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실내 가상 경기를 위한 햅틱 AR 스포츠 기술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류지원 조회수 76
용량 1.3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실내 가상 경기를 위한 햅틱 AR 스포츠 기술.pdf 1.3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8-0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1 

Ⅰ. 서론 실외 스포츠 활동은 계절별 날씨에 따른 영향뿐 만 아니라 심각한 환경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미세 먼지, 황사, 폭염, 폭설 등으로 인해서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에어비주얼이 출간한 ‘2019 세계 대기질 보고서’[1]에 따르면,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 구(OECD) 회원국 중 초미세먼지 오염 농도 1위를 차지했다. 또한, 환경부의 발표에 따르면 기초 지 방자치단체 229곳 대상 폭염 위험도 평가결과, 폭 염 위험도가 ‘높음’ 이상인 지자체가 2001~2010년 에는 평균 69곳에서, 2021~2030년 126곳으로 크 게 증가할 것으로 보고되었다[2]. 이와 같은 이유 로 실외 스포츠 활동 대신에 실내에서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실내 스포츠 활동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 로 증가해왔다. 그러나 2020년에 발생한 코로나로 인해서 미세먼지, 황사, 폭염을 피해 실내에서 스 포츠 활동을 하는 것도 큰 제약을 받고 있는 상황 이다[3]. 이러한 환경문제와 보건문제 등으로 인해 기존 방식의 실내 스포츠 활동을 대신할 새로운 실 내 스포츠 활동을 지원할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가상현실(VR) 기술은 오래전부터 실내 스포츠 활동에 사용되어 왔다. 이미 친숙한 스크린 골프, 스크린 야구 등과 같은 스크린 스포츠가 이러한 VR 기반 실내 스포츠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감각 적 그리고 인지적 사실감을 구현할 수 있는 VR 기 술의 장점이 고객가치로 인정을 받으면서 국내 스 크린 골프 산업의 성공을 이끌었다[4]. 이러한 VR 기술의 성공은 스크린 골프뿐만 아니라 스크린 야 구, 스크린 테니스, 스크린 승마, 스크린 사격, 스 크린 양궁, 스크린 볼링 등으로 종목을 확장하여 크게 성공하게 되고, 국내 시장 규모가 2019년도에 이미 5조 원에 이르게 되었다[5]. 실내 스포츠 분야에 적용된 VR 기술은 기술적 으로 일반적 VR 기술과 한 가지 큰 차이점이 존재 한다. 관광, 의료, 제조 등 타 분야에서 VR 기술은 HMD를 주로 사용하는 반면에, 스포츠 분야에서 는 스크린을 HMD보다 많이 사용하는 점이다. 이 것이 VR 스포츠가 스크린 스포츠라는 용어로 대중 에게 널리 통용되는 이유이다.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은 스포츠 활동의 역동성에 기인한다. 즉, 스 포츠 활동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매우 동적인 데 현존하는 VR HMD 기술은 이러한 역동성을 따 라가지 못하는 이유로 많이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스포츠 분야에서는 HMD보다 스 크린을 많이 사용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VR 스포 츠로 표현할 수 있는 사실감에는 한계가 존재하고 있다. 기존 VR 스포츠가 가지는 사실감의 한계성은 증 강현실(AR) 기술을 스포츠에 접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VR과 AR이 가지는 기술적 차 이 때문에 가능하다. 즉 VR 스포츠는 가상공간을 배경으로 스포츠 활동을 체험하지만, AR 스포츠는 실제공간을 배경으로 스포츠 활동이 진행되므로 사실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VR 스포츠는 기술적인 한계로 실제 사용자 간에 서로 대결하는 가상 경기를 구현하기 매우 어렵지만 AR 스포츠는 이를 어렵지 않게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으 로 인해서 기존의 VR 스포츠 기술로 구현할 수 없 는 실내 가상 경기에 AR 스포츠 기술들을 적용하 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6-8]. 또한, AR 스포츠 기술의 사실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AR 스포츠 기술 에 햅틱 기술을 융합한 햅틱 AR 스포츠 기술에 대 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햅틱 AR 스포츠 기술의 핵심 적 요소인 사용자 모션 추적, 사용자 동작 인식, 햅 틱 피드백 재연 및 증강현실 시스템의 연구내용 및 기술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Ⅱ. 햅틱 AR 스포츠 기술 1. 사용자 모션 추적 VR 스포츠 기술과는 달리 AR 스포츠 기술의 경 우에는 스포츠 활동을 위해서 가상 캐릭터가 활동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179 성장동력산업 다이아몬드 모형을 적용한 우리나라 ICT 소재, 부품, 장비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향 1도토리 나혜선
2178 성장동력산업 산업용 계측 기술 동향 1도토리 나혜선
» 성장동력산업 실내 가상 경기를 위한 햅틱 AR 스포츠 기술 1도토리 류지원
2176 성장동력산업 MBMS 기반 지상파 방송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2175 성장동력산업 위성항법 시스템 및 기술 동향 1도토리 조정희
2174 성장동력산업 미래 항공기상서비스 기술개발 전략과 NARAE-Weather 실현 1도토리 조정희
2173 성장동력산업 초실감/고정밀 서비스를 위한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동향 1도토리 조정희
2172 성장동력산업 철도전용 무선통신 기술 동향 1도토리 나혜선
2171 성장동력산업 5G 기반 무인 비행체 운용 표준화 동향 1도토리 나혜선
2170 성장동력산업 6G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 기술 동향 및 연구 방향 1도토리 류지원
2169 성장동력산업 산업용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2168 성장동력산업 딥러닝 기반 항공안전 이상치 탐지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2167 성장동력산업 과학치안 기반 선제 대응 치안서비스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2166 성장동력산업 국내 스마트양식 기술 동향 1도토리 조정희
2165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모바일 인프라 공유 현황 1도토리 조정희
2164 생명공학/바이오 K-방역 기술의 국제표준화 추진 동향 1도토리 나혜선
2163 생명공학/바이오 멘탈헬스 측정 및 멘탈웰빙 관리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나혜선
2162 생명공학/바이오 근적외선 펨토초 레이저 및 이광자 바이오 영상 기술 1도토리 류지원
2161 성장동력산업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지능화 융합 서비스 1도토리 박민혁
2160 성장동력산업 하드웨어 트로이목마 탐지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