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CES 2022를 통해 본 COVID-19 공존시대 혁신 트렌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류지원 조회수 103
용량 4.3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CES 2022를 통해 본 코로나 공존시대 혁신 트렌드.pdf 4.3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0 
출처 : 한국무역협회 
페이지 수 : 15 

전 세계의 혁신 기술과 제품이 한자리에 모이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인 CES가 2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개최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 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에서 주관하며, 1967년 가전 전시회로 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최첨단 기술 트렌드를 선보이는 IT・가전 전시회로 그 의미가 확대  CES 2021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면 비대면인 ‘All Digital’로 개최되었으나 올해 CES는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개최  금년 CES에는 2021년도의 1,961개사보다 약 10% 증가한 2,200개사 참가 예정 - 당초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참가가 예정되었으나 2021년 말 악화된 코로나19 상황으로 구글, 메타 (舊페이스북), 아마존, 트위터 등이 온라인 참가로 전환  CES 2022에 참가하는 한국 기업은 416개사로1), 2020년의 390개사에 이어 다시 한번 역대 최대를 기록 - 특히 스타트업은 228개사로 전체 한국 기업의 54.8%를 차지 ◉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며 행사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음에도 불구, CES 2022는 여전히 미래 트렌드와 혁신 기술을 한눈에 조망하는 전시회로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킴  코로나 감염 우려로 인한 비대면 확산・이동제한 등의 사회분위기를 반영해 원격으로 건강을 관리하는 디지털 헬스, 방역과 위생, 바이러스 진단 관련 제품도 다수 등장  ESG2)의 최근 이슈화를 통해 중요성이 높아진 지속가능성도 전 산업을 관통하는 주요 가치로 부상  또한 푸드테크(Food Technology)와 우주산업기술(Space Technology)이 별도 카테고리로 분리 전시 - 푸드테크 분야에서는 글로벌 농기계제조사인 존디어(John Deer), AI를 이용한 쿠킹 로봇 솔루션 비욘드 허니컴(Beyond Honeycomb), 식물성 대체육 임파서블푸드(Impossible Food) 등 식품의 생산・유통・ 소비 전 주기에 걸친 다양한 제조 및 서비스 기업이 참가 - 우주산업기술 부문에서는 우주비행선 개발사인 시에라 스페이스(Sierra Space)의 우주정거장 물류수송용 왕복선인‘드림 체이서(Dream Chaser)’의 전시 등 생활과 밀접해진 우주산업기술을 소개 1) 언론보도 종합 2) ESG 경영은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로 기업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탄소배출 감축에 노력하며 사회 공헌에 힘쓰고 윤리경영에 앞장서야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다는 경영 방침을 의미 TRADE BRIEF 03 Ⅱ 혁신상 수상제품으로 살펴본 CES 2022 주요 트렌드 ◉ CES 2022에서는 27개의 세부 카테고리별로 창의적인 기술・제품에 대해 총 623개의 혁신상(Innovation Awards)을 수여함3)  혁신상은 각 카테고리별로 디자인, 기술 등에서 상위 점수를 받은 제품이 선정되며 전체 분야를 통틀어 높은 점수를 받은 제품에는 최고혁신상(Best of Innovation)이 수여됨 ◉ 수상제품 분석 결과 ①헬스/웰니스, ②모빌리티, ③지속가능성, ④가상/증강 현실 분야의 기술과 제품이 전년대비 크게 늘며 CES 2022의 혁신 트렌드를 주도  CES 2022 혁신상 카테고리에서 헬스/웰니스 (Health & Wellness) 분야는 77개의 제품이 선정되어 전년에 이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는 코로나19의 지속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됨  모빌리티(Vehicle Intelligence&Transportation) 분야에서도 자율주행 기술, 정확도를 높인 이미징 레이더, 라이다센서4) 등 스마트 모빌리티 관련 제품이 다수 선정 - CES는 2014년 스마트카를 시작으로 차세대 모빌리티 기술을 선보이며 모빌리티 분야의 혁신을 이끌어왔음 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과 사회적 책임 등이 중요한 이슈로 부상함에 따라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Eco-Design & Smart Energy) 분야의 수상 비중도 전체의 5.5%를 차지  비대면의 일상화에 따른 메타버스 등 가상현실 관련 기술의 수요가 커져 AR/VR 분야의 19개 제품이 혁신상 수상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228 성장동력산업 중국 기업 디지털 전환 청서 1도토리 장민환
2227 성장동력산업 대만 전자산업 관련 주요 동향 1도토리 장민환
2226 성장동력산업 유럽 메탄 전략이 천연가스 수급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조현상
2225 성장동력산업 경제적 측면에서 EU의 대중국 기조 변화 1도토리 조현상
2224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RCEP 참여에 따른 영향 고찰 1도토리 조현상
2223 성장동력산업 ’22년 독일 디지털 환경의 새로운 변화 1도토리 정한솔
2222 성장동력산업 중국 14차 5개년 지능형제조발전규획 1도토리 노민우
2221 성장동력산업 중국 14차 5개년 원자재산업발전규획 1도토리 국준아
2220 성장동력산업 인도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생태계 개발 프로그램 1도토리 국준아
2219 성장동력산업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국경을 초월한 정부 혁신 달성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3도토리 정한솔
2218 성장동력산업 반도체 부족 사태 현황 정보요청 결과 1도토리 정한솔
2217 성장동력산업 ’22 다보스 어젠다 주요 쟁점 및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2216 성장동력산업 자동차산업 탄소중립 대응 동향 1도토리 노민우
2215 성장동력산업 순환경제 시대 재활용이 소재산업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노민우
2214 성장동력산업 첨단제조 혁신을 통한 기업 ESG 지원 방안 1도토리 국준아
2213 성장동력산업 ’22년 주목해야 할 12가지 기술 동향 1도토리 국준아
2212 성장동력산업 (산업·기술동향) 글로벌 공급망 과제 및 대응 방향성 1도토리 국준아
2211 성장동력산업 EU 회원국의 글로벌 가치사슬 관련 정책과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2210 성장동력산업 '22년 아시아 지역 경제 전망 1도토리 노민우
2209 성장동력산업 각국 투자심사제도 동향 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