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연구동향]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위험관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지훈 조회수 35
용량 870.9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연구동향]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위험관리.pdf 870.9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7-1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10 

● 본고에서는 2020년 KISDI에서 수행한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위험관리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소개함 ● 해당 보고서에서는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위험관리를 위해 정보주체 관점에서 데이터 위험을 정량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데이터 위험진단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금융/ 의료/유통분야 데이터 위험을 진단하였음 ● 분야별 데이터 위험수준은 국민, 산업 전문가, 법제도 전문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측정하였으며, 기회와 위험을 고려한 균형있는 정책설계를 위해 개인정보 활용이 가져올 혜택과 위험, 분야별 데이터의 수집/개방·공유/활용수준, 데이터 위험/위험관리 수준 등을 함께 조사하였음 ● 이를 통해 1) 국민들의 데이터 위험인식 현황을 파악하고, 2) 국민-전문가, 산업전문가-법제도 전문가 사이의 데이터 위험 인식차이를 분석하였으며, 3) 분야별 데이터 위험-관리수준을 진단 하고 고위험군/중점관리 영역의 데이터 위험유형을 파악하여 4) 향후 정부의 데이터 위험관리 정책방향을 제시하였음 요 약 2 연구동향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위험관리 Perspectives 01 개 요 ● 본 고에서는 KISDI에서 2020년에 수행한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위험관리 보고서」*’의 주요 연구내용을 공유하고자 함 * 이경선 외(2020),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위험관리 보고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14 ● (연구목적)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위한 위험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수행 - 데이터 위험의 속성을 이해하고 데이터 위험을 정량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 위험진단 프레임워크 제시 - 데이터 위험진단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주요 분야의 데이터 위험수준을 측정하고 안전한 데이터 활용을 위한 정부의 선제적 대응방안을 모색 ● (연구범위) 정보주체(처리되는 정보에 의하여 알아볼 수 있는 사람으로서 그 정보의 주체가 되는 사람) 관점에서 개인정보의 활용이 정보주체에게 가져올 위험을 식별하고 금융, 의료, 유통 분야에 대해 데이터 위험 및 관리수준을 진단하여 대응방안을 모색 I 표 1 I 데이터 위험진단 및 분석 과정 사전조사 ▶ 문헌조사, 이해관계자 인터뷰 등을 통해 데이터 개방 및 활용에 따른 데이터 위험의 속성을 이해 위험식별 ▶ 정보주체의 관점에서 데이터 관련 위험을 포괄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데이터 위험진단 프레임워크 제시 위험측정 ▶ 데이터 위험진단 프레임워크에서 식별한 위험유형의 데이터 위험수준을 국민, 전문가 대상 설문을 통해 측정하고 분석 위험진단 ▶ 데이터 위험 및 관리수준에 기반하여 민간, 정부의 대응이 시급한 고위험군, 중점관리 영역을 진단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02 데이터 위험진단 프레임워크 ● 데이터 위험의 속성을 불투명성, 불확실성, 불공정성으로 구분하고 미국 국가표준기술연구소 (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의 프라이버시 프레임워크1 를 참조하여 정보주체 관점의 데이터 위험을 9가지로 유형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189 성장동력산업 중국 14차 5개년 지능형제조발전규획 1도토리 노민우
2188 성장동력산업 중국 14차 5개년 원자재산업발전규획 1도토리 국준아
2187 성장동력산업 인도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 생태계 개발 프로그램 1도토리 국준아
2186 성장동력산업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국경을 초월한 정부 혁신 달성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3도토리 정한솔
2185 성장동력산업 반도체 부족 사태 현황 정보요청 결과 1도토리 정한솔
2184 성장동력산업 ’22 다보스 어젠다 주요 쟁점 및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2183 성장동력산업 자동차산업 탄소중립 대응 동향 1도토리 노민우
2182 성장동력산업 순환경제 시대 재활용이 소재산업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노민우
2181 성장동력산업 첨단제조 혁신을 통한 기업 ESG 지원 방안 1도토리 국준아
2180 성장동력산업 ’22년 주목해야 할 12가지 기술 동향 1도토리 국준아
2179 성장동력산업 (산업·기술동향) 글로벌 공급망 과제 및 대응 방향성 1도토리 국준아
2178 성장동력산업 EU 회원국의 글로벌 가치사슬 관련 정책과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2177 성장동력산업 '22년 아시아 지역 경제 전망 1도토리 노민우
2176 성장동력산업 각국 투자심사제도 동향 1도토리 정한솔
2175 성장동력산업 우주항공 분야 첨단 제조혁신 연구소 출범 필요성 고찰 1도토리 정한솔
2174 성장동력산업 미국 핵심광물 전략 방향성 1도토리 정한솔
2173 성장동력산업 녹색기술 경쟁과 미-중 기후 협력 1도토리 국준아
2172 성장동력산업 EU 소셜 택소노미 초안 개괄 1도토리 국준아
2171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국경조정제도 개선 방향성 제언 1도토리 노민우
2170 성장동력산업 프랑스 중견기업 국가전략 업데이트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