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2021년 국내 백신산업 실태 조사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46
용량 1.9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2021년 국내 백신산업 실태 조사.pdf 1.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06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페이지 수 : 70 

- 목차 - 

01 조사개요 

 

02 조사결과

 

1. 기업 일반 현황 

2. 재무 현황

3. 인력 현황

4. 투자 현황 

5. 타 기관과의 협력관계 

6. 국내판매 및 수출입 현황

7. 백신산업 정책수요


1. 기업 일반 현황 국내 백신산업 조사기업은 총 159개 기업이며, 기업 일반 현황은 다음과 같음 - (사업분야) ‘백신관련 서비스’(35.8%, 57개사) 분야가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백신원· 부자재’(32.1%, 51개사), ‘백신완제품’(29.6%, 47개사), ‘백신장비’(15.1%, 24개사) 순임- (백신 생산방식) ‘직접 생산’(32.1%, 51개사), ‘CMO’(22개사), ‘OEM’(8개사) 등의 순임*백신 생산과 해당 사항이 없는 기업이 56.0%(89개사)로 나타남 - (사업체 유형) ‘단독사업체’(73.0%, 116개사)가 대부분이며, ‘다수사업체’ 보유기업은 27.0%(43개사)임 - (설립년도) ‘1999년 이전’(38.4%, 61개사)이 가장 많고, ‘2015년 이후’는 17.6%(28개사) 로 나타남 - (대표자 성별) ‘남성’이 89.3%(142개사), ‘여성’은 10.7%(17개사)로 나타남 - (소재지) ‘서울’(33.3%, 53개사)과 ‘경기’(32.1%, 51개사)에 집중되어 있음 - (기업규모) ‘중소기업’(70.4%, 112개사), ‘중견기업’(42개사), ‘대기업’(5개사) 순임- (자본 구성 및 상장여부) ‘내자회사(순수 내국자본)’가 89.9%(143개사)로 대부분이며, ‘코스닥’ 상장기업이 23개사, ‘코스피’는 12개사로 나타남 - (품질관리인증 취득 여부) 품질관리인증(GMP)을 취득한 기업은 22.0%(35개사)임구분 응답 기업수 비율 전체 (159) 100.0 사업분야 (중복응답) 백신완제품 (47) 29.6 백신원·부자재 (51) 32.1 백신장비 (24) 15.1 백신관련서비스 (57) 35.8 기업규모 중소기업 (112) 70.4 중견기업 (42) 26.4 대기업 (5) 3.1 종사자 규모 1~9인 (17) 10.7 10~49인 (51) 32.1 50~99인 (46) 28.9 100인 이상 (45) 28.3 [표 1] 기업 일반 현황 [Base: 전체 응답기업(n=159), 단위:개사, %] 요약 3 2. 재무 현황 (백신산업 부문 매출액) 2021년 기준, 백신산업 부문 매출 규모는 4조 465억 원이며, 전체 매출액 대비 차지하는 비중은 10.1%로 나타남. 백신산업 부문 평균 매출액은 261억 원으로 나타남 - (사업분야) 백신원·부자재 분야를 제외한 분야에서 백신산업 부문 매출이 차지하는 비율이 10% 이상이며, 그 중 백신장비(15.6%) 분야에서 특히 높음 구분 전체 매출액 백신산업 부문 매출액 백신산업 응답 기업수 합계 평균 응답 기업수 합계 평균 부문 매출 비율(%) 전체 (157) 40,735,852 259,464 (155) 4,046,456 26,106 10.1 사업분야 (중복응답) 백신완제품 (46) 32,096,423 697,748 (44) 3,250,201 73,868 10.6 백신원·부자재 (50) 6,554,428 131,089 (48) 227,498 4,740 3.6 백신장비 (24) 721,548 30,065 (24) 112,366 4,682 15.6 백신관련서비스 (57) 6,215,505 109,044 (57) 712,414 12,498 11.5 [표 2] 2021년 백신산업 부문 매출액 [Base: 응답기업, 단위:백만원] ※ 백신산업 부문 매출 비중 : (평균 백신산업 부문 매출액/평균 매출액)×100 ※ 매출이 없거나 미응답 기업 제외 (백신산업 부문 국내매출 및 수출액) 2021년 기준, 백신산업 부문 매출액 중 국내 매출은 3조 4,178억 원(84.5%) 대부분을 차지하며, 수출액은 6,287억 원(15.5%)임 - (사업분야) 백신완제품, 백신관련 서비스 분야는 국내 매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백신원·부자재는 해외 수출액(1,410억 원)이 국내 매출보다 더 높게 나타남 구분 백신 완제품 백신 원부자재 백신장비 백신 관련 서비스 국내외 매출(계) 응답 기업수 합계 응답 기업수 합계 응답 기업수 합계 응답 기업수 합계 응답 기업수 합계 전체 국내 (40) 2,677,489 (45) 66,360 (3) 57,363 (56) 616,546 (150) 3,417,758 수출 (41) 483,397 (43) 83,349 (22) 42,975 (56) 18,977 (148) 628,698 사업분야 (중복응답) 백신완제품 국내 (40) 2,677,489 (5) 9,039 (1) 0 (2) 0 (40) 2,686,528 수출 (41) 483,397 (7) 80,276 (1) 0 (2) 0 (41) 563,673 백신원·부자재 국내 (6) 11,861 (45) 66,360 (4) 2,542 (3) 5,720 (46) 86,483 수출 (8) 57,301 (43) 83,349 (2) 0 (3) 365 (44) 141,015 백신장비 국내 (1) 0 (4) 11,850 (23) 57,363 (2) 144 (23) 69,357 수출 (1) 0 (3) 34 (22) 42,975 (2) 0 (23) 43,009 백신관련서비스 국내 (3) 13,361 (3) 6,085 (2) 144 (56) 616,546 (57) 636,136 수출 (3) 57,301 (3) 0 (2) 0 (56) 18,977 (57) 76,278 [표 3] 2021년 백신산업 부문 국내매출 및 수출액 [Base: 응답기업, 단위:개사, 백만원] ※ 국내 및 수출액이 없거나 미응답 기업 제외 2021년 기준 국내 백신산업 실태조사4 (백신산업 부문 성장단계) 현재 백신산업 부문 ‘매출발생’ 기업은 66.7%(106개사)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그 중 ‘손익분기점 이상 매출발생’ 단계가 47.2%(75개사)로 나타남- (백신산업부문 매출발생 시기) ‘10년 이상’ 매출발생 기업이 42.5%(45개사)이며, 2021년(1년) 처음 매출이 발생한 기업은 17.9%(19개사)로 나타남 구분 응답 기업수 매출발생 이전 매출발생 손익분기점 미만 손익분기점 이상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기업수 비율 전체 (159) (53) 33.3 (31) 19.5 (75) 47.2 사업분야 (중복응답) 백신완제품 (47) (25) 53.2 (3) 6.4 (19) 40.4 백신원·부자재 (51) (23) 45.1 (16) 31.4 (12) 23.5 백신장비 (24) (8) 33.3 (3) 12.5 (13) 54.2 백신관련서비스 (57) (5) 8.8 (12) 21.1 (40) 70.2 [표 4] 백신산업 부문 성장 단계 [Base: 전체 응답기업(n=159), 단위:개사, %, 중복응답] 3. 인력 현황 (백신산업 부문 인력) 조사기업 159개사의 2021년 기준, 백신산업 부문 종사자 수는 10,758명이며, 전체 종사자 수(총 44,312명) 대비 25.8%를 차지함 *기업당 평균 종사자 수는 72명임 - (사업분야) 백신완제품(8,759명) 분야의 인력 규모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백신원· 부자재(4,719명), 백신관련 서비스(1,286명), 백신장비(626명) 순임 - (직무별) ‘생산직’이 43.8%(4,715명), ‘영업/관리 등 기타직’(30.4%), ‘연구직’(25.8%) 순임- (성별) ‘남성’이 6,969명(64.8%)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여성’은 3,789명임구분 전체 종사자 수 백신산업부문 종사자 수 백신산업부문 응답 기업수 합계 평균 응답 기업수 합계 평균 종사자 비율(%) 전체 (159) 44,312 279 (150) 10,758 72 25.8 사업분야 (중복응답) 백신완제품 (47) 32,907 700 (42) 8,759 209 29.9 백신원·부자재 (51) 13,502 265 (48) 4,719 98 37.0 백신장비 (24) 2,679 112 (23) 626 27 24.1 백신관련서비스 (57) 4,716 83 (55) 1,286 23 27.7 [표 5] 2021년 백신산업 종사자 수 [Base: 전체 응답기업(n=159), 단위:개사, 명] ※ 백신산업 부문 종사자 비율 : (평균 백신산업 부문 종사자 수/평균 종사자 수)×100 ※ 사업분야별 중복 응답이 있어, 사업분야별 인력 수 총합이 전체 종사자 수와 일치하지 않음

 

화면 캡처 2023-01-03 144121.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6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면역항암제 글로벌 시장 동향 3도토리 강정훈
36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환반변성 치료제의 치료제 개발 동향 7도토리 강정훈
36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디지털 치료제의 동향 및 전략 5도토리 강정훈
36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당뇨망막병증의 기술개발 현황 5도토리 강정훈
35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바이오베터 시장 및 기술 현황 7도토리 강정훈
35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일본 식품시장의 현황 및 시사점 5도토리 강정훈
35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의료기관 ESG 사례 및 시사점 7도토리 강정훈
35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미국의 바이오 제약 산업 정책 5도토리 안소영
35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선도그룹연합 주요 내용 및 현황 5도토리 정한솔
35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주요 10개국 의료 관련 법률 안내서 9도토리 정한솔
353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2023년 국제 의료 전망 분석 9도토리 정한솔
35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식량위기 시대의 곡물정책 9도토리 강정훈
351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의 실태와 과제 9도토리 강정훈
35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에너지 안보 및 탄소 중립을 위한 원자력산업의 역할 변화 동향 3도토리 강정훈
349 생명공학/바이오 [동향분석] 2022년 일본 바이오안전성 동향 5도토리 장민환
348 생명공학/바이오 [동향분석] 바이오 폐기물 시장 현황 1도토리 장민환
347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2023년 보건 복지 정책 변화 3도토리 장민환
34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 3차 장사시설 수급 종합계획 발표 보도자료 3도토리 장민환
»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2021년 국내 백신산업 실태 조사 7도토리 노민우
344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중동 아프리카 8개국을 중심으로 한 2022 국가별 보건산업현황 9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