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해외 우정기관의 친환경 차량 운영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124
용량 646.8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해외 우정기관의 친환경 차량 운영 동향.pdf 646.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8-0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7 

Ⅰ. 서론 2030년까지 특정 상황에서만 운전자가 개입하 는 레벨3 이상 자율주행차가 세계 신차의 50%를 점유하며, 전기·수소차는 20~30%를 점유할 것으 로 전망되는 가운데[1], 이러한 기술적 진보를 주 목하며 세계 우정기관에서는 전기 배터리, 수소연 료전지, CNG 및 바이오가스 등을 충전하여 연료 를 공급하는 소위 친환경 차량을 집배 차량 운영에 도입해 나가고 있다. 아직은 전기차를 우편 서비스 에 도입하는 것 자체가 기사화될 정도로 그 수요는 미흡하다. 미국 USPS의 경우 연방총무처 FY2018 공개 데이터에 따르면 순수 친환경 연료라 할 수 있는 전기와 CNG, LPG 차량은 216대에 불과하 고, 에탄올 E-85 차량을 포함한 하이브리드차도 43,937대로 전체의 20% 수준에 있다[2]. 세계 우정기관에서 친환경 차량으로 우편 및 배 달서비스에 투입하여 실증하고 확대 타당성을 마련하는 이유는 가깝게는 기존 내연기관 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공해 감소에서부터, 노후 차량의 대체와 그로 인한 차량 연료 및 유지보수비용 절 감, 그리고 향후 내연기관 사용을 금지한 도시에서 우정 모델의 진화를 반영하며 규제 변화에 대응하 는 지속가능한 기동성 이니셔티브를 확보하기 위 함이다. 나아가 UN의 글로벌콤팩트 및 지속가능 발전목표에 대응하고, 자국의 탄소 중립 선언과 탄 소 배출권거래제 정책에 기여하려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세계 10개 국가의 우정기관에서 보 유하고 있는 친환경 차량에 관한 통계자료를 제공 한다. 이와 함께 각 우정기관이 추진하는 친환경 차량 정책과 전략을 분석하고, 더불어 전기 우편 차량의 경우 구축하고 있는 충전 네트워크 현황과 계획을 제공한다. 이 자료는 우정기관이 공식적으 로 공개하지 않는 것으로 해당 기관이 추진하고 있 는 친환경 차량 운영 전략을 들여다볼 수 있는 유 용한 자산이 된다. 이를 위해 본고는 각 우정기관 에서 발행하는 연차보고서를 기반으로 구글링과 리버스 이미지 검색 방법을 활용하여 차량 데이터 를 수집 및 분석하고 콘텍스트를 구성하였다. Ⅱ. 친환경 차량 도입 동향 본고에서 대상으로 한 해외 우정기관은 미국 USPS, 캐나다 Postes Canada, 영국 Royal Mail, 독일 Deutsche Post, 프랑스 La Poste, 네덜란드 PostNL, 호 주 Australia Post, 중국 中国邮政, 일본 日本郵政, 그 리고 태국 ไปรษณีย์ไทย이다. 본고에서 표기하는 친 환경 차량 집계는 FY2019 기준, 즉 2020년도 운행 가능한 친환경 집배 차량의 수치로 자산 차량을 위 주로 기술한다. 차량 모델은 기관의 표본 모델이 며, 상세한 제원은 지면 제약으로 생략하였다. 그 림 1은 각 우정기관의 친환경 차량 현황을 보여준 다[2,8,10,13,20,27,35,37-41,45,50]. 1. USPS 가. 친환경 차량 보유 및 운영 USPS는 친환경 차량으로 E-85 하이브리드 42,059대, 휘발유 하이브리드 1,868대, 디젤 하이 브리드 10대, 전기차 8대, CNG 178대, LPG 30대 등 44,153대를 운영한다[2]. 전기차 도입의 경우 그 역사는 1899년 7월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최근 2019년 3월에는 캘리포니 아 대기자원위원회(CARB) 후원으로 완전 전기식 중형 밴으로 물품 배송과 충전 인프라 구축을 검증 하였다[3-5]. 여기에는 USPS 웨스트레인 우체국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228 성장동력산업 중국 기업 디지털 전환 청서 1도토리 장민환
2227 성장동력산업 대만 전자산업 관련 주요 동향 1도토리 장민환
2226 성장동력산업 유럽 메탄 전략이 천연가스 수급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조현상
2225 성장동력산업 경제적 측면에서 EU의 대중국 기조 변화 1도토리 조현상
2224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RCEP 참여에 따른 영향 고찰 1도토리 조현상
2223 성장동력산업 ’22년 독일 디지털 환경의 새로운 변화 1도토리 정한솔
2222 성장동력산업 중국 14차 5개년 지능형제조발전규획 1도토리 노민우
2221 성장동력산업 중국 14차 5개년 원자재산업발전규획 1도토리 국준아
2220 성장동력산업 인도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생태계 개발 프로그램 1도토리 국준아
2219 성장동력산업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국경을 초월한 정부 혁신 달성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3도토리 정한솔
2218 성장동력산업 반도체 부족 사태 현황 정보요청 결과 1도토리 정한솔
2217 성장동력산업 ’22 다보스 어젠다 주요 쟁점 및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2216 성장동력산업 자동차산업 탄소중립 대응 동향 1도토리 노민우
2215 성장동력산업 순환경제 시대 재활용이 소재산업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노민우
2214 성장동력산업 첨단제조 혁신을 통한 기업 ESG 지원 방안 1도토리 국준아
2213 성장동력산업 ’22년 주목해야 할 12가지 기술 동향 1도토리 국준아
2212 성장동력산업 (산업·기술동향) 글로벌 공급망 과제 및 대응 방향성 1도토리 국준아
2211 성장동력산업 EU 회원국의 글로벌 가치사슬 관련 정책과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2210 성장동력산업 '22년 아시아 지역 경제 전망 1도토리 노민우
2209 성장동력산업 각국 투자심사제도 동향 1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