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내 스마트양식 기술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01
용량 1.83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내 스마트양식 기술 동향.pdf 1.8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0-0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2 

Ⅰ. 서론 1. 개요 세계인구는 1800년 10억 명에서 1959년 30억 명 을 돌파했으며, 2019년에는 77억 명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유엔(UN)에 따르면 세계인 구는 2030년에는 85억 명에 달할 것이며, 2100년에 는 109억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1]. 이 와 같은 급격한 인구 증가는 생존을 위한 안정적인 단백질 공급원 확보를 요구하고 있다. 현재 수산업 은 인류에게 동물성 단백질의 15%를 공급하고 있어 식량 산업에 있어 그 중요성이 매우 높다[2]. 인 류의 어업은 증기기관의 발명으로 어선의 대형화 와 냉동·냉장기술의 발전으로 원양에서의 어업 이 가능해지므로 어획량에 있어 폭발적인 증가를 가져왔다. 하지만, 바다에서 어업을 통한 어업생 산량은 2000년대에 이르면서 어족 자원이 고갈되 어 더 이상 생산량이 증가하지 않게 되었다. 이 시 기가 되자 어류를 직접 잡는 것에서 필요한 어류를 직접 키워서 생산하는 양식산업이 발전하게 되었 다[3]. 2016년 기준 양식어업은 전체 어류 생산량의 절 반에 가까운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금액적으로 는 양식어업이 더 큰 비율을 차지하므로 초기 어업 의 보조적인 수단이었던 양식산업은 이제 어업에 있어 주류 산업으로 자리 잡았다[4]. 2. 스마트 양식산업의 필요성 전 세계적으로 양식산업의 기술과 시스템은 지 난 50년 동안 급격한 발전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급격한 양식산업의 발달은 양식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수로 인한 수질오염과 자연 생태계 및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 다양한 방식의 연 구와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방법은 기존 해상에서 이루어지던 가두리 양식을 육상에 위치한 폐쇄 형태의 양식시스템으로 옮기 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육상에서의 양식은 한번 유 입된 양식수를 여러 차례 또는 반영구적으로 자체 여과 및 살균하여 재사용하는 순환여과양식시스 템(RAS: Recirculation Aquaculture System) 기술이 적 용된다[5]. 육상 폐쇄형 양식시스템은 양식수 배출 을 최소화하며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에서 유입되는 질병 및 오염으로부터 양 식어류를 보호할 수 있다. 하지만, 살아 있는 생명 체를 밀집하여 사육하는 양식환경은 섬세한 관리 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양식어류의 집단 폐사가 발생할 수도 있다. 최근 급격하게 성장한 ICT 기술 은 폐쇄형 육상 양식장에서 요구하는 양식환경 및 양식어류의 상태에 대한 정밀한 측정과 관리를 지 원함으로써 안정적인 양식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 한, 양식장에서 수집된 데이터들은 양식환경에 대 한 분석과 예측에 활용되어 어류에 대한 안정적인 생산뿐만 아니라, 시장의 수요에 맞춘 계획 생산까 지 가능하게 한다. Ⅱ. 양식산업 동향 1. 국외양식 산업동향 FAO(세계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2011년 세계 식용어류 소비량은 약 1억 3천만 톤에서 2016년 약 1억 5천만 톤으로 16.3% 증가했고, 동기간 1인당 수산물 소비량도 18.5kg에서 20.3kg으로 약 9.7% 증가하는 등 수산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산물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만족시 키기 위해서 양식산업은 지속적으로 생산량을 높 이고 있다. FAO에서는 세계 양식 생산량이 2016 년 약 8천만 톤에서 2030년 약 1억 1천만 톤으로 약 37.5% 증가하고, 전체 어업생산에서 차지하는 비 율도 2016년 약 47%에서 2030년 약 55% 수준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6]. 노르웨이 등 해외 주요 양식 선진국들은 일찍 부터 양식산업의 규모화와 첨단화를 추진하였으 며, 최근에는 ICT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화를 추진 하고 있다. 세계적인 양식기업은 시가총액 기준으 로 1위에서 4위까지 노르웨이의 기업이 모두 차지 하고 있으며, 5대 양식기업의 시가총액은 약 9조 3,800억 원으로 전 세계 양식기업 49개사의 시가총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208 성장동력산업 우주항공 분야 첨단 제조혁신 연구소 출범 필요성 고찰 1도토리 정한솔
2207 성장동력산업 미국 핵심광물 전략 방향성 1도토리 정한솔
2206 성장동력산업 녹색기술 경쟁과 미-중 기후 협력 1도토리 국준아
2205 성장동력산업 EU 소셜 택소노미 초안 개괄 1도토리 국준아
2204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국경조정제도 개선 방향성 제언 1도토리 노민우
2203 성장동력산업 프랑스 중견기업 국가전략 업데이트 1도토리 노민우
2202 성장동력산업 일본 CO2 분리회수 기술개발 프로젝트 계획 수립 1도토리 노민우
2201 성장동력산업 중국 14차 5개년 디지털경제 발전규획 1도토리 노민우
2200 성장동력산업 인도의 청정에너지로의 전환 가속화와 성과 (IEA, 1.10) 1도토리 국준아
2199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태양광 산업 동향과 한국 기업의 진출전략 3도토리 강정훈
2198 성장동력산업 환율 변동이 한국 경제와 제조업 수익에 영향 3도토리 강정훈
219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SBI핀테크솔루션즈 숨겨진 리오프닝 수혜주 1도토리 장민환
219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POSCO 새롭게 탈바꿈한 철강의 거인 1도토리 장민환
219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현대일렉트릭 미국과 중동 해외에서 불어오는 훈풍 1도토리 장민환
21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오락 - 중소형 드라마 에이스토리, 삼화네트웍스 실적 발표 1도토리 노민우
21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철광석 가격은 결국 수급이 결정한다 1도토리 강정훈
2192 성장동력산업 클라우드 활용 제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7도토리 조정희
2191 성장동력산업 해외 배터리 공급망의 변화가 불러온 기회 및 과업 3도토리 국준아
2190 성장동력산업 2021 주요 통상국들의 수입구조 변화와 한국 수출 경쟁력 검토 3도토리 류지원
2189 성장동력산업 수출이 국민경제에 끼친 기여 효과 검토 3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