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다이아몬드 모형을 적용한 우리나라 ICT 소재, 부품, 장비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37
용량 997.82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다이아몬드 모형을 적용한 우리나라 ICT 소재, 부품, 장비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향.pdf 997.8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8-0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Ⅰ. 서론 소재·부품·장비 산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 미·중 무역분쟁,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및 코로나19 팬데믹 등 지능정보 기술발전과 대외 환 경 변화로 인해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지능형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의 발달은 기존 제조산업의 디 지털 전환 및 지능화를 촉진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최종재 생산에 필요한 소재·부품·장비에 대 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한편, 미·중 사이 고율의 관세부과 등 무역분 쟁과 반도체용 불화수소 등에 대한 일본의 수출규 제 조치는 수출 중심의 산업구조를 가진 우리나라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생산과 수출의 불확실성 을 가중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국제적으로 분업화된 제조산업의 글로벌 공급망 (GVC: Global Value Chain)의 불안정성이 커짐에 따 라 안정적인 소재·부품·장비 수급의 어려움에 직 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불확실성이 높아진 대외 환 경변화는 우리나라 소재·부품·장비 산업에 대한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자립도를 높여 글로벌 경쟁 력 강화에 대한 필요성을 각인시키는 중요한 계기 가 되고 있다. 소재·부품·장비는 제조업 가치사슬의 출발점 으로 최종재의 부가가치와 경쟁력 결정의 핵심요 인으로 제조업의 가치를 높일 뿐만 아니라 경쟁력 향상의 원천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소재·부 품·장비는 장기적으로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자체기술력 확보와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확 보가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있어 핵심 선결 요건이다[1]. 그러나 우리나라는 소재·부품·장비 산업 분야 에서 크게 3가지 극복해야 할 구조적인 문제를 안 고 있다. 우선, 소재·부품·장비의 해외 의존도가 매우 높다. 특히 일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대일 무역 적자의 대부분이 소재·부품·장비 산업에서 발생 한다. 2019년 기준 대일 무역적자 192억 달러 중 95%인 182억 달러가 소재·부품·장비 산업에서 차지하였다[2,3]. 특히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자 부품 등 첨단 소재·부품·장비의 대일 의존도가 높은 수준으로 국내 반도체 산업의 성장에 힘입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됨에 따라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의 대일 적자 규모도 증가하기 때 문이다[4]. 이는 우리나라 제조산업의 수출이 증가 할수록 일본으로부터 소재·부품·장비 수입이 증 가하여 대일 적자가 증대하는 고착화된 산업구조 의 특성에서 기인한다. 한편, 중국에 대한 이차전 지 소재 등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약 80%를 상회함 에 따라 향후 일본뿐만 아니라 중국에 대한 의존도 를 낮추기 위한 대응책 마련이 요구된다[2]. 둘째, 소재·부품·장비 기술의 자립도, 즉 국산 화율이 매우 저조하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기 전자 분야 등 첨단 ICT 분야의 기술수준은 선진국 대비 각각 50%, 38%, 74%로 낮다. 반도체 산업의 경우 소재 및 장비 국산화율이 각각 50%, 20% 수 준으로 미국과 일본 대비 글로벌 경쟁력이 상대적 으로 열위하다[5]. 국내 부품산업의 생산과 성장을 견인하는 전자부품은 부품산업 생산의 45.3%를 차 지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중간재에 대 한 자급률이 54.5%로 수송기계(91.4%), 정밀기기 (73.9%), 금속가공(89.3%) 등 타 부품산업보다 상 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2]. 마지막으로 수요-공급 기업 간 유기적 협력에 기반한 국내 자체의 공급망 구축이 미흡하다. 수요 기업 입장에서는 소재·부품·장비 공급업체가 개 발한 기술을 도입하기에는 기존 해외 거래처를 바 꾸려는 위험을 감수할만한 유인이 부족하고, 이는 다시 공급 기업으로 하여금 기술개발 의지를 약화 시키는 악순환이 되어 수요-공급 기업 간 국내 공 급망 형성의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국내 소재·부품·장비 산업이 처한 구조 적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2001년 「부품·소 재 전문기업 육성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제정한 이후 4차례의 기본계획과 선제적 미래 대응을 위 해 소재·부품·장비 종합 지원 정책 등 지속해서 국내 소재·부품·장비 산업경쟁력 강화 및 활성화 를 위한 정책을 추진해왔다.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적 지원 노력에 힘입어 국내 소재·부품·장비 생 산액은 2001년 대비 2018년에 생산액이 3배 이상, 수출액은 5배 이상 증가하는 등 양적성장기반의 외형상 성과를 창출하였다[6]. 특히, 전기전자 부 품 등 ICT 분야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하지만, 여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231 성장동력산업 클라우드 활용 제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7도토리 조정희
2230 성장동력산업 해외 배터리 공급망의 변화가 불러온 기회 및 과업 3도토리 국준아
2229 성장동력산업 2021 주요 통상국들의 수입구조 변화와 한국 수출 경쟁력 검토 3도토리 류지원
2228 성장동력산업 수출이 국민경제에 끼친 기여 효과 검토 3도토리 조정희
2227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테이퍼링이 신흥국 경제 및 한국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 3도토리 조정희
2226 성장동력산업 韓·中 수교 30주년 통상구조 변화 및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2225 성장동력산업 中 진출 韓 기업들의 최근 경영 환경 전망 및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2224 성장동력산업 필(必)환경 ESG 시대, 패션산업 친환경 트렌드와 시사점 1도토리 나혜선
2223 성장동력산업 中 탄소중립 정책 및 시사점 7도토리 나혜선
2222 성장동력산업 CES 2022를 통해 본 COVID-19 공존시대 혁신 트렌드 1도토리 류지원
2221 성장동력산업 시계열 데이터 결측치 처리 기술 동향 1도토리 조정희
2220 성장동력산업 경계없는 세상과 사용자 인증기술 동향 1도토리 조정희
2219 성장동력산업 해외 우정기관의 친환경 차량 운영 동향 1도토리 나혜선
» 성장동력산업 다이아몬드 모형을 적용한 우리나라 ICT 소재, 부품, 장비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향 1도토리 나혜선
2217 성장동력산업 산업용 계측 기술 동향 1도토리 나혜선
2216 성장동력산업 실내 가상 경기를 위한 햅틱 AR 스포츠 기술 1도토리 류지원
2215 성장동력산업 MBMS 기반 지상파 방송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2214 성장동력산업 위성항법 시스템 및 기술 동향 1도토리 조정희
2213 성장동력산업 미래 항공기상서비스 기술개발 전략과 NARAE-Weather 실현 1도토리 조정희
2212 성장동력산업 초실감/고정밀 서비스를 위한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동향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