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GLP-1 RA 연구에 따른 산업의 변화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40
용량 2.02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GLP-1 RA 연구에 따른 산업의 변화.pdf 2.0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3-06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18 

[ 차례 ]

 

요약

 

Part 1:  GLP-1 RA 개발로 주가가 움직인 빅파마

 

Part 2: 넓어지는 GLP-1 RA 영역, 공급 부족의 시작 
1.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높아진 GLP-1 RA 지위 
2. 높은 체중 감량 효과, 비만 치료제로의 확장
3. GLP-1 RA 공급부족의 시작

 

Part 3: NASH 시장 도전기 
1. 간 질환으로의 적응증 확장 
2. NASH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당뇨, 비만 
3. NASH 치료제 R&D 현황 
4. 가장 상업화에 가까운 Pipeline: Ocaliva, Resmetirom

 

기업분석

1. 한미약품 (128940) 임상 모멘텀에 더해진 2공장의 가치 
2.  올릭스 (226950) RNA 간섭 플랫폼 임상시험 진입 본격화


 

[ 요약 ]

 

2022년 이후 GLP-1 RA(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의 연구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관련 빅파마들의 주가가 들썩이기 시작했다. 2023년부터 바
이오 의약품 특허절벽이 시작되고 GLP-1 RA의 매출이 본격적으로 발생하면서
Global Top selling drug에 상당수 포함될 예정이다.


GLP-1 RA는 높은 혈당강하 효과로 제2형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이 시작되었다.
심혈관질환 예방 효과가 밝혀지면서 당뇨병 치료 가이드라인에서 비중이 커졌다.
유의미한 체중 감량 효과까지 나타나면서 기존 경구용 비만 치료제를 대체하기 시
작했다. 주사로 투여해야 하는 불편함에도 높은 체중 감소율과 안전성으로 수요는
급증했다. 당뇨와 비만에서 입지가 공고해진 GLP-1 RA의 공급 부족으로 빅파마
들은 증설까지 계획하고 있다.


GLP-1 RA는 NASH(Nonalcoholic Steatohepatitis) 치료제 후보물질로 주목 받
고 있다. NASH는 의학적 미충족 수요가 크기만 발병 기전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
아 의약품 개발에 난항을 겪고 있었다. 최근 연구 결과에서 당뇨, 비만과 가장 높
은 상관관계를 보여 GLP-1 RA 기전이 하나의 해결책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제일 상업화에 가까운 의약품은 Farnesoid X receptor에 작용하는 오칼리바
와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THR-β)에 작용하는 레스메티롬이다. 향후 GLP-1
RA의 NASH 치료제 적응증 획득이 기대된다. 

화면 캡처 2023-03-07 132616.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3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다양한 심장질환 치료를 위한 alternative mitophagy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5도토리 국준아
43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대장암에서 장내미생물 균총의 역할 6도토리 국준아
43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화장품분야_의약품 및 화장품에서의 에멀션 기술 및 제조공정 5도토리 김민성
43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신규 약물 설계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 동향 5도토리 김민성
43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화장품/의류분야_2023 화장품/의류 하반기 전망 9도토리 류지원
43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2023 ASCO 미리보기 7도토리 박민혁
43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혁신신약 개발 및 영향요인 11도토리 정한솔
43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헬스분야_바이오헬스 분야 규제샌드박스 도입 11도토리 정한솔
43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퀀트가 생각하는 제약바이오 11도토리 오민아
430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분석] 신약 연구 개발 과정 및 최신 미국 동향 5도토리 강정훈
42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이란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사우디아라비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파키스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호주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터키 (튀르키예)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러시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뉴질랜드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페루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아르헨티나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브라질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