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의료의 해외진출 이후 관리 방안 연구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46
용량 4.39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의료의 해외진출 이후 관리 방안 연구.pdf 4.3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2-23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28 

- 차례 -

 연구의 필요성
1. 의료 해외진출 산업의 연혁 및 정책현황 
2. 의료 해외진출 후속 관리방안 연구의 필요성 


 의료 해외진출 프로젝트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분석 
0. 개요 
1. 원내원(院內院) 
2. 위탁운영
3. 합작진출(국내·외 컨소시엄)
4. 합작진출(국내 컨소시엄) 
5. 기타 유형 
6. 정리 


 의료 해외진출 후속 관리 지원수요의 발굴 
1. 개요 
2. 의료 해외진출 지원수요 분석
가. 법률조사
나. 홍보 
다. 지속적 인력공급 
라. 현지 정부와의 소통채널 확보


 의료 해외진출 후속 관리 지원방안의 제시
0. 개요 
1. 법률정보 지원체계 개선 
2. 홍보지원 체계 개선
3. 인력양성 체계 개선 
4. 현지 정부와의 소통채널 구축


 의료 해외진출 후속 관리 관련 국내·외 법·제도 고찰
0. 개요 
1. 의료 해외진출 후속 관리 방안 관련 법률 현황
2. 의료 해외진출 후속 관리 관련 정책적 지원 현황
3. 코로나팬데믹 기간 중 주요 국가의 정책지원 동향 
가. 영국 : Healthcare UK 
나. 일본 : Medical Excellence Japan(MEJ) 
다. 말레이시아 : IHH Healthcare Berhad
라. 시사점 
4. 국내 타 산업분야의 해외진출 지원 사례 


 결론 : 의료 해외진출 후속 관리방안에 대한 제언 
1. 지원수요의 발굴 및 구체적 지원방안 
① 법률정보 지원방안
② 홍보전략 지원방안 
③ 계속적 인력공급 지원방안
④ 현지 정부 소통채널 지원 
2. 정리 



 연구의 필요성
1. 의료 해외진출 산업의 연혁 및 정책현황
◯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은 타 산업대비 시장규모가 크고 IT·BT·NT
등 기술융합을 통해 미래 성장잠재력과 일자리 창출효과가 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평가됨
◯ 아울러 국내 의료산업은 전반적으로 기술적 수준이 높을 뿐 아니라, 특히 미용, 통증 등의 의료영역에 있어서는 전 세계 어떤 의료선진국과 비교해도 뒤처지지 않는 등 글로벌 의료시장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
◯ 많은 국가가 보건의료분야의 육성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하는 상황에서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의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육성지원이 필요하며, 이에 효과적인 정부 지원정책 수립을 위한 주요 의료산업 선진국 정책 및 전문기업 벤치마킹 전략이 필요함
◯ 한편 코로나 19 대유행으로 인해 보건의료분야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이 더욱 커지면서 높은 수준의 한국의료 산업의 해외진출을 도모함으로써 국제사회에 기여함과 동시에 한국의 국격 향상, 선진국으로서 리더십 제고, 국민의 자긍심 향상과 장기적으로 우호적이고 친 한국적 시장환경 조성을 통한 수출시장 확대의 한 방안으로 생각해볼 수 있을 것임
 

화면 캡처 2023-03-02 152501.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3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다양한 심장질환 치료를 위한 alternative mitophagy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5도토리 국준아
43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대장암에서 장내미생물 균총의 역할 6도토리 국준아
43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화장품분야_의약품 및 화장품에서의 에멀션 기술 및 제조공정 5도토리 김민성
43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신규 약물 설계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 동향 5도토리 김민성
43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화장품/의류분야_2023 화장품/의류 하반기 전망 9도토리 류지원
43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2023 ASCO 미리보기 7도토리 박민혁
43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혁신신약 개발 및 영향요인 11도토리 정한솔
43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헬스분야_바이오헬스 분야 규제샌드박스 도입 11도토리 정한솔
43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퀀트가 생각하는 제약바이오 11도토리 오민아
430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분석] 신약 연구 개발 과정 및 최신 미국 동향 5도토리 강정훈
42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이란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사우디아라비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파키스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호주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터키 (튀르키예)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러시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뉴질랜드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페루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아르헨티나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브라질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