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동향] 요르단 라면 시장동향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8
용량 33.1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요르단 라면 시장동향.pdf 33.1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7-04 
출처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페이지 수 :

-최근 3년간 한국산 라면의 대요르단 수출 연평균 60% 증가

-신규 한국산 제품의 경우 소비자 대상 테스트 선행되야

 

요르단 인스턴트 라면 시장은 최근 들어 급성장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식사 수요가 늘어난 것이 라면 수입 증가의 한 원인으로 풀이된다. 이에 더해 요르단에서는 한국산 라면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현지 라면 시장 현황과 우리 기업의 진출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상품명 및 HS코드

 

라면은 HS코드 190230으로 분류되며, 영문 품목명은 Pasta, cooked or otherwise prepared이다.

 

 

시장동향 및 수입동향

 

요르단에는 라면을 생산하는 현지 제조업체는 없다. 또한 요르단 내 인스턴트 라면 판매량이나 기타 시장 현황과 관련한 별도의 자료는 없다. 요르단의 모든 인스턴트 라면 식품은 해외에서 수입되어 대형 슈퍼마켓, 식료품점에서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따라서 요르단 시장 규모는 수입시장의 규모와 거의 일치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아래는 최근 3년간 요르단으로의 수입규모이다.

 

<HS코드 190230 품목의 요르단 수입 추이(2019~2021)>

(단위: 천$, %)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3개년 간 요르단의 라면 식품 수입규모는 연평균 22%씩 늘어났다. 이러한 라면 품목의 수입 증가율은 여러 식품군 중에서도 최상위 수준이다.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접촉을 꺼리고 집에서 혼자 간편히 먹을 수 있는 인스턴트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도 라면 수입규모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산 라면의 수입 규모는 같은 기간에 연평균 60%가 늘어났다. 한국산 라면의 대요르단 수입 규모는 세계 4위이나 수입 증가율은 1위를 기록했다. 요르단 주재 한인 숫자가 최근 3개년 동안 큰 변화가 없었음을 고려하면, 요르단 현지 소비자들이 한국산 라면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며 수입규모도 늘어났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요르단 수입량의 약 17~20%는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등 주변국으로 재수출되는 물량이다. 무역중개지로서의 이점을 보유한 요르단에서는 식품을 포함한 여러 공산품들이 주변국으로 수출된다. 

 

< HS코드 190230 품목의 요르단 수출 추이(2019~2021)>

(단위: 천$, %)

 

KOTRA 암만 무역관은 요르단 식품 수입업체 Food Security Store의 Basim Hamad 운영총괄, Abu Odeh Bros의 Mohammad Abu Odeh 이사, Arab Food Industries의 Khalid Al Soub 매니저 등 3개 유통 바이어를 전화로 인터뷰하여 추가적인 라면 시장 동향에 대해 아래와 같이 알아보았다.

 

 ㅇ 최근 인스턴트 라면은 다른 종류의 음식과 달리 향긋한 맛과 저렴한 가격으로 요르단 소비자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요르단에서 가장 유명한 라면 브랜드는 인도네시아 브랜드인 Indomie로 모든 브랜드 중 가장 저렴하다. 일반적인 맛을 낸 인스턴트 라면의 가격은 단품 1개당 1~3달러 수준이다.

 ㅇ 한국산 라면은 Indomie, KOKA 등 유명 브랜드에 비해 100% 이상 비싸다. 또한 Indomie는 사우디아라비아에 3개의 생산 공장을 보유하고 그곳으로부터 요르단 수입을 진행하고 있어 배송 시간이 빠르다. 

 ㅇ 요르단인은 매운 맛을 좋아하지 않으며 순하거나 중간 정도의 매운 맛을 선호한다. 또한 치킨맛, 쇠고기맛, 야채맛 등에 대한 선호가 높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63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의료분야_필리핀 의료 및 건강식품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26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화장품분야_2022 미국 K-뷰티 현황과 장기적 성장을 위한 과제 1도토리 강정훈
261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화장품분야_이탈리아 그린뷰티 화장품 트렌드 1도토리 강정훈
26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화장품분야_중국 소비자 : 성장하는 바디케어시장 1도토리 강정훈
25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농업분야_중국 스마트 농업 시장 현황 1도토리 강정훈
258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식품분야_중국 유기농 식품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25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의학분야_방글라데시, 자가 모니터링 혈당 측정기 수요 증가세 1도토리 노민우
256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화장품분야_호주 색조 화장품 시장동향 1도토리 김민성
255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제약분야_헝가리 의약품 부족과 시장진입 기회 1도토리 이지훈
254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의료분야_이탈리아 의료기기 시장동향 1도토리 이지훈
253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화장품분야_스위스, 바디케어 산업동향 1도토리 한상윤
25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제약/바이오분야_디지털 치료제 기술과 시장동향 1도토리 장민환
25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바이오분야_디지털 치료기기 개발 동향 1도토리 장민환
25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바이오_글로벌 벤처투자가 집중된 6개 바이오 플랫폼 기술 1도토리 장민환
24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미얀마 모발케어 제품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248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페루 화장품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
24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폴란드 스킨케어 화장품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
246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미얀마 구강케어 제품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요르단 라면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244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멕시코 뷰티용품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