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첨단제조 혁신을 통한 기업 ESG 지원 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94
용량 361.06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첨단제조 혁신을 통한 기업 ESG 지원 방안.pdf 361.0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17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세계경제포럼(WEF)이 첨단제조 선도기업을 대상으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로의 전환을 위한 운영·사업 모델 혁신 및 타 산업 지원 조치와 관련 예시를 조사 * (Stakeholder Capitalism) 주주의 이익뿐만 아니라 고객·근로자·지역사회 등 모든 이해관계자를 존중하는 기업경영 - 기후변화, 지정학적 변동, 혁신 기술 출현 등의 글로벌 메가트렌드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기업에 대한 ESG 관련 압력이 증대 - 첨단제조 기술과 솔루션은 수익성·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 동시에 ESG 지표를 범산업적으로 정확하고 일관되게 측정·보고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 ▘첨단제조 기술의 기업 ESG 지원 예시▗ 주요 전략 주요 활동 및 관련 기업 인더스트리 4.0 ∙ 인더스트리 4.0과 기업문화가 기업의 지속가능성 의제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 담당 - (Flex) 중국 주하이시 사업장에서 자동화·분석·IoT기술을 적용해 에너지·자원의 비정상적 사용 추이를 감지하는 스마트 시스템을 개발한(’19) 이후, 부지 전체 전력과 용수 소비량을 각각 29%, 31% 감축(’19~’20) 엣지 AI 생산 ∙ 엣지 기반 AI 센싱 솔루션은 기존 클라우드 분석 과정의 에너지 집약적인 데이터 이전 절차를 제거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감축하고 운영 효율성을 제고 - (Analog Devices) 자산 모니터링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98% 감소 디지털 도구 사용 ∙ 웨어러블 기기·SW 등 디지털 도구 활용 및 지속적인 측정, 반복적 훈련 모듈 접근 등을 통한 근로자 역량 증진으로 업계 비용 절감과 환경 보호 달성을 촉진 - (Magic Leap) 이동 감소에 따른 배출량 50% 감축, 조립 작업자의 램프업(ramp up) 시간 단축으로 생산율 및 시간 절약 효율성 220% 증가 IIoT 기반 실시간 운영 ∙ 기계의 성능 및 에너지 소비 관련 데이터 가시성 개선을 위해 산업인터넷(IIoT) 기반을 활용함으로써 ESG 지표 모니터링·보고 등을 지원 - (PTC) 예기치 못한 다운타임 30%, 제조 주기 시간 16~20%, 목표 기준 대비 에너지 소비량 13.2% 저감 지속가능성 및 에너지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 ∙ 지속가능성·에너지 관리 소프트웨어와 결합된 지능형 장치를 통해, 에너지 수요를 줄이고 효율성을 증대하는 새로운 차원의 통찰력 도출 및 실시간 에너지 관리 가능 - (Rockwell Automation) 생산 관련 표준 에너지 데이터 모델을 구축해, 유휴 기계의 에너지 소비를 파악·차단하여 온실가스 배출 및 비용 소모를 감축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248 성장동력산업 지속가능성과 산업변화 1도토리 이지훈
2247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가 승객경제 견인, 새로운 변화와 대응방향 1도토리 장민환
2246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2021년도 경제 산업 정책 방향 1도토리 장민환
2245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전환 시대, 다시 주목받는 블록체인 기술 1도토리 장민환
2244 성장동력산업 DX 시대의 사람과 기계의 협업 방식, Operator 4 1도토리 장민환
2243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디지털 개혁과 디지털청 출범 1도토리 장민환
2242 성장동력산업 반도체,디스플레이 기업 추이분석 결과 및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2241 성장동력산업 차세대 이차전지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2240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녹색전환(GX) 리그 설립 구상 1도토리 이지훈
2239 성장동력산업 아세안 주요국의 탄소중립 현황 1도토리 이지훈
2238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전략적 산업정책 필요성과 사례 1도토리 이지훈
2237 성장동력산업 ’22년 세계 경제 핵심 주목 요인 1도토리 장민환
2236 성장동력산업 ’22년 반도체 시장 전망 1도토리 장민환
2235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배터리 가치사슬의 기회와 도전 1도토리 조현상
2234 성장동력산업 미래 유망 탄소중립 기술 1도토리 조현상
2233 성장동력산업 확장현실(XR) 헤드셋 수요 증가에 따른 시장 전망 1도토리 조현상
2232 성장동력산업 미국·유럽의 ESG 투자 동향 1도토리 이지훈
2231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대중 수입 동향과 글로벌 공급망 재검토 1도토리 이지훈
223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일본 노동시장의 인재관리 1도토리 장민환
2229 성장동력산업 중국 반도체 산업 현황 분석과 발전 전망 1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