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과학치안 기반 선제 대응 치안서비스 기술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류지원 조회수 114
용량 433.93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과학치안 기반 선제 대응 치안서비스 기술 동향.pdf 433.9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0-0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Ⅰ. 서론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과학 치안 전반의 기술 고도화의 일 안으로 정부 부처 간의 협력을 강화하는 업무협약과 함께 치안현장 맞춤형 연구개발사업(폴리스 랩)을 통하여 연구성 과의 실용화·사업화와 아울러 경찰업무 전반으로 확산을 도모하고 있다[1]. 국내 치안산업의 현재와 과학수사 관련 세미나 등을 통해 미래 경찰의 발전 방향과 청사진을 제시한 제1회 국제치안산업박람회에서 과학치안기술 의 현주소를 엿볼 수 있다[2]. 미발생 범죄를 미리 파악하여 예방하기 위한 범 죄예측 기술은 범죄 통계나 112신고 건수 등의 치 안데이터와 인구수, 날씨 등의 공공 데이터를 통합 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이 분석하여 범죄 발생 위 험이 큰 시간 및 장소를 예측하며, 치안과 방역 등 다방면에 인공지능을 적용한 기술 개발이 진행 중 이다[3]. 이러한 빅데이터의 시대가 열리면서 경찰 수사기법이 변화하고 있다. 데이터의 접근 및 관리 에 하이브리드형 클라우드기술은 단순 솔루션의 접목만으로 빠른 연산속도를 제공하며 조사, 현장 업무 등 경찰업무의 특성상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환경을 클라우드기술 도입으로 해결하고 있다[4]. 경찰 상황 대처 훈련 시뮬레이션도 가상현실로 가능해졌다. 많은 사건이 거리에서 발생하고, 현 장에 투입되는 경찰관들의 실감 나는 훈련이 어렵 다는 게 문제였는데, VR 장치를 통해 가상의 3차 원 공간을 만들고, AR 기술을 활용하여 위험 상황 을 모의 훈련할 수 있다[5]. 또한, VR/AR과 같은 몰입 기술은 주변 ICT 기기들과 통신하며 치안 활 동을 하는 현장 경찰관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 한 수단으로도 활용된다[6]. 과학치안기술은 치안 분야에 과학적이고 공학 적인 방식 및 기술을 접목한 과학치안[7], 범죄에 관한 정보의 분석연구에 과학기술을 활용함으로 써 경찰 문제를 전략적으로 관리하는 스마트치안 [8], 잠재적인 범죄 활동을 식별하기 위해 법 집행 에서의 수학적·예측적 분석기법을 사용하는 예측 치안[9], 그리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 및 공공 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위한 국민 계몽, 지도 또는 명령, 강제하는 국가의 특수행정작용으로의 활동 인 경찰 활동[10]으로 설명된다. 본고에서는 선제 대응 치안서비스 관련 기술 동 향으로 범죄수사(예방) 기술, 도시 인프라 연계 기 술 및 치안 관련 데이터 처리 기술로 분류하여 소 개하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관하여 기술한다. Ⅱ. 선제 대응 치안서비스 기술 동향 1. 선제 대응 치안서비스 선제 대응 치안서비스는 한정된 치안자원의 효 과적 활용, 경찰 활동의 효율성 제고 및 치안 활동 의 역량 강화를 지향한다. 과학치안(Technology Policing)은 경찰활동과 과 학기술의 결합으로 국내외에서 치안(경찰)드론, PredPol, 범죄예측 시스템 소프트웨어 등과 같은 과 학치안 기술을 사용하여 경찰업무에 효율성을 높 이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은 삶의 질 향상 결과 를 보여줄 수도 있지만, 신기술을 이용한 신종범죄 발생, 범죄 고도화 등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미래사회에서 국민의 안전을 보장 하기 위하여 경찰들은 전략적 관리·분석과 연구, 과학기술 의미를 접목한 스마트치안(Smart Policing) 으로 표방한다[11]. 치안(경찰)드론을 활용하기 위하여 운영 인프라 와 지원 법제도 등의 지원체계 강화와 함께 드론 관련된 기술 고도화, 안전성과 보안성을 보완하는 등 드론이 임무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드론 기술발전을 촉진해야 한다[12].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재난·재해(자연 및 사 회재난)의 재난관리는 지역사회의 경찰 활동으로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피해 를 최소화하며, 순찰 등의 재난 예방 활동, 재난관 리 활동 지원 및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대처한다 [13]. 사회적 불안요인 중의 하나인 범죄 발생을 인지 하고 치안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선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208 성장동력산업 우주항공 분야 첨단 제조혁신 연구소 출범 필요성 고찰 1도토리 정한솔
2207 성장동력산업 미국 핵심광물 전략 방향성 1도토리 정한솔
2206 성장동력산업 녹색기술 경쟁과 미-중 기후 협력 1도토리 국준아
2205 성장동력산업 EU 소셜 택소노미 초안 개괄 1도토리 국준아
2204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국경조정제도 개선 방향성 제언 1도토리 노민우
2203 성장동력산업 프랑스 중견기업 국가전략 업데이트 1도토리 노민우
2202 성장동력산업 일본 CO2 분리회수 기술개발 프로젝트 계획 수립 1도토리 노민우
2201 성장동력산업 중국 14차 5개년 디지털경제 발전규획 1도토리 노민우
2200 성장동력산업 인도의 청정에너지로의 전환 가속화와 성과 (IEA, 1.10) 1도토리 국준아
2199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태양광 산업 동향과 한국 기업의 진출전략 3도토리 강정훈
2198 성장동력산업 환율 변동이 한국 경제와 제조업 수익에 영향 3도토리 강정훈
219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SBI핀테크솔루션즈 숨겨진 리오프닝 수혜주 1도토리 장민환
219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POSCO 새롭게 탈바꿈한 철강의 거인 1도토리 장민환
219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현대일렉트릭 미국과 중동 해외에서 불어오는 훈풍 1도토리 장민환
21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오락 - 중소형 드라마 에이스토리, 삼화네트웍스 실적 발표 1도토리 노민우
21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철광석 가격은 결국 수급이 결정한다 1도토리 강정훈
2192 성장동력산업 클라우드 활용 제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7도토리 조정희
2191 성장동력산업 해외 배터리 공급망의 변화가 불러온 기회 및 과업 3도토리 국준아
2190 성장동력산업 2021 주요 통상국들의 수입구조 변화와 한국 수출 경쟁력 검토 3도토리 류지원
2189 성장동력산업 수출이 국민경제에 끼친 기여 효과 검토 3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