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수출이 국민경제에 끼친 기여 효과 검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25
용량 954.85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수출이 국민경제에 끼친 기여 효과 검토.pdf 954.8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27 
출처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페이지 수 : 26 
[ 목 차 ]
 
요약
 
Ⅰ. 연구배경 및 방법
Ⅱ. 수출의 국민경제 기여
 1. 경제성장 기여 효과
 2. 부가가치 유발효과
 3. 취업유발효과
Ⅲ. 결론 및 시사점
 
부록
참고문헌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EBSI)가 여섯 분기 연속 100 이상을 기록하며 우리 수출이 4분기에도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원장 박천일)이 국내 1036개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한 ‘2021년 4/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에 따르면 4분기 EBSI는 106.0으로 지난 3분기(113.5)에 비해 소폭 감소했으나 여전히 100을 상회하면서 우리 수출이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지수가 100을 상회하면 향후 수출여건이 지금보다 개선될 것으로 본다는 의미다.

  품목별로는 백신 보급으로 인한 글로벌 수요 회복 흐름이 지속되면서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143.4), 의료·정밀 및 광학기기(129.0), 기계류(111.5) 등 주요 15대 품목 중 10개 품목의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자동차의 경우 친환경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단가 상승세가 유지되고 있으며, 기계류는 세계 각국이 경기 부양을 위한 인프라 투자에 나서면서 건설·공작기계 등을 중심으로 수출 증가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석유제품(76.3), 플라스틱 및 고무제품(79.6), 화학공업(76.3)의 경우 지난 3분기 대비 수출환경이 악화될 것으로 나타났다. 유가 상승으로 인해 원재료 가격이 상승하고, 미국 휘발유 사용 성수기(드라이빙 시즌) 효과가 축소되면서 석유제품 관련 수요가 감소할 것을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항목별로는 ‘수출계약’(113.2), ‘수출상담’(111.8), ‘수출국 경기’(109.5) 등의 환경이 좋아질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코로나19 백신 보급에 따른 주요국 경기 회복과 수출활력 제고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수출상품 제조원가’(79.0), ‘수출채산성’(87.8), ‘수출단가’(90.6) 등 항목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4분기 수출 애로요인으로 가장 많이 지목한 항목은 ‘물류비용 상승’(24.3%)과 ‘원재료 가격 상승’(24.3%)으로 나타났다. 특히 물류비용 상승에 대한 애로사항이 지난 3분기 대비 1.9%p 상승하는 등, 해상운임의 가파른 상승세가 수출기업의 경영활동에 큰 애로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상운임의 지표 중 하나인 상하이컨테이너 운임지수(SCFI)는 코로나 이전에는 900 내외의 수준을 유지했으나 올해 4월 2일 2582.42로 상승한 데 이어, 9월 17일 기준으로 4622.51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무역협회 도원빈 연구원은 “4분기 EBSI도 100을 상회하면서 수출 회복세는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해상운임의 지속적인 상승과 선복 확보의 어려움, 원재료 가격 상승 등은 우리 수출의 성장세를 제약하는 요인”이라고 말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248 성장동력산업 지속가능성과 산업변화 1도토리 이지훈
2247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가 승객경제 견인, 새로운 변화와 대응방향 1도토리 장민환
2246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2021년도 경제 산업 정책 방향 1도토리 장민환
2245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전환 시대, 다시 주목받는 블록체인 기술 1도토리 장민환
2244 성장동력산업 DX 시대의 사람과 기계의 협업 방식, Operator 4 1도토리 장민환
2243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디지털 개혁과 디지털청 출범 1도토리 장민환
2242 성장동력산업 반도체,디스플레이 기업 추이분석 결과 및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2241 성장동력산업 차세대 이차전지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2240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녹색전환(GX) 리그 설립 구상 1도토리 이지훈
2239 성장동력산업 아세안 주요국의 탄소중립 현황 1도토리 이지훈
2238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전략적 산업정책 필요성과 사례 1도토리 이지훈
2237 성장동력산업 ’22년 세계 경제 핵심 주목 요인 1도토리 장민환
2236 성장동력산업 ’22년 반도체 시장 전망 1도토리 장민환
2235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배터리 가치사슬의 기회와 도전 1도토리 조현상
2234 성장동력산업 미래 유망 탄소중립 기술 1도토리 조현상
2233 성장동력산업 확장현실(XR) 헤드셋 수요 증가에 따른 시장 전망 1도토리 조현상
2232 성장동력산업 미국·유럽의 ESG 투자 동향 1도토리 이지훈
2231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대중 수입 동향과 글로벌 공급망 재검토 1도토리 이지훈
223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일본 노동시장의 인재관리 1도토리 장민환
2229 성장동력산업 중국 반도체 산업 현황 분석과 발전 전망 1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