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 ] 美 식∙음료 업계 이산화탄소 부족사태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50
용량 24.7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동향 ] 美 식∙음료 업계 이산화탄소 부족사태.pdf 24.7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9-01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식품 제조∙가공∙냉동에 필수적인 이산화탄소 공급 부족현상 지속

한국, 올 상반기 수입시장 점유율 4위

 

미 식품∙음료 업계가 제품 생산에 필수적인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를 확보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월스트릿저널(WSJ)은 지난 8월 26일 육류 가공과 맥주∙탄산음료 제조에 필요한 이산화탄소 품귀 현상을 보도하며, 업계 상황을 전했다.

 

코로나19로 촉발된 공급망 제약과 폭염이 불러온 수급 불균형

 

가공식품 업계에서 이산화탄소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냉동식품은 유통 전 급속 냉동을 위해 이산화탄소 터널을 통과시키고 이산화탄소를 고체화 시킨 드라이아이스는 식품의 냉동을 유지시킨다. 또 액화 이산화탄소는 맥주와 탄산음료의 주원료 중 하나다.

 

WSJ은 지난 2020년 초, 코로나19 록다운 이후부터 현재까지 이산화탄소 수급 불균형이 지속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산화탄소 제품은 에탄올과 비료 생산의 부산물인데, 록다운 기간 동안 에탄올 수요가 감소했고 최근에는 에너지 가격이 급등한 것이 그 요인으로 분석된다. 동시에 미 전역을 덮친 폭염으로 이산화탄소 제품의 수요가 급증한 것도 한 몫 했다. 또 올 가을 가스 생산 기업들의 정비를 위한 공장 가동 중단이 예고됨에 따라 공급 부족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가스 공급업체들이 고객사에게 납품 제한을 경고하면서 식품업계의 이산화탄소 확보 경쟁에 불을 지폈다. WSJ은 미 최대 육류∙가금류 가공업체인 타이슨(Tyson)이 가스 공급 업체들에 보낸 서신을 인용하며 긴박하게 돌아가는 업계 사정을 전했다. 타이슨은 지난 5월 아이오와와 네브라스카 공장이 비상상황에 처해있다며 이산화탄소 가스 공급 부족현상의 심각함을 알린데 이어 6월에는 메인, 알라바마, 알칸소를 포함한 미국 내 10개 공장에 가스가 필요하다며 도움을 요청했다.

 

또 다른 대형 식품업체인 크래프트(Kraft)는 소매업체들을 대상으로 이산화탄소 공급과 그 외 여러가지 요인으로 델리-프레시 터키 콜드 컷(deli-fresh turkey cold cut, 샌드위치용으로 얇게 썰어 절인 칠면조 고기) 제품 공급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음을 통보했다.

 

대체 공급사를 찾은 식품∙음료 업체들의 문의로 소규모 가스 공급 업체들도 크게 바빠졌다. 이산화탄소 비축분을 문의하는 신규 고객 문의가 평소의 세 배 이상으로 증가했고 트럭으로 수백 마일 떨어진 곳으로까지 가스를 배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스 공급업체들에 문의한 기업에는 대형 식품업체인 제너럴 밀스(General Mills Inc.)와 버터볼(Butterball LLC)도 포함돼 있다. 한 가스 공급사에 따르면 제너럴밀스는 추가 공급선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베티 크로커 베이킹 믹스를 생산하는 아이오와 공장의 가동을 중단해야 할 위기에 처했다.

 

미국의 이산화탄소 생산 및 수입 현황 

 

시장조사기관 IBIS에 따르면 미국의 이산화탄소 제품의 생산 규모는 5년간 연평균 5.5% 성장해 2022년 1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생산과 냉동식품, 맥주와 탄산음료의 수요, 오일과 가스 추출 수요가 이산화탄소 제품의 수요로 직결된다. 동 산업의 1차 바이어는 냉동식품 제조업체와 탄산음료 제조업체이며 2차 바이어는 오일과 가스 추출 업체, 육류와 가금류 가공 업체다.

 

미국 이산화탄소 제품별 생산 비율은 액화 이산화탄소로 전체의 62%를 차지하며 이산화탄소 가스와 드라이아이스가 각각 28%와 10%로 그 뒤를 이었다. 산업별 수요는 제조와 건설이 30.9%로 가장 높고 오일과 가스가 26.5%로 두 번째로 높다. 식품과 음료 관련 수요는 6.5% 수준이다.

 

<미국 이산화탄소 제조업의 산업별 주요 시장>

 

[자료: IBIS World(Carbon Dioxide Production(2022년 3월)]

 

미국은 코로나19 록다운 이후 경제가 빠르게 회복되면서 이산화탄소 수입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미국의 이산화탄소 수입은 2202만 달러로 전년대비 31.2% 급증했다. 미국의 이산화탄소 주요 수입국은 대만과 캐나다로 전체 수입시장의 60% 가까이를 차지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23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말레이시아에 부는 거센 한류, 한국 과자의 인기도 체감 1도토리 노민우
32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쿠웨이트 진단키트 시장 동향 1도토리 노민우
321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아르헨티나 치과산업에 새로운 기술을 접목시키다 1도토리 이지훈
32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이탈리아 미용기기 시장동향 1도토리 안소영
319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아프리카 의료기기 시장동향 9도토리 이지훈
318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JW중외제약_ 3Q22 Preview, Seize the day 1도토리 정한솔
31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최근 요르단인들의 미용의료 수요 증가 1도토리 강정훈
316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중국 비스킷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315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대웅제약_해외진출 B(보). T(톡). S(스 3도토리 박민혁
31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바이오분야_ESMO 핵심 키워드 NSCL와 ADC 5도토리 박민혁
31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바이오분야_한미약품과 엔허투 1도토리 박민혁
312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식품분야_오에스피, 펫푸드 1호 상장사 탄생 목전 1도토리 박민혁
311 생명공학/바이오 [경제분석] 러-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 식량 안보 위기 3도토리 전아람
31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화장품분야_나노뷰티 9도토리 이지훈
30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바이오분야_세포배양 기술과 기기 알아보기 9도토리 이지훈
308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호주 음료 시장동향 1도토리 류지원
30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미국 자동차 산업에 불고 있는 ‘“Vegan; 완전한 채식주의” 열풍 1도토리 류지원
306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헝가리 원격의료 시장 동향 1도토리 류지원
305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시장분석_미국 식용유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 美 식∙음료 업계 이산화탄소 부족사태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