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분석] 의료분야_CDMO 연계 중재시술 의료기기 기술개발 및 시장분석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43
용량 1.73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분석] 의료분야_CDMO 연계 중재시술 의료기기 기술개발 및 시장분석.pdf 1.7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7-28 
출처 : KEIT 
페이지 수 : 23 

< 목 차 >

 

1. 최소침습 중재의료기기의 개요

2. 최소침습 중재의료기기 기술 동향

3. 최소침습 중재의료기기 시장 동향

4. 결론 및 시사점

 


 

★ 과거 피부 절개를 통해서 시행하던 수술과는 달리, 절개의 크기를 최소화하거나 인체 구조물들을 최대한으로 보존하며 병변에 진입하여 진단/치료하는 수술을 총칭 ★ 심뇌혈관계, 말초 혈관계 질환 뿐만 아니라, 소화기계 질환, 척추 질환, 안과 및 이비인후과 등 대부분의 진료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음 ★ 대표적인 제품군은 카테터, 가이드와이어, 캐뉼라, 코일 및 이를 이용하여 삽입되는 스텐트, 삽입형 의료기기 등이 있으며, 생체적합성 고분자와 금속을 이용한 정밀 성형, 레이저 가공 기술 등이 필수적임 ★ 최근에는 정밀 진단 및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삽입형 의료기기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어, 인체 삽입이 가능한 온도, 촉각, 저항, 압력 센서 및 패키징 기술 등이 매우 중요한 상황임 (출처 : Edwards Lifesciences, Stryker 홈페이지(재구성)) | 그림 1. 최소침습 시술의 종류 | 최소침습 중재의료기기 제품군 ★ 카테터(Catheter) - 병변의 진단 및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도관(Tube, Shaft) 형태의 최소침습시술 의료기기로써, 영상기기를 기반한 진단 및 최소침습적 시술을 수행하는 중재시술 의료기기 분야의 핵심 의료기기 - 영상 진단장비의 발전과 카테터 제조 기술력의 향상으로 카테터의 원위부(Distal part) 부위에 기능성 소자(온도 센서, 자기장 센서, 접촉력 센서, 촉각 센서) 등이 탑재되어, 시술 전후 상태 모니터링 등의 진단 뿐만 아니라 소작 소자, 마이크로 미러, 초소형 모터 등을 탑재하여 치료 가능한 시술을 수행하는 고 기능성의 스마트 카테터(Smart catheter)로 진화하고 있음 - 최근 글로벌 시장은 430억 달러 수준으로 성장하였으며, 연평균 11.3%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함(’20년 기준, Global Market Insight)가이드와이어(Guidewire, 유도철사) - X-ray 나 CT, CBCT(Cone-beam CT) 등의 영상 장비 기반 중재시술 시, 진입 유로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하는 0.3~1.8m 길이의 유도 철사로써, 최소침습 의료기기 및 인체 삽입형 의료기기가 안정적으로 병변까지 진입할 수 있도록 시술 초기에 가이드와이어를 거치한 후, 의료기기 삽입 - 글로벌 가이드와이어 시장 역시 연평균 6.3% 수준으로 지속적인 성장 중이며, 정밀 성형 가공이 가능한 일본 등의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 중심으로 개발이 가속화됨 ★ 인체 삽입형 임플란트 - 인체 기능 및 역할을 복원하기 위하여 중재시술을 통하여 삽입되는 의료기기를 의미함 - 혈관의 협착을 복원하기 위한 스텐트(Stent), 구조적 심장질환의 치료를 위한 인공 판막(Valve), 혈관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스텐트 그라프트, 뇌동맥류 치료를 위한 색전용 코일 등이 있음 (출처 : Abbott, Edwards Lifesciences, Boston scientific, Cook medical, Siemens healthneers, Microvention 홈페이지) | 그림 2. 다양한 질환에 활용되는 카테터 및 와이어형 최소침습 의료기기 예시 | ★ 신경제어 기반 치료기기 - 신경 제어 기반 치료기기는 인체의 신경조직에 외부 에너지를 통한 물리적 자극을 인가하여 내부 장기의 신경생리학적 기능 조절을 유도하여 질병 치료 또는 통증 경감을 유도하는 의료기기를 의미함 - 신경 자극을 통해 조직 내 세포 활성도, 생체 반응, 재생 속도 향상을 유도하여 장기 기능을 조절하거나 신경 자극을 통해 통증을 제어 - 신경조절시스템을 통해 대표적인 질환 즉, 심장질환, 뇌질환, 만성통증 및 재활치료분야 등에서 그 효과를 인정받고, 실질적 증상완화/치료기기로서 적극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의식불명의 식물인간이 신경 소작 및 제어를 통한 전기 자극으로 의식을 회복하는 성과를 거두면서 미래의학의 수단으로 주목 - 고령인구가 증가되었지만 노화로 인해 약해진 신체 기능의 향상과 불의의 사고로 손상된 기능의 회복을 위하여 신경조절시스템의 필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관련 의료기기 개발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나 현재는 미국 기업이 주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03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제이시스메디칼_신제품 출시 효과는 3분기부터 1도토리 국준아
30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바이오분야_RNA 르네상스 7도토리 국준아
30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바이오분야_ 노바티스, 산도즈 100% 분사 발표 1도토리 민준석
300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축산물에 사용하는 동물용의약품의 위해평가 안전정보 공개 1도토리 장민환
299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마약류 ADHD치료제·진해제 안전사용 기준 제시 7도토리 장민환
298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22년 의약품 설계기반 품질고도화(QbD) 컨설팅 개시 1도토리 장민환
297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식약처, 코로나19 치료제 신속한 임상 진입 지원 1도토리 장민환
29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야] 바이오분야_K-생명공학 랩허브 구축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3도토리 오민아
295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대원제약_2분기 호실적, 하반기도 지속 전망 1도토리 박민혁
294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대원제약_2Q22 분석 1도토리 박민혁
293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동국제약_최대 매출 달성, but 눈높이는 낮춰야 하는 2분기 1도토리 강정훈
292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오리온_지배력 추세상승에 집중 3도토리 강정훈
291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에스티팜_더욱 기대되는 하반기 성장 3도토리 강정훈
290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한국콜마_국내와 HK이노엔 호실적 3도토리 노민우
289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한국콜마_2Q22 분석 1도토리 국준아
288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하이트진로_리오프닝 효과 톡톡 3도토리 이지훈
287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씨젠_확진자 감소 및 정부 방역정책 변화로 어닝 쇼크 3도토리 이지훈
»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분석] 의료분야_CDMO 연계 중재시술 의료기기 기술개발 및 시장분석 5도토리 박민혁
285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의료분야_2022년 카자흐스탄 보건산업 1도토리 박민혁
284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식품분야_러시아 채소 종자 시장, 꾸준히 성장세 1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