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가별 동향] 식품 분야_뉴질랜드 조미김 시장동향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48
용량 39.22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가별 동향] 식품 분야_뉴질랜드 조미김 시장동향.pdf 39.2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7-01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 명실상부한 K푸드 대표선수 조미김, 현지시장 수요 꾸준

- 현지인들에게 건강한 음식으로 인식되며 다이어트 스넥으로 인기

 

조미김 소비, 아시안 마켓을 넘어 메인 스트림으로

 

뉴질랜드에서도 최근 몇 년사이 우리 영화, 음악, 댄스 등 K컬쳐의 유행과 함께 김치, 라면과 같은 K푸드에 관심을 가진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특히 조미김은 아시안 마켓에서는 식사할 때 반찬으로, 또한 유러피언과 현지인 들에게는 다이어트 스넥으로도 입소문을 타고 있다. 무엇보다 조미김은 현지에서 건강한 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어서, 학생들에게 간식용 스낵으로 인기가 많다. 보통 우리나라에서는 반찬으로 소비되는 조미김이 이제 세계화 속에 저칼로리 웰빙 김스넥 (Seaweed Snack)으로 뉴질랜드에서 시장을 넓혀 가고 있다. 주먹밥이나 초밥에 사용되는 두꺼운 김을 주로 생산하는 일본과 스프나 탕에 들어가는 재료인 중국산 김과는 달리 우리 조미김은 스낵 형태로 판매하기 적당한 두께와 짭짤한 맛을 가지고 있어, 더 많은 시장수요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

 

시장규모 및 수입현황

 

뉴질랜드에는 김을 원료로 한 가공식품 생산공장이 없어, 관련 제품은 전량 해외수입에 의존 하고 있다. 2021년을 기준으로 뉴질랜드 김 관련제품 수입규모는 710만 미국달러로 2020년 506만 미국달러 대비 40% 성장했다. 전체 수입 물량중 한국으로부터의 수입규모는 172만 미국달러로 중국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7년 한국산 김관련 제품의 수입규모가 80만 미국달러 였던 것을 감안하면 5년 사이 교역량은 두배가 늘었다.

 

                                     <對세계 김관련 제품 수입 현황>

(단위: US$, %)

순위

교역국

수입액

점유율

증감율

2019

2020

2021

2019

2020

2021

 

전체

5,905,536

5,063,066

7,096,824

100.00

100.00

100.00

40.17

1

중국

2,324,480

1,813,621

3,025,083

39.36

35.82

42.63

66.80

2

한국

1,339,107

1,235,408

1,720,440

22.68

24.40

24.24

39.26

3

일본

1,323,014

1,149,333

1,565,421

22.40

22.70

22.06

36.20

4

아일랜드

257,577

259,217

262,579

4.36

5.12

3.70

1.30

5

호주

90,190

256,690

214,686

1.53

5.07

3.03

-16.36

6

영국

142,486

108,250

76,169

2.41

2.14

1.07

-29.64

7

미국

19,800

38,142

68,630

0.34

0.75

0.97

79.94

8

프랑스

758

55,479

60,666

0.01

1.10

0.85

9.35

9

대만

34,887

60,689

35,120

0.59

1.20

0.49

-42.13

10

스페인

277

2,896

17,866

0.00

0.06

0.25

516.82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43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중국 남성 뷰티시장 트렌드 1도토리 국준아
24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영국 의료기기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식품 분야_뉴질랜드 조미김 시장동향 1도토리 이지훈
24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식품 분야_FOODSTYLE KANSAI 2022를 통해 본 일본 식품시장 1도토리 민준석
23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의료분야_인도네시아 의료 전시회(HOSPEX)를 통해 본 인도네시아 의료 산업 1도토리 황세영
238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식품 분야_2022년 중국 수입식품 관련 新 정책 시행 1도토리 노민우
23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의료기기 분야_2022년 중국 남부 국제 치과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236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식품 분야_캐나다로 가공식품 수출 시 유의사항 1도토리 노민우
235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식품분야_영국, 식음료전시회로 본 식품 트렌드 1도토리 김민성
234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화장품 분야_일본 셀프 에스테틱 업계에서 부는 K-뷰티 열풍 1도토리 노민우
23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음식료·유통분야_2022년 하반기 전망 1도토리 노민우
23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제약분야_P_CAB기전 치료제들의 시장 확대에 주목 1도토리 노민우
23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베트남 정부의 디지털 혁신 우선분야인 농업분야 진출 전략 1도토리 노민우
23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글로벌 곡물 가격 급등세! 중국의 식량안보 현황 1도토리 강정훈
22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이집트, 아프리카 헬스엑스콘 개최 1도토리 장민환
228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수요와 공급 불균형 심화로 상승하는 대두 가격 1도토리 장민환
22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동향] 2022 호주 굿 푸드 & 와인 전시회 참관기 1도토리 노민우
226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이탈리아 진단키트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225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미국 임플란트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
224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대만 의약품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