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이종이식제제 해외 규제 동향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36
용량 1.07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이종이식제제 해외 규제 동향.pdf 1.0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2-2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76 

- 차례 - 

 

Ⅰ 서론 


Ⅱ 주요 국가의 이종이식제제 규제 현황 
1. 미국 
2. 영국 
3. 일본 
4. 유럽연합
5. 뉴질랜드


Ⅲ 국제 기구의 이종이식제제 규제 현황
1. 세계보건기구(WHO) : 이종이식을 위한 국제 선언
2. 이종이식국제협의회(IXA) : 이종이식을 위한 합의문


Ⅳ 맺음말


 

I. 서론


장기이식은 말기 장기부전 환자의 궁극적인 치료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장기이식의 부작용 감소와 효과성을 높이고 있다.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장기이식을 받은 환자의 생존 확률은
높아지고 있으나, 국내에서 장기이식을 희망하는 환자는 2000년 5,343명에서 2021년에는 45,843명으로
9배가량 증가하였지만 장기기증자는 2021년 442명1)으로 수요에 비해 공급은 매우 부족한 상태다. 이러한
장기이식의 수요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체장기에 대한 연구가 다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중
이종이식에 대한 사회적·의학적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종이식(Xenotransplantation)이란, 인간 이외의 동물에서 유래하는 살아있는 세포, 조직 또는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 또는 주입하거나, 인간 이외의 동물에서 유래하는 살아있는 세포, 조직 또는 장기와 체외에서
접촉한 인간의 체액, 세포, 조직 또는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 또는 주입하는 것, 인간 줄기세포를 인간 이외의 동물
체내에서 세포나 조직으로 분화시킨 후 인간에게 이식 또는 주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종이식제제의 제품화 촉진 및 임상적용을 위해 각 국가 및 관련 기관에서는 이종이식제제의 품질,
안전성·유효성 평가 및 전주기 안전관리를 위한 규제과학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본 정보집을
통해 이종이식제제에 대한 해외 규제 현황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3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다양한 심장질환 치료를 위한 alternative mitophagy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5도토리 국준아
43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대장암에서 장내미생물 균총의 역할 6도토리 국준아
43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화장품분야_의약품 및 화장품에서의 에멀션 기술 및 제조공정 5도토리 김민성
43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신규 약물 설계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 동향 5도토리 김민성
43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화장품/의류분야_2023 화장품/의류 하반기 전망 9도토리 류지원
43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2023 ASCO 미리보기 7도토리 박민혁
43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혁신신약 개발 및 영향요인 11도토리 정한솔
43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헬스분야_바이오헬스 분야 규제샌드박스 도입 11도토리 정한솔
43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퀀트가 생각하는 제약바이오 11도토리 오민아
430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분석] 신약 연구 개발 과정 및 최신 미국 동향 5도토리 강정훈
42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이란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사우디아라비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파키스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호주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터키 (튀르키예)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러시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뉴질랜드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페루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아르헨티나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2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브라질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