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제약분야_성장전략 및 투자관점 변환 분석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44
용량 5.04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제약분야_성장전략 및 투자관점 변환 분석.pdf 5.0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5-30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74 

< 목 차 >

제 1장. 투자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
제 2장. 2022년 전략, 전력 재정비
제 3장. 차별화되는 성장 전략
제 4장. 지속가능한 성장성에 대한 프리미엄도 지속된다 
제 5장. 기업분석

 


 

제약업종에 대한 투자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슈에 초점을 둔 단기적 접근보다 국내 제약 기업들이 진화하는 방향과 동행하는 중장기적 시각 이 필요한 때이다. 지난 10년간 국내 상위 제약사들은 두 가지 성장 축인 ‘신약 개발’과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 고군분투하였다. 투자비가 증가하 면서 높은 실적 변동성을 보였고, 여러가지 이슈에 주가가 일희일비하였 다. 우여곡절 끝에 국내 상위 제약사들 중 ‘몇몇 기업들’은 그들이 선택한 전략의 성공 가능성을 상당히 높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 결과로 지속가능 한 성장이 예상되는 제약사들에 대한 밸류이에션 프리미엄은 정당화될 전망이다. 제약업종에 대한 비중확대를 권고한다. 2022~2023 년은 ‘실현 가능성’에 기반한 투자 전략이 유효할 전망이다. 실적 개선이 예상되고 투자 성과가 가시화 될 제약사에 투자하는 전략을 권유한다. 2024 년으로 예상되는 빅 성장 사이클에 진입하기 위해 2022~2023 년은 제약사들이 전략과 전력을 재정비해야 하는 기간이다. 파이프라인 강화를 위한 과감한 투자는 이제 효율적인 투자로 전환하여 야 하고, 해외 시장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경험이 부족하여 반복했던 실패 들을 교훈 삼아 글로벌 기준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시켜야 한다. 2024 년부터 상위 제약사들은 숫자로 확인되는 성장 사이클 진입할 전망 이다. 각 제약사들(대웅제약, 유한양행, 한미약품, 녹십자)의 대표 프로젝 트들이 출시 5년 전후(2029년 전후)로 최소 매출액 1,000억원, 영업이익 300 억원 이상의 이익을 창출하여 실적으로 반영될 것이다. 2025 년까지 연평균 15% 이상의 이익 성장이 가능할 전망이다. Top picks 으로 대웅제약(069620.KS., TP 230,000 원)과 유한양행 (000100, KS., TP 80,000 원)을 추천한다. 대웅제약은 유망 신제품이 출시 되고 수출이 증가하면서 성장 사이클 초입에 진입하고 있다. 유한양행은 레이저티닙의 글로벌 판매를 토대로 선순환 구조에 진입할 전망이다.I. 투자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 1. 진화하는 방향을 보라 제약업종에 대한 투자 관점은 변화해야 한다. 이슈에 초점을 둔 단기적 접근보다 제약사들의 진화 하는 방향과 동행하는 중장기적 시각이 필요하다. 국내 제약사들은 지난 10 년간 신약 파이프라인 을 강화하기 위해 매출액 대비 10% 내외의 연구개발에 투자하면서 실적에 큰 변동을 보였다. 당사 는 국내 상위 제약 기업들의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 전략이 상당 부분 성공했다고 판단한다. 다양 해지고 강화된 신약 파이프라인을 통해 제약기업들의 지속가능한 성장이 가능해지고 있기 때문이 다. 10 년 먹거리가 확보되고 있다. 2015 년부터 다국적 제약사로 총 계약금액 기준 1 조원 내외의 기술 수출이 시작되고, 2020 년부터 는 COVID-19 팬더믹으로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신약 개발에 대한 기 대감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치솟았고 관련 제약사들의 주가는 널뛰었다. 그러나 이 모든 현상은 신약 개발에 대한 일방적인 기대감이 극단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었다고 판단한다. 이제는 일방적 인 기대감보다 실현 가능성이 있는 현실감에 무게를 두어야 할 시기이다. 2022~2023년은 제약사들이 그들이 선택한 성장 전략을 점검하고 전력을 가다듬는 시기이다. 글로 벌 제약바이오 산업 지형이 그 어느 때보다 급변하고 있고, 기업간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지난 10 년간 세워온 생존 전략이 실적으로 가시화 될 시기가 다가오고 있는 시점에 고삐를 늦추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우리 투자자들은 제약사들의 단기적, 중장기적 성장 전략을 이해하여야 한다. 기업들 의 전략과 전력을 이해하면 투자유망 종목을 선택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2024 년부터 상위 제약 사들은 숫자로 확인되는 성장 사이클 진입할 전망이다.지금이 바로 제약바이오 업종을 좀 더 진지하게 살펴볼 시기이다. 글로벌 경기 둔화와 맞물려 국내 바이오 기업들의 주가는 한없이 하락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익 증가가 예상되거나 신약 개 발 성과가 다가오고 있는 기업들은 연초 이후 주가가 상대적으로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옥석 은 늘 눈에 띄기 마련이다. 글로벌 제약바이오기업들도 코로나 팬더믹 후반부터 부진한 흐름을 보이는 듯 했으나 2분기부터는 시장 대비 아웃퍼폼하는 양상이다. 특히 실적에 기반한 글로벌 제약사들과 기대감이 주가에 많이 반영된 바이오텍들과의 주가 흐름은 크게 차별화되고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의 상황에서도 실적을 기반해 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제약사들의 주가 흐름은 견조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03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호주 스낵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20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제약/바이오분야_ NK세포치료제 및 AI 신약개발 플랫폼 9도토리 김민성
20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화장품/의류 및 자동차분야_2022 하반기 전망분석 1도토리 김민성
20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중국 치아 교정기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19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베트남 과일시장 규모 및 한국 과일 수입 동향 1도토리 강정훈
198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베트남 과자(스낵) 시장 동향 1도토리 강정훈
19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에콰도르, 천연 원료 활용 에너지 드링크 인기 1도토리 강정훈
196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중국, 이색 아이스크림 열풍 1도토리 오민아
195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베트남 의료용 마스크 시장 동향 1도토리 이지훈
194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남아공 식품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는 가공 1도토리 이지훈
193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독일 코로나19 신속항원키트 동향 1도토리 이지훈
192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스페인 화장품 시장동향 1도토리 노민우
191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 시장동향] 스페인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동향 1도토리 노민우
190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미얀마 팜유(Palm Oil) 시장동향 1도토리 안소영
189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인도네시아의 핀테크 트렌드 1도토리 안소영
188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내 손 안의 만능의사, 인도네시아 원격진료 서비스 1도토리 안소영
187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인도네시아 라면 시장동향 1도토리 안소영
186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인도 베이커리 시장의 성장과 동향 1도토리 강정훈
185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미국 의료용 주삿바늘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
184 생명공학/바이오 [국가별동향] 인도네시아 김 시장동향 1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