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23년 EU 주요 환경규제와 대응전략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48
용량 1.41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23년 EU 주요 환경규제와 대응전략.pdf 1.4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2-2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3 

[ 요약 ] 

EU는 2019년 신성장 전략인 유럽 그린딜(European Green Deal) 제시 이후 환경 및 기후변화 정책을 대폭 강화하며
글로벌 환경 아젠다를 주도하고 있다. 이에 우리 기업들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EU발 주요 환경규제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
 우선 기후변화 부문에서 10월 시범시행을 앞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의 대상품목에 수소와 나사, 볼트 등
하위품목과 직접배출 외 전기사용에 따른 간접배출이 포함되었다. 기업 공급망 전체에서 환경훼손 위험을 실사토록
하는 ‘공급망실사 지침’도 직접적 대상이 되지 않더라도 EU 내 바이어들로부터 동등한 수준의 실사이행을 요구받을
수 있어 우리 기업들의 ESG 역량 내재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1월 발효된 ‘지속가능성 공시 지침’은
비EU기업에게도 지속가능성 경영전략에 대한 강화된 공시를 요구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순환경제 측면에서도 제품 생애주기에서 지속가능성 요소를 강화하고, 모든 물리적 제품으로 해당 범위를 확장하는
새로운 ‘에코디자인 규정’과 ‘디지털 배터리 여권’ 도입 및 폐배터리 재활용 원료 사용 의무를 부과하는 ‘新배터리
규정’이 곧 발효 예정이다.
 나아가 새로운 유해성 분류기준을 도입하고, 위험정보 전달방법을 구체화하기 위한 ‘화학물질 분류 및 포장
규정(CLP)’ 개정작업이 이뤄지며 화학물질 규제 또한 강화되고 있다.
 규제의 파급력, 시급성, 대응난이도를 기준으로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정성 평가한 결과, 공급망 전반에
적용되는 ‘공급망실사 지침’과 모든 물리적 제품으로 범위가 확장된 ‘에코디자인 규정’이 상대적으로 다수의 수출
중소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우리 기업들은 EU환경규제의 법제화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경영 전반에 환경요소를 반영함과 동시에 공급망 내 환경 위험요소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EU 환경 정책 강화

◉ EU는 환경 및 기후변화 정책을 대폭 강화하며 글로벌 환경 아젠다 주도
 환경 및 기후목표를 경제・산업, 에너지, 금융, 농업 등 거의 모든 정책 분야에
포함시키고 이를 통해 EU경제를 저탄소녹색경제로 체계적 전환
- 2019.12월, EU 신성장 전략인 유럽 그린딜(European Green Deal) 제시 이후 세부
계획들이 발표
- 기존 환경규제의 적용 대상 및 기준이 확대・강화되고 새로운 제품군에 대한 신규
규제가 최근 대거 도입

화면 캡처 2023-03-07 141049.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3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다양한 심장질환 치료를 위한 alternative mitophagy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5도토리 국준아
43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대장암에서 장내미생물 균총의 역할 6도토리 국준아
43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화장품분야_의약품 및 화장품에서의 에멀션 기술 및 제조공정 5도토리 김민성
43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신규 약물 설계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 동향 5도토리 김민성
43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화장품/의류분야_2023 화장품/의류 하반기 전망 9도토리 류지원
43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2023 ASCO 미리보기 7도토리 박민혁
43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혁신신약 개발 및 영향요인 11도토리 정한솔
43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헬스분야_바이오헬스 분야 규제샌드박스 도입 11도토리 정한솔
43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퀀트가 생각하는 제약바이오 11도토리 오민아
430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분석] 신약 연구 개발 과정 및 최신 미국 동향 5도토리 강정훈
42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이란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사우디아라비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파키스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호주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터키 (튀르키예)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러시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뉴질랜드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페루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아르헨티나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브라질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