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35
용량 3.42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데이터 기반 구제역 항체양성률·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요인 분석.pdf 3.4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3-1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39 

1. 연구 배경


❍ 우리나라는 가축전염병의 전파력과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법정 가축전염병을 3단계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음. 구제

   역(FMD),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제1종 법정가축전염병으로 분류되어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해 정부가 중점 관리하는 가축전

   염병임. FMD는 2000년 이후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ASF는 2019년 국내 첫 발생 이후 매년 발생하고 있음.
  - 구제역은 2000년에 최초로 발생한 이후, 2019년 1월 31일까지 총 9차례 발생함. 이후 미발생을 유지하다가 2023년 5월 10일에

    재발하여 19일까지 한우 농장에서 10건, 염소 농장에서 1건이 발생함. 현재 구제역은 발생 예방을 위해 백신을 사용하고 있으며,

    2010/2011년 구제역 대규모 발생 이후 백신접종이 시작하여, 2016년부터 발생 규모는 접종 이전에 비해 축소됨.

  - ASF는 2019년 9월 국내 양돈농가에서 최초 발생 이후, 2023년 9월 25일까지 38건이 발생하였으며, 바이러스 주요 매개체인

    야생멧돼지는 2023년 10월 26일까지 경기, 강원, 충북, 경북 지역의 38개 시군에서 총 3,303건 발견됨.


❍ 가축전염병이 발생하면, 살처분 보상금, 농가 생계안정자금, 방역초소 운영, 소독 활동 등 방역 조치로 인해 방역 관련 재정이

   투입됨(김현중 외, 2022).
  - 2000~2019년 FMD 발생으로 인한 살처분 보상금 등 방역 조치에 투입된 예산은 3조 3,436억 원으로 나타났으며, 2010/2011

    년 FMD는 총 75개 시군의 153개 농가에서 발생하고 6,241개의 농가에서 매몰 처분하는 등 피해가 가장 크게 나타나 총 2조

    7,383억 원의 예산이 소요됨.

  - 한편 2019~2022년 ASF 발생으로 인한 살처분 보상금은 총 1,444억 원으로 추정되며, 살처분 보상금 이외의 방역에 따른 재정

     소요액을 감안하면, 2,000억 원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됨.

 

❍ 가축전염병이 발생하면, 축산물 수급 불균형 및 가격의 불안정, 살처분 등으로 인한 매몰지 환경오염, 차량 통제 및 소독 등 방역

   과정에서 발생하는 국민 불편 등 다양한 사회적·경제적 피해가 발생됨.

 

 

-------------------------------------------------------------------------------------------------------------------------------------------------------

 

 

데이터 기반.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30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 보건의료·산업 기술수준평가 전문가 설문 및 결과 분석 연구 5도토리 최민기
62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및 의료서비스 분야 산업동향 5도토리 오민아
628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우크라이나에서 급증하는 한국 화장품 3도토리 류지원
627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몽골에서 환영받는 K-화장품 3도토리 류지원
62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새로운 의료기술에 관한 평가사례 분석 2023 13도토리 류지원
625 생명공학/바이오 [정책정보] 미생물한도시험법 소개 및 현행 13도토리 류지원
624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e-CRF 시범 개발 연구용역 7도토리 김민성
623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원숭이두창바이러스의 in vitro 선천 면역 기전 분석 3도토리 김민성
622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2024년도 제2차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7도토리 김민성
621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첨단재생의료 기술가치평가 2차 시범사업 기획·운영 용역 7도토리 김민성
620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박테리오파지 중개연구 기반 구축 및 추진전략 수립 연구 5도토리 김민성
619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mRNA 백신 국산화 추진 전략 기획 연구 5도토리 김민성
618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첨단바이오RnD분야 효과성분석 5도토리 김민성
617 생명공학/바이오 [정부과제제안서] 민간투자 활성화 및 식품 가공·바이오에너지 등 미래 발전 분야 진출 대비 법령 개정 방안 연구 9도토리 김민성
616 생명공학/바이오 [바이오분야]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용 핵심 소재 시장분석 7도토리 황세영
615 생명공학/바이오 [바이오분야] 차세대 백신 전달 및 제형 소재 시장분석 7도토리 황세영
614 생명공학/바이오 [바이오분야] 차세대 백신 제작용 핵심 소재 시장분석 7도토리 황세영
613 생명공학/바이오 [바이오분야] 초병렬적 합성 핵산 후처리 장치 시장분석 7도토리 황세영
612 생명공학/바이오 [바이오분야] 바이오의약품 정제용 크로마토그래피 레진 시장분석 7도토리 황세영
611 생명공학/바이오 [기능성식품분야] 친환경 식품 포장재 시장분석 11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