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중국의 2021년도 경제 산업 정책 방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34
용량 264.43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중국의 2021년도 경제 산업 정책 방향.pdf 264.4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8-18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2021년의 의미) 코로나19, 미 ․ 중 갈등 등 불확실한 대외관계와 경제상황에서 신중한 출구를 모색하는, 경제 운영에 중요한 한 해 - 중국은 2개의 100년 목표가 있는데, 중국공산당 창당 100주년과 중화인민공화국 건립 100년(1949~2049년)의 장기집권 - 2021년은 장기집권 1단계(2020~2035년)와 중복되는 해이며, 중국공산당 창당 100주 년이 되는 한 해 ∙ 2020년은 미 ․ 중 갈등으로 인한 미국의 견제, 코로나19 발생으로 제13차 5개년 계 획의 성장목표를 이루지 못하여 더욱 금년도 경제 성장이 중요 ∙ 중국정부의 숙원사업인 “샤오강(小康)사회* 건설”, “3대 난제” 해결에 중요한 시기로 경제안정의 토대위에 구조적 문제를 해결에 역점을 두는 시기 * 샤오강(小康)사회 : 1979년 덩샤오핑(鄧小平)이 처음 언급하였고, 2002년 장쩌민(江澤 民)이 16차 중국공산당 당대회에서 제시한 중국사회 비전임. 모든 국민이 중산층이상의 삶을 유지하는 사회를 의미하며, 2021년은 샤오강사회의 전면적 완성 목표달성 시기 ** 3대 난제 : 금융리스크 방지 및 해소, 빈부격차 해소, 환경오염대책 ● (주요 경제정책) 2021년 경제정책방향은 제14차 5개년 계획(2021~2025년)과 중앙경제 공작회의의 회의결과를 통해 파악 - 중국의 1년 거시경제정책은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회의(4월경, 수시)→ 중국 중앙경제 공작회의(12월)→ 중국인민대표대회(3월)를 거쳐 공표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은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선거로 선출되는 최고 핵심기구로, 시민핑 주석이 총서기를 맡고 있음 중국의 2021년도 경제 ․ 산업 정책 방향 [애자일] KIAT 산업기술정책센터 정책기획실(’21.1.26) KIAT [애자일] 2021년 제2호 중국의 2021년도 경제 산업 정책 방향 2 ∙ 중국 중앙경제공작회의는 매년 12월에 열리는 경제관련 최고위 당정회의로, 1년간의 성과를 평가하고, 차년도 경제정책방향을 결정하는 회의 - 제14차 5개년 계획은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중앙위원회 19기 5차 전체회의에서 결정 ∙ 중국정치는 5년 주기로 운영되는데, 시진핑 주석은 2012년에 선출되어 2017년 연임 되었으며, 이후에도 계속 집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2020년 10월 26일~29일에 열린 전체회의에서 제14차 5개년 계획(2021~2025년)과 2035년 계획이 결정되었음 - 중앙경제공작회의의 2021년도 경제운영계획과 제14차 5개년 계획의 최종안과 세부 과제는 3월에 열리는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승인되어 공표될 예정 * 양회가 열리는 시기로,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해 5월에 개최 2. 중앙경제공작회의의 경제정책방향 ● (주요 방향) 2021년도 경제정책 방향으로 “정책의 연속성, 안정성, 지속가능성”을 강조 하고, 경제의 소프트랜딩(출구모색)을 제시 - (2020년 평가) 코로나19로 인해 경제활동이 대폭 축소된 “일상적일 수 없는 한 해”였 지만, “인민이 만족하고, 세계가 주목하고, 역사에 남는 해답을 만든 한 해”로 자평 ∙중국이 주요국 중에서 유일하게 (+) 성장을 기록 * 2020년 대비 실질 GDP 성장률 : 1분기 –6.8%, 2분기 +3.2%, 3분기 +4.9% * 제13차 5개년 계획의 목표인 평균 +6.5%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4분기 19.0% 이상 성장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렵고, 2020년 중국의 성장률은 +2.2~2.3%로 예상되고 있음.1) ∙코로나19 대응 성공요인은 제도의 확실성(우위성), 과학적 정책결정과 창조적인 대응이 었으며, 이는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킨 것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 ∙그러나, 향후 경제는 불확실성과 불안정성이 높아, 회복은 불안정, 불균형적이고, 코로 나19 에 의한 파생적 위험이 상존하고 있으며, 원자재 가격 급등, 채무리스크 상승, 코로나19 의 재급등 위험이 상존한다고 판단 - 2021년은 정책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현 경제상황에서 출구를 모색하는 것으로 방향 을 잡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321 성장동력산업 美 정부 및 산업, 반도체 공급망 강화 노력 1도토리 장민환
2320 성장동력산업 2022년, 美 과학기술 정책 관련 10가지 이슈 1도토리 장민환
2319 성장동력산업 독일 탄소중립 정책 주요 내용 3도토리 장민환
2318 성장동력산업 美 에너지부(DOE), 1년 성과 요약 1도토리 장민환
2317 성장동력산업 독일 원자재 전략 주요 내용 1도토리 조정희
2316 성장동력산업 美 하원, 2022년 미국 경쟁법 통과 및 상원 협상 시작 1도토리 조정희
2315 성장동력산업 유럽반도체법 1도토리 조정희
2314 성장동력산업 美 공급망 100일 검토 보고서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② : 핵심 광물·소재 및 의약품 3도토리 이지훈
2313 성장동력산업 유럽 첨단기술 트렌드와 차세대 신기술 확산 전망 연구 3도토리 이지훈
2312 성장동력산업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지속가능개발목표 (SDGs) 달성을 위한 산업정책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3도토리 장민환
2311 성장동력산업 <2021 국제에너지기구(IEA) 글로벌 수소 리뷰>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3도토리 장민환
2310 성장동력산업 가상 현실(VR)을 통한 30년 커뮤니케이션 변환 3도토리 장민환
2309 성장동력산업 獨 숄츠 정부의 산업기술혁신 정책방향 3도토리 조정희
2308 성장동력산업 AI 개발의 혁신견인차, ‘MLOps'란? 1도토리 조정희
2307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중장기 발전 전략 1도토리 이지훈
2306 성장동력산업 새로운 세상으로 연결하는 메타버스 1도토리 이지훈
2305 성장동력산업 지속가능성과 산업변화 1도토리 이지훈
2304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가 승객경제 견인, 새로운 변화와 대응방향 1도토리 장민환
»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2021년도 경제 산업 정책 방향 1도토리 장민환
2302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전환 시대, 다시 주목받는 블록체인 기술 1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