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출퇴근길의 대중교통에서는 스마트폰을 통한 미디어 이용자를 흔하게 볼 수 있으며, 과도한 스 마트폰 이용에 따른 건강문제가 빈번하게 언론에 회자되는 등 스마트폰은 이미 우리 생활에 깊숙이 자리 잡았다. 넷플릭스, 유튜브 등 OTT(Over The Top) 서비스의 대중화는 스마트폰을 매개로 하는 미디어 서비스 산업의 활성화를 불러일으켰고, 이 는 미디어 장비 시장을 포함한 산업 전반의 변혁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 기존의 지상파 방송 표준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와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도 모바일 기기에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 한 DVB-NGH(DVB-Next Generation broadcasting system to Handheld) 표준을 제정하거나 모바일 수신 을 포함하는 ATSC 3.0 표준을 제정하였으나 현재 까지는 수신 인프라 구축 미비 등의 이유로 활성화 되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결과 현재까지는 대부분의 휴대단말 이용자 들이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미디어 서비스를 제 공받고 있다. 하지만 고품질 미디어 서비스 대중화 로 인한 모바일 트래픽 폭증은 향후 안정적인 모바 일 서비스 환경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로 점차 대 두되고 있다. 글로벌 이동통신 장비 제조업체인 에 릭슨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3분기부터 2020 년 3분기까지 1년 동안 전 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 래픽은 약 50% 증가하였다[1]. 이 보고서는 전체 모바일 트래픽 중 비디오 트래픽이 차지하는 비중 이 2020년 기준 66%에서 2026년에 이르면 77%까 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와 같은 미디 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트래픽 폭증으로 인해 향 후 이동통신망 기반의 유니캐스트(Unicast) 전송방 식만으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을지 장 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편 이동통신 표준을 제정하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는 3G 표준에서부터 셀룰러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방송(Broadcast) 서 비스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서비스가 가능한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기술을 규격화하였다. MBMS 기술은 동일한 미디어 서비 스를 다수의 이용자에게 자원 효율적으로 제공하 는 전송 방식으로서 3G부터 5G에 이르기까지 여 러 요구 사항을 반영하며 진화를 거듭해왔다. 본고에서는 MBMS 기술의 시스템 구조를 기반 으로 방송 서비스망을 구성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MBMS 기술의 동향을 3GPP 표준화 동향과 시범서 비스 및 상용화 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또한 MBMS 기술과 최신 지상파 방송 기술인 ATSC 3.0과의 비교를 통해 MBMS 기술의 경쟁력을 파악하고 향후 MBMS 기술의 발전 방향에 대해 서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