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초실감/고정밀 서비스를 위한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25
용량 1.35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초실감, 고정밀 서비스를 위한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동향.pdf 1.3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8-0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4 

Ⅰ. 서론 증강현실/가상현실/확장현실 서비스, 홀로그램 통신 등 초실감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고, 원격 수술, 로봇/드론 원격 조종 등 산업 영역에서의 크 리티컬 고정밀 서비스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통한 종단 간 정보전달의 초저지연성 뿐만 아니라 지연시간의 엄격한 통제, 즉 지연편차 가 최소화되는 네트워크 고정밀성이 요구되고 있 다[1].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로 인해 비대면 원 격 서비스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원격지 종단 간 통신 서비스의 신뢰성과 초저지연성의 보장에 대한 필요성도 더욱 커지고 있다. 현재의 5G 네트워크에서는 무선 액세스 구간에 서의 1ms 지연시간만을 초저지연의 목표로 하고 있어서, 유선 네트워크가 광대역으로 확장되면 종 단 간 초저지연시간을 충족하지 못하게 된다. 이 를 해결하기 위해 유선 네트워크 구간에서의 전송 지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MEC(Multi-access Edge Computing)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MEC는 서 비스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통신망 내부에 클라우 드 기반의 서비스 서버들을 설치하여 지연시간을 최소화하고, 자율주행, 가상현실, 실감형 미디어 서비스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원격 수술, 원격 증강현실, 스마트 공장 원격 제어 등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초저지 연이 요구되는 서비스들은 MEC 기술로 실현할 수 없으며, 정밀함이 요구되는 이러한 서비스들을 지 원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종단 간에 초저지연· 고정밀 특징을 갖는 새로운 통신환경이 필요하다. 이러한 초정밀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종 단 간 정보전달의 지연시간을 최소화하는 인타임 (in-time) 보장 네트워킹 기술 및 정보전달의 지연 편차를 최소화하는 온타임(on-time) 보장 네트워 킹 기술 등 시간확정형 패킷 전달 기술이 요구된다 [1]. 이를 위해 그림 1과 같이 전국 규모의 광역 네트 워크상에서 종단 간 트래픽의 최대 전달지연 및 지 연편차를 확정적으로 보장하는 초저지연·고정밀 네트워크 기술개발이 6G 네트워크 연구개발의 일 환으로 진행되고 있다. 6G 네트워크에서는 이동통 신뿐만 아니라 유선 네트워크까지 포함한 기술 개 발을 추진함으로써 진정한 종단 간 초저지연, 고정 밀 서비스를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본격적인 6G 네트워크 기술 연구에 앞서, 유선 네트워크에서 초저지연 및 고정밀성 보 장을 위해 ITU-T, ETSI, IEEE, IETF 등에서 진행 되고 있는 다양한 네트워킹 기술들의 현황 및 이슈 에 대해 살펴본다. Ⅱ. ITU-T SG13 Net-2030 동향 ITU-T SG13 연구반은 6G를 향한 네트워크 분 야의 표준 선행연구를 위해 2018년 7월부터 2020 년 7월까지 NET-2030 포커스 그룹을 운영하면 서, 미래 서비스 시나리오와 요구사항을 도출하 고 새로운 네트워크 구조, 프로토콜 등에 대한 백 서[2]와 기술보고서[3,4]를 발간하였다. 현재의 인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208 성장동력산업 우주항공 분야 첨단 제조혁신 연구소 출범 필요성 고찰 1도토리 정한솔
2207 성장동력산업 미국 핵심광물 전략 방향성 1도토리 정한솔
2206 성장동력산업 녹색기술 경쟁과 미-중 기후 협력 1도토리 국준아
2205 성장동력산업 EU 소셜 택소노미 초안 개괄 1도토리 국준아
2204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국경조정제도 개선 방향성 제언 1도토리 노민우
2203 성장동력산업 프랑스 중견기업 국가전략 업데이트 1도토리 노민우
2202 성장동력산업 일본 CO2 분리회수 기술개발 프로젝트 계획 수립 1도토리 노민우
2201 성장동력산업 중국 14차 5개년 디지털경제 발전규획 1도토리 노민우
2200 성장동력산업 인도의 청정에너지로의 전환 가속화와 성과 (IEA, 1.10) 1도토리 국준아
2199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태양광 산업 동향과 한국 기업의 진출전략 3도토리 강정훈
2198 성장동력산업 환율 변동이 한국 경제와 제조업 수익에 영향 3도토리 강정훈
219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SBI핀테크솔루션즈 숨겨진 리오프닝 수혜주 1도토리 장민환
219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POSCO 새롭게 탈바꿈한 철강의 거인 1도토리 장민환
219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현대일렉트릭 미국과 중동 해외에서 불어오는 훈풍 1도토리 장민환
21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오락 - 중소형 드라마 에이스토리, 삼화네트웍스 실적 발표 1도토리 노민우
21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철광석 가격은 결국 수급이 결정한다 1도토리 강정훈
2192 성장동력산업 클라우드 활용 제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7도토리 조정희
2191 성장동력산업 해외 배터리 공급망의 변화가 불러온 기회 및 과업 3도토리 국준아
2190 성장동력산업 2021 주요 통상국들의 수입구조 변화와 한국 수출 경쟁력 검토 3도토리 류지원
2189 성장동력산업 수출이 국민경제에 끼친 기여 효과 검토 3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