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동향]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개선 방안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50
용량 2.0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동향]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개선 방안.pdf 2.0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4-26 
출처 :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12 

바이오기술 혁신이 가속화되고 글로벌 바이오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면서, 바이오산업이 사회 경제적 효과를 본격적으로 창출하는 바이오경제 시대1)가 시작되고 있다. 바이오경제를 구성하는 바이오산업은 크게 Red바이오산업(보건·의료 분 야), Green바이오산업(식량·농축수산식품 분야), White바이오산업(환경·에너지 분야)으로 구분된 다. 이들 3대 바이오산업은 바이오기술을 활용하 여 인구 증가 및 고령화, 기후변화와 자원고갈 등 전 세계가 당면하고 있는 사회문제에 대응하고 지 속가능한 경제 발전을 이룰 수 있는 핵심산업이 며, 세계 각국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주목받고 있 다. 바이오기술 혁신과 바이오산업에서 창출되는 1) ‘바이오기술에 의한 새로운 발견들이 관련 제품의 보급이나 서비스의 향 상을 통하여 인류에 편익을 가져다주는 다양한 경제활동을 포괄’하는 바 이오경제의 사회적 파급효과는 2030년까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다. OECD(2009), “The bioeconomy to 2030”. 바이오경제의 개념은 과 같다. 이러한 바이오경제시대의 도래를 이끈 환경에 는 4차 산업혁명, 고령화 추세 등 여러 가지 요인 이 다각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다양한 환경 요인 중에서도 공급 측면의 기술혁신과 수요 측면의 시 장 확대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우선, 바이오경제 공급 환경에서는 무엇보다 도 바이오기술 혁신의 영향이 매우 크다. 다양 한 바이오기술 중에서도 차세대 유전체 분석기술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이 급속 히 발전하면서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체의 유 전체를 빠르고 값싸게 읽어낼 수 있게 되었다. 이 렇게 생성된 바이오정보는 유형(有形)의 바이오자 원인 생물체를 디지털화하고 바이오산업이 디지 털 전환되는 기반을 조성하였다. 또한 4차 산업혁 명의 주요 기술인 인공지능기술은 바이오정보를 활용하여 혁신적인 신약과 새로운 의료서비스를 1.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개선 방안 바이오기술과 바이오산업에서 창출되는 바이오경제 자료: 저자 작성.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개선 방안 66 K I E T 산 업 경 제 개발하면서 보건의료체계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즉, 바이오기술 혁신으로 대량 생산된 바이오정 보가 인공지능기술 등 정보통신기술과 융합되는 바이오·디지털 융합 혁신이 바이오산업 생태계 전체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바이오경제에 대한 수요 또한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대표적인 수요 요인은, 전 세계적 인 인구 고령화와 보건의료 수요의 다양성 확대 이다. 특히 인구 고령화로 인한 보건의료 비용의 증가는 세계 각국이 당면한 문제이며, 한국은 세 계 최고 속도인 고령화와 국가 의료비 부담 증가2) 에 보다 적극적·효율적으로 대응하여야 할 시점 이다. 항노화와 맞춤형 보건의료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면서 관련 세계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며, 2019년 이후 코로나19 확산으로 바이오경제, 특 히 보건의료 분야의 글로벌 수요가 빠르게 증가 2) 한국의 GDP 대비 의료비 비중은 2020년 8.4%이며, 2010~2020년 간 연평균 증가율(CAGR) 3.6%로 OECD 국가 중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이 고 있다. https://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SHA (검색일: 2022. 2. 7). 하고 있다. 그 결과, 제조업 관점의 세계 보건의 료산업 규모는 2020년 기준 2조 달러 이상이며 2014~2020년에 연평균 5.6% 성장하였다. 특히 디지털기술이 융합된 디지털헬스 분야와 체외진 단 분야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는데, 이러한 성장세 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2021년 이후 더욱 강 화되었다( 참고). 바이오경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보건 의료 분야(57%)뿐 아니라 식량·농축수산식품 분 야(13%), 환경·에너지 분야(13%), 서비스 분야 (17%) 등 바이오경제 전 분야에서 성장세가 예상 되면서, 세계 바이오산업 시장은 2021~2027년 에 연평균 7.7% 확대될 전망이다.3) 이러한 성장 세는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전 세계가 당면하 고 있는 감염병, 고령화, 식량안보와 기후변화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비용이 크 게 증가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바이오산업의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63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국내외 제약바이오기업의 ESG 대응 현황 및 시사점 3도토리 장민환
162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국가별 바이오안전성 동향_미국 2022 7도토리 안소영
161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러-우크라 전쟁이 GMO 곡물 교역에 미치는 영향.pdf 1도토리 안소영
160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산업용 LMO의 위해성평가기관 운영 제도 개선방안 1도토리 안소영
15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주요 밀가루 가공식품 수출입 동향(베이커리류 및 면류 중심) 3도토리 조현상
15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2021년 의약외품 허가보고서 3도토리 조정희
157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합성생물학 적용 산물에 대한 규제와 관리 정책 전망보고서 3도토리 조정희
15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우리에게도 보건의료 난제 해결을 위한 ARPA-H가 필요한가 1도토리 조정희
15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재생의료 산업 및 임상 동향 -첨단바이오의약품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15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 이용실태 및 분석 7도토리 조현상
15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일본 녹차 산업 동향 및 시사점 7도토리 조현상
152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곡물 시장 중심의 확률적 농업정책분석 모형 개발과 운영 7도토리 조현상
151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인도네시아 농업 및 농식품 교역 동향 7도토리 조현상
150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포용성장 및 지속가능성을 위한 식품정책 대응 과제 7도토리 최민기
149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체계 개선 방안 9도토리 이지훈
148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디지털 치료제의 특허법적 보호 동향 및 과제 7도토리 이지훈
»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개선 방안 1도토리 민준석
146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바이오 헬스 정책 및 투자 동향 5도토리 장민환
14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0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주요 결과 1도토리 황세영
14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주요국의 새로운 의료기기 관리와 분류체계 조사 연구 7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