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위성항법 시스템 및 기술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43
용량 1.05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위성항법 시스템 및 기술 동향.pdf 1.0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8-0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1 

Ⅰ. 서론 1. 위성항법 시스템 정의 위성항법 시스템은 지구궤도상에 다수의 위 성으로 구성된 위성군으로부터 수신되는 위성 의 위치정보와 전파를 이용한 거리측정을 통해 3 차원의 위치 및 시각동기정보를 제공하는 위성 시스템이다. 위성항법 시스템은 한창 냉전 시대 였던 1970년대에 중궤도 위성으로 구성된 미국 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1]와 러시아의 GLONASS[2]의 개발 구축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에 인도의 NavIC(Navigation with Indian Constellation; 이전의 명칭은 IRNSS: Indian Region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3]과 중국의 BDS(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4]가 각각 2016년 및 2020년에 구 축 완료되었고, 유럽의 Galileo 시스템[5]과 일본의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6]가 개발 및 구 축 중에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역항법 시스템으 로서의 KPS(Korea Positioning System)사업을 계획 중 에 있다[7]. 위성항법은 전파항법(Radio Navigation)의 일종으 로, 원자시계로 동기화되어 항법위성으로부터 송 출되는 위성항법 신호를 수신하여 그 도달하는 시 간 차이를 이용하여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기법으로 수신기의 위치를 결정한다. 수신기 의 시계를 TCXO를 사용하여 정밀도가 낮아 수신 기의 시계오차도 함께 결정해야 하므로 3차원 측 위를 위해서는 3개가 아닌 4개의 항법신호를 수신 해야 위치와 수신기 시간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 다. 이러한 전파 위성항법 원리로 인하여 항법신호 가 닿는 어디에서나 3차원측위는 물론 수십 나노 초의 정밀도로 시각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방송, 이동통신, 금융거래, 스마트 그리드 등의 분야에 서 위성항법 수신기를 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35년 서비스를 목표로 지역 항법 위성시스템을 계획[7] 중에 있으며, 그림 1 은 2020년 9월 기준 세계위성항법 시스템의 현황 을 나타내며 각국 위성항법 시스템의 특성을 운용 연도, 커버리지, 궤도면수, 위성주기, 궤도경사각, 위성수, 주파수 및 신호방식으로 표현한다. 위성항법 시스템은 전파항법으로 사용하는 주 파수가 할당되어 있다.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 미 해당 주파수를 점유하여 사용 중인 주체와 협상 및 상호 간섭에 대한 합의과정을 통하여 사용 승인 을 받고 있다. 위성항법 주파수할당과 기존 위성항 법 시스템에 의해 점유되어 있는 주파수 현황은 L1 주파수 대역에는 GPS, GLONASS, Galileo, BDS, QZSS 등의 시스템이 사용 중이다. L2 주파수 대 역에는 GPS, GLONASS, QZSS 등의 시스템이 사 용 중이며, L5 주파수 대역에는 GPS, GLONASS,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208 성장동력산업 우주항공 분야 첨단 제조혁신 연구소 출범 필요성 고찰 1도토리 정한솔
2207 성장동력산업 미국 핵심광물 전략 방향성 1도토리 정한솔
2206 성장동력산업 녹색기술 경쟁과 미-중 기후 협력 1도토리 국준아
2205 성장동력산업 EU 소셜 택소노미 초안 개괄 1도토리 국준아
2204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국경조정제도 개선 방향성 제언 1도토리 노민우
2203 성장동력산업 프랑스 중견기업 국가전략 업데이트 1도토리 노민우
2202 성장동력산업 일본 CO2 분리회수 기술개발 프로젝트 계획 수립 1도토리 노민우
2201 성장동력산업 중국 14차 5개년 디지털경제 발전규획 1도토리 노민우
2200 성장동력산업 인도의 청정에너지로의 전환 가속화와 성과 (IEA, 1.10) 1도토리 국준아
2199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태양광 산업 동향과 한국 기업의 진출전략 3도토리 강정훈
2198 성장동력산업 환율 변동이 한국 경제와 제조업 수익에 영향 3도토리 강정훈
219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SBI핀테크솔루션즈 숨겨진 리오프닝 수혜주 1도토리 장민환
219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POSCO 새롭게 탈바꿈한 철강의 거인 1도토리 장민환
219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현대일렉트릭 미국과 중동 해외에서 불어오는 훈풍 1도토리 장민환
21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오락 - 중소형 드라마 에이스토리, 삼화네트웍스 실적 발표 1도토리 노민우
21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철광석 가격은 결국 수급이 결정한다 1도토리 강정훈
2192 성장동력산업 클라우드 활용 제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7도토리 조정희
2191 성장동력산업 해외 배터리 공급망의 변화가 불러온 기회 및 과업 3도토리 국준아
2190 성장동력산업 2021 주요 통상국들의 수입구조 변화와 한국 수출 경쟁력 검토 3도토리 류지원
2189 성장동력산업 수출이 국민경제에 끼친 기여 효과 검토 3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