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우주항공 분야 첨단 제조혁신 연구소 출범 필요성 고찰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124
용량 365.9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우주항공 분야 첨단 제조혁신 연구소 출범 필요성 고찰.pdf 365.9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17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이 저궤도(LEO)에서의 제조 및 관련 연구를 지원하고 미래 우주 인력을 구축할 미국 SPACE* 제조혁신연구소(Manufacturing USA Institutes in SPACE) 출범 필요성을 강조 * (Space Platforms Advanced Competitive Engineering) 경쟁력 있는 첨단 공학 우주 플랫폼 - ’30년대 중반까지 우주 바이오 제조시장 규모가 약 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등 우주가 첨단제조 부문의 차세대 개척 분야로 부상하면서*, 미세중력(microgravity) 환경에서의 대규모 제조 기회를 포착하기 위한 조직화된 노력이 요구 * NASA는 (첨단재료) 금속유기 골격체와 메타물질, 세라믹, 합금 (결정생산/Crystal Production) 무기결정, 대/소 분자 결정, 균일한 단백질 결정 (박막증착) 반도체, 그래핀, 인공망막 (조직 공학 및 재생 의학) 질병 모델링을 위한 생체조직 칩 및 오가노이드, 줄기세포 생산, 3D 바이오 제조(bio-fabrication) 등을 국제우주정 거장에서 탐구해야 할 4대 주요 연구 영역으로 선정 - 특히 기회의 우선순위 설정, 우주 기반 R&D 위험 저감 및 관련 결과의 상업적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민관 컨소시엄 수립이 필요하다는 의견 제기 ※ ITIF는 국제우주정거장(ISS) 연구를 통해 미세중력 환경에서의 제조를 탐구하기 위한 조치가 행해지고, 우주 과학 플랫폼 개발을 위한 민간영역의 관심이 지대해지고 있는 만큼 새로운 통합 노력을 시작할 시기가 도래했다고 평가 ‘우주에서의 제조(manufacturing in space)’에 관심 있는 다수 행위자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제조혁신연구소(Manufacturing USA Institutes)가 필수적 - NASA가 지구 저궤도 경제 발전을 지원하고 기타 정부 기관이 저중력 환경 제조에 관심을 나타내* 온 반면, 민간 부문은 최근에야 새로운 우주 연구 플랫폼 지원을 시작하며 첨단제조와 관련한 미세중력의 역할 탐구 분야에 진입 * ▲(미국항공우주국/NASA) 우주 생산 기술 분야에서 미국의 지속적 우위를 보장할 첨단재료 및 제조 관련 국가 우선 순위와 고가치 기회 정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산하기관인 바이오 테크놀로지 사무소가 B-SURE (바이오제조, 생존, 유틸리티 및 안정성) 연구 프로그램 제안 발표 ▲(미국국립과학재단/NSF) 국제우주정거장의 마이크로 유체 연구에 자금 지원 ▲(미국국립보건원/NIH) 다 분야 미세중력 연구 지원 등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248 성장동력산업 지속가능성과 산업변화 1도토리 이지훈
2247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가 승객경제 견인, 새로운 변화와 대응방향 1도토리 장민환
2246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2021년도 경제 산업 정책 방향 1도토리 장민환
2245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전환 시대, 다시 주목받는 블록체인 기술 1도토리 장민환
2244 성장동력산업 DX 시대의 사람과 기계의 협업 방식, Operator 4 1도토리 장민환
2243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디지털 개혁과 디지털청 출범 1도토리 장민환
2242 성장동력산업 반도체,디스플레이 기업 추이분석 결과 및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2241 성장동력산업 차세대 이차전지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2240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녹색전환(GX) 리그 설립 구상 1도토리 이지훈
2239 성장동력산업 아세안 주요국의 탄소중립 현황 1도토리 이지훈
2238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전략적 산업정책 필요성과 사례 1도토리 이지훈
2237 성장동력산업 ’22년 세계 경제 핵심 주목 요인 1도토리 장민환
2236 성장동력산업 ’22년 반도체 시장 전망 1도토리 장민환
2235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배터리 가치사슬의 기회와 도전 1도토리 조현상
2234 성장동력산업 미래 유망 탄소중립 기술 1도토리 조현상
2233 성장동력산업 확장현실(XR) 헤드셋 수요 증가에 따른 시장 전망 1도토리 조현상
2232 성장동력산업 미국·유럽의 ESG 투자 동향 1도토리 이지훈
2231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대중 수입 동향과 글로벌 공급망 재검토 1도토리 이지훈
223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일본 노동시장의 인재관리 1도토리 장민환
2229 성장동력산업 중국 반도체 산업 현황 분석과 발전 전망 1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