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특정 질병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 찾아… 항체를 대체할 수 있는 펩타이드 개발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7
용량 3.39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특정 질병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 찾아… 항체를 대체할 수 있는 펩타이드 개발.hwp 3.3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한국세라믹기술원(원장 정연길) 김성현 박사와 한국과학기술원(총장 이광형) 전상용 교수 연구팀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이공분야 기초 연구사업의 지원을 통해 암과 같이 특정한 세포와 강하게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개발했다.
     * 펩타이드 : 아미노산 중합체로 2∼50개 이내의 아미노산이 연결되면 펩타이드, 그 이상의 많은 아미노산이 연결되면 단백질로 분류함
                   
 ○ 이를 통해, 암, 건선, 당뇨병 등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치료를 할 수 있는 차세대 진단 및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
     
□ 진단과 치료분야에서의 펩타이드는 크기가 항체**보다 작아 암 세포로의 침투력이 높으며, 부작용이 적어 안전성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 항체 :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특정 질병을 진단 및 치료하는 단백질임. 코로나 항체는 코로나 바이러스와 결합하는 항체를 뜻하며, 독감 바이러스와는 결합하지 않음.
                   
 ○ 또한, 화학적 합성으로 생산하기 때문에 쉽게 변형이 가능하고 생산 단가도 저렴하다.
                  
 ○ 그러나 그동안 펩타이드는 항체에 비해 정상세포가 아닌 암과 같은 특정 단백질과의 결합하는 특이성이 낮고 결합력도 낮아 여러 분야에서 활발히 응용되지 못했다.
□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연구팀은 “앱타이드(Aptide)” 라는 새로운 펩타이드 플랫폼을 개발하여 기존 펩타이드의 단점인 낮은 특이성과 결합력을 해결했으며, 이를 통해 항체를 대체할 수 있는 펩타이드도 개발하였다.
                  
 ○ 앱타이드는 세포 골격의 양 쪽에 변형이 가능한 펩타이드 2개가 결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여 특정 단백질과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 이러한 구조적인 변형을 통해 기존 펩타이드보다 약 1,000배 더 강한 결합력을 구현했다.
                  
 ○ 또한, 앱타이드에 산화철 세라믹 나노입자와 리포좀을 결합하여 몸 안에서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진단하며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 한국세라믹기술원 김성현 박사는 “개발된 펩타이드는 항체처럼 결합력이 우수해 다양한 질병에 대한 진단 및 의약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한편, 이번 연구 성과는 화학분야의 최고 권위의 국제 학술지인 ‘어카운트 오브 케미컬 리서치(Accounts of Chemical Research, Impact factor = 22.38)’ 9월호(9월 21일)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되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0 생명공학/바이오 K-방역 기술의 국제표준화 추진 동향 1도토리 나혜선
89 생명공학/바이오 멘탈헬스 측정 및 멘탈웰빙 관리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나혜선
88 생명공학/바이오 커넥티드 의료기기 해킹 및 랜섬웨어 대응기술 동향 1도토리 나혜선
87 생명공학/바이오 비침습 연속혈당 모니터링 기술동향 1도토리 류지원
86 생명공학/바이오 근적외선 펨토초 레이저 및 이광자 바이오 영상 기술 1도토리 류지원
85 생명공학/바이오 차세대 의료용 미생물 개발, 전자약 기술개발 동향 7도토리 국준아
84 생명공학/바이오 프랑스, 헬스 테크 발전 방안 발표 1도토리 조정희
83 생명공학/바이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중남미 협력 방안: 의료 및 방역 부문을 중심으로 7도토리 조정희
82 생명공학/바이오 K-디지털헬스케어 이해하기 - '모바일디지털헬스케어'편 3도토리 조정희
81 생명공학/바이오 바이오의약품 산업 동향과 한국 경쟁력 현황 3도토리 조정희
80 생명공학/바이오 중국 바이오의약산업의 동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79 생명공학/바이오 제약바이오 분야에서 상위개념이 공지된 물질특허의 진보성 판단기준 변화 1도토리 국준아
78 생명공학/바이오 2020년 글로벌 제약 기술거래 사례 및 m&a 동향 1도토리 국준아
77 생명공학/바이오 미국, 한국 등 OECD 33개 국가별 약가 수준 비교 1도토리 국준아
76 생명공학/바이오 코로나19가 불러온 글로벌 CRO 산업 지형의 변화 1도토리 국준아
75 생명공학/바이오 면역항암제 기술 및 시장동향 3도토리 국준아
74 생명공학/바이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의료기기 주요기업 특허 출원 동향과 의료 분야 응용 기술 개발동향 3도토리 국준아
73 생명공학/바이오 코로나19 이후 급부상하고 있는 디지털헬스산업 1도토리 국준아
72 생명공학/바이오 미국 코로나19 백신 긴급사용승인과 정식승인의 차이 1도토리 국준아
71 생명공학/바이오 무역 관점에서 본 글로벌 백신 공급망 현황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