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중국농업전망(2021~2030)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40
용량 5.36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중국농업전망(2021_2030).pdf 5.3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3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80 

[ 목 차 ]

 

1. 쌀

1.1. 향후 10년 시장 전망

1.2. 불확실성 요인

 

2. 밀

2.1. 향후 10년 시장 전망

2.2. 불확실성 요인

 

3. 옥수수

3.1. 향후 10년 시장 전망

3.2. 불확실성 요인

 

4. 채소

4.1. 향후 10년 시장 전망

4.2. 불확실성 요인

 

5. 과일

5.1. 향후 10년 시장 전망

5.2. 불확실성 요인

 

6. 돼지고기

6.1. 향후 10년 시장 전망

6.2. 불확실성 요인 

 

7. 가금육

7.1. 향후 10년 시장 전망

7.2. 불확실성 요인

 

8. 쇠고기·양고기

8.1. 향후 10년 시장 전망

8.2. 불확실성 요인

 

9. 조란

9.1. 향후 10년 시장 전망

9.2. 불확실성 요인

 

10. 유제품

10.1. 향후 10년 시장 전망

10.2. 불확실성 요인 

 


 

1.1. 향후 10년 시장 전망 1.1.1. 생산 전망 ❍ 재배면적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중앙정부가 2021년도에 식량재배 농민에 대한 보조를 안정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벼 최저수매가격도 적절하게 인상해 벼 재배면적의 안정 확대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됨. - 중·장기적으로 보면 식량 공급 능력 제고라는 정책 방향이 변할 수 없고, 농지를 비농 업용으로 전환하는 것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등의 조치도 약화될 가능성이 적어 벼 재 배면적은 정책적인 지원에 힘입어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2021년도 벼 재배면적은 2020년에 비해 0.7% 증가한 3,027.2만 ha가 될 것으로 예 상되며, 2025년과 2030년에는 각각 3,059.2만 ha와 3,073.3만 ha로 증가할 것으 로 예상됨. - 향후 벼 생산구조(품종구조)가 더욱 개선되면서 고품질 벼의 재배면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단수는 안정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 벼 육종 수준의 향상과 함께 수확량이 많고 병충해 저항성이 강한 고품질 벼 품종의 보급 확대 및 친환경·고효율 재배 기술의 혁신 등으로 인해 벼 단수가 지속적으로 증 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ha당 벼 단수는 2020년에 비해 0.3% 증가한 7,065kg이 될 것으로 예상 되며, 2025년과 2030년에는 각각 7,125kg과 7,239kg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 생산량은 증가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 - 향후 10년 동안 정책적 지원하에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농지 비옥도 향상 및 기술 진 보에 따른 단수 증가로 벼 생산량은 증가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벼 생산량은 2020년 대비 0.9% 증가한 2억 1,387만 톤이 될 것으로 예상되 며, 2025년과 2030년에는 각각 2억 1,797만 톤, 2억 2,248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1.1.2. 소비 전망 ❍ 쌀 소비량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 - 향후 10년 동안 인구 증가, 사료용 및 가공용 소비 증가에 따라 쌀 소비량은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쌀 소비량은 2020년 대비 0.4% 증가한 1억 5,234만 톤, 2025년과 2030 년에는 각각 1억 5,369만 톤과 1억 5,504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됨. ❍ 식용 소비는 기본적으로 안정 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 1인당 쌀 식용 소비량 감소 요인이 있는 반면 인구 증가 요인도 있어 식용 수요량은 기본적으로 안정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 2021년도 쌀의 식용 소비량은 2020년 대비 0.2% 증가한 1억 1,177만 톤, 2025년과 2030년에는 각각 1억 1,156만 톤과 1억 1,153만 톤이 될 것으로 예상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3 생명공학/바이오 일본의 최근 유전자가위기술 산업화 동향 1도토리 국준아
62 생명공학/바이오 바이오헬스분야 글로벌 인허가 인력 10만명 1도토리 국준아
61 생명공학/바이오 글로벌 cmo 시장 동향과 기회 3도토리 국준아
60 생명공학/바이오 의료기기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에 대한 규정 1도토리 국준아
59 생명공학/바이오 K-디지털헬스케어 이해하기-병원정보시스템 편 3도토리 조정희
58 생명공학/바이오 캐나다 스마트팜 시장 동향 7도토리 조정희
57 생명공학/바이오 특정 질병만 진단하고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 찾아… 항체를 대체할 수 있는 펩타이드 개발 1도토리 국준아
56 생명공학/바이오 바이오헬스 산업의 넥스트 노멀 7도토리 조현상
55 생명공학/바이오 경제자유구역 핵심전략산업 선정 사례연구- 인천·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1도토리 조현상
54 생명공학/바이오 수소 제조부터 수송, 현지 판매까지... 한눈에 보는 일본 종합상사의 수소사업 1도토리 조현상
53 생명공학/바이오 중국 의료서비스산업의 동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52 생명공학/바이오 전 세계 바이오 에너지 생산에 대한 수자원 제약이 미치는 영향 추정 1도토리 조현상
51 생명공학/바이오 미국의 COVID-19 백신 기술개발 동향 및 전망 보고서 7도토리 조현상
50 생명공학/바이오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촉진을 위한 관련 법ㆍ제도 현황 및 시사점 7도토리 조정희
49 생명공학/바이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바이오 의료기기 및 진단장비 기술개발 동향 보고서 7도토리 조정희
48 생명공학/바이오 빅데이터 기반 응급·중환자실 관리 시스템 [KHIDI 디지털 헬스케어 리포트] 1도토리 조현상
47 생명공학/바이오 글로벌 유전체 이니셔티브 현황과 동의 모델 특징 [KHIDI 디지털 헬스케어 리포트] 1도토리 조현상
46 생명공학/바이오 의료 인공지능의 신뢰성과 안전성 [KHIDI 디지털 헬스케어 리포트] 1도토리 조현상
45 생명공학/바이오 인공지능 기반 인구집단 건강관리를 통한 만성질환 관리 [KHIDI 디지털 헬스케어 리포트] 1도토리 조현상
44 생명공학/바이오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은 세종대학교, 산업체와 함께 국내 오이 2품종의 유전체 정보를 해독했다.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