화전자 4Q 실적은 예상 상회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