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 식품분야_러시아 채소 종자 시장, 꾸준히 성장세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37
용량 37.72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동향] 식품분야_러시아 채소 종자 시장, 꾸준히 성장세.pdf 37.7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8-09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대부분 수입산에 의존

주요 수요 채소는 ‘보르시’ 수프 에 들어가는 감자, 비트, 양파, 당근 등

 

러시아 주요 수요 채소는 감자, 토마토, 비트 등 ‘보르시 세트’ 채소

 

러시아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채소는 러시아인들이 즐겨 먹는 비트 수프인 보르시에 들어가는 이른바 '보르시 세트' 채소인 감자, 토마토, 양배추, 비트, 당근 등이다. 러시아 농업부에 따르면 올해 '보르시 세트' 채소 수확량이 증가해 감자 생산량은 최소 680만 톤(2021년 생산량은 660만 톤), 노지 재배 채소는 520만 톤(2021년 생산량은 510만 톤)으로 예측된다. 이같은 생산량은 가공식품용까지 포함해 러시아 국내 수요를 충분히 충족할 만한 양이다. 러시아의 채소 수요에 따른 채소 종자(HS Code 120991)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전체 종자시장 규모는 2020년 기준 약 14억 달러로 추산돼 유럽 최대 종자시장 중의 하나로 꼽힌다.

 

한편, 러시아는 최근 지정학적 긴장 상황에 따른 물류 제한, 환율 변동 등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파종 시기가 예년보다 늦어지고 다수의 업계 종사자와 생산자들이 지난해 말에서 2022년 2월 중순 사이에 필요한 종자를 이미 구입해 두었기 때문에 올해는 종자 수급에 큰 문제가 없어 보인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전한다. 러시아 ‘전국 육종가 및 종자 재배 종사자연합(National Union of Breeders and Seed Growers, NSSiS)’의 대표이사 아나톨리 미힐레프(Anatoly Mikhilev) 씨는 “올해 봄 파종 시기에 종자 공급 관련해서는 별 문제가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내년에 수확해야 할 수입 종자의 수급이 어떻게 될지는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이 밖에도 러시아 농업 재배 종사자들이 온실 용량의 부족, 유통센터와 보관시설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다고 한다.

 

<보르시 수프와 ‘보르시 세트’ 야채 >

 

     [자료: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러시아의 채소종자시장 현재는 수입산 종자가 주를 이뤄

 

2021년 러시아 채소 종자(HS Code 120991) 시장에서 수입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품종에 따라 20%에서 90%까지 다양하다. 러시아 고등경제대학(Higher School of Economics) 기술 이전센터가 2020년에 시행한 “Breeding 2.0” 연구에 따르면 2009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러시아 시장에서 수입산 종자의 비중이 크게 증가해 옥수수 종자의 수입 비중은 37%에서 58%로 해바라기 종자는 53%에서 73%, 사탕무는 50%에서 98%로 증가했다. 러시아 농업분야에서 온실재배산업은 역동적으로 성장하고 분야로 이 분야 종자의 수입 의존도는 거의 100%에 달한다. 러시아산 종자가 수입 종자에 비해 우위를 점하고 있는 유일한 분야는 밀로 전체 밀 종자 시장에서 차지하는 러시아 종자의 비중은 97%이다.

 

한편,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승인한 러시아 연방 식량안보 독트린(Doctrine of Food Security of the Russian Federation)에 따르면 러시아는 2030년까지 국내에서 파종하는 종자의 75%를 러시아산 종자로 채울 계획이며, 이를 위해서는 10년 내지 15년간 국가 지원과 기술 및 생산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2020년 팬데믹 시기에 공급이 감소했던 많은 다른 산업들과 달리 러시아의 채소 종자 수입량은 2019년에 비해 상당히 증가했다. 나아가 2022년 제재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03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제이시스메디칼_신제품 출시 효과는 3분기부터 1도토리 국준아
30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바이오분야_RNA 르네상스 7도토리 국준아
30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바이오분야_ 노바티스, 산도즈 100% 분사 발표 1도토리 민준석
300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축산물에 사용하는 동물용의약품의 위해평가 안전정보 공개 1도토리 장민환
299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마약류 ADHD치료제·진해제 안전사용 기준 제시 7도토리 장민환
298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22년 의약품 설계기반 품질고도화(QbD) 컨설팅 개시 1도토리 장민환
297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식약처, 코로나19 치료제 신속한 임상 진입 지원 1도토리 장민환
29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야] 바이오분야_K-생명공학 랩허브 구축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3도토리 오민아
295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대원제약_2분기 호실적, 하반기도 지속 전망 1도토리 박민혁
294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대원제약_2Q22 분석 1도토리 박민혁
293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동국제약_최대 매출 달성, but 눈높이는 낮춰야 하는 2분기 1도토리 강정훈
292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오리온_지배력 추세상승에 집중 3도토리 강정훈
291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에스티팜_더욱 기대되는 하반기 성장 3도토리 강정훈
290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한국콜마_국내와 HK이노엔 호실적 3도토리 노민우
289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한국콜마_2Q22 분석 1도토리 국준아
288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하이트진로_리오프닝 효과 톡톡 3도토리 이지훈
287 생명공학/바이오 [기업분석] 씨젠_확진자 감소 및 정부 방역정책 변화로 어닝 쇼크 3도토리 이지훈
286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분석] 의료분야_CDMO 연계 중재시술 의료기기 기술개발 및 시장분석 5도토리 박민혁
285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의료분야_2022년 카자흐스탄 보건산업 1도토리 박민혁
»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식품분야_러시아 채소 종자 시장, 꾸준히 성장세 1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