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우주분야 AI 국가연구개발사업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47
용량 2.1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우주분야 AI 국가연구개발사업 동향.pdf 2.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7-15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개 요 ◈ 우주개발에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는 수단으로 AI가 주목받고 있음 ▶ 새로운 행성의 발견, 극한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부품의 개발, 인공위성 정보의 효과적 분석 등을 위해 AI가 주목받고 있음 ▶ 민간이 주도하는 우주개발을 의미하는 뉴스페이스는 우주개발에 AI의 활용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 ◈ 우리 정부에서 발표하고 있는 우주정책에서는 AI를 2021년부터 위성영상분석에 계획하고 있어, 향후 우주개발정책에 AI활용을 다방면,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 ▶ 초소형위성기술은 우주 관련 데이터 분석의 필요성을 증대시킬 것이며, 우주탐사기술의 발전은 극한환경에 필요한 부품, 우주탐사체 적용 등 우주분야에 AI 적용 요구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 ◈ 본 고에서는 AI기술을 중심으로 우주개발에 적용한 사례를 살펴보고, 한국의 국가연구개발 사업을 분석함으로써 AI를 활용한 국내우주개발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함 점을 도출하고자 함 주요 내용 1. AI의 우주적용 사례 ◈ 우주관측 ▶ 우주관측분야는 주로 망원경에서 수집한 자료를 AI를 통해 판독,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은하, 행성 등을 발견하는데 이용 - (영국) NASA의 TESS 망원경에서 수집한 관측자료에 기초하여 밝기 변화에 대한 AI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그 동안 발견하지 못했던 50개의 행성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함 (Amstrong et. al., 2020) - (일본) 일본 국립천문대(NAOJ)는 스바루(すばる) 적외선 망원경 우주영상에 AI를 적용하고 있으며, 56만개의 은하를 발견한 것으로 언급(조병만, 2021) 2 AI TREND WATCH - (한국) 국제 공동 연구진은 약 1,900개의 외부 은하 정보에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을 적용해 우리은하로부터 1억 광년 내에 펼쳐져 있는 암흑물질의 밀도 분포를 예측(한국천문연구원, 2021) ◈ 인공위성 및 로켓 ▶ 인공위성의 영상정보를 분석할 뿐만 아니라 인공위성에 AI를 탑재하여 지구환경 관측에 이용 - (NASA) 2003년, 자동화우주연구시스템(autonomous sciencecraft experiment·ASE)을 통해 EO-1(Earth Observing-1)인공위성의 정보를 AI를 통해 분석하는 것이 목적인 사업으로 지구의 기상, 지질현상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였음(윤희은, 2018) - (인텔) 인텔은 530km 상공 태양동조궤도에서 시속 2만 7,500km로 비행하는 AI 탑재 큐브위성 ‘파이샛-1’(PhiSat-1)을 2020년 9월에 발사하였으며, AI는 인공위성이 촬영한 사진 중 쓸만한 사진을 골라내는 역할을 담당(류준영, 2020) - (Relativity Space) AI와 ML SW를 결합함으로써 로켓 제조 과정의 모든 측면을 최적화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2019년에 실시간 제어기능 AI 센서 특허등록(문재호, 2020) - (한국) 인공위성체계종합 기업인 쎄트렉아이는 AI를 이용한 인공위성영상 분석 전문기업인 에스아이에이를 자회사로 설립하여 국방과 감시정찰 분야에 진출(이현주, 2019) [그림 1] AI 탑재 인공위성(좌), AI로 분석한 암흑물질(우) 자료 : 류준영(2020), 한국천문연구원(2021) ◈ 로봇 및 기타 ▶ NASA는 AI 로봇인 사이먼(CIMON)을 우주정거장에서 실험 - 2018년, 우주정거장(ISS)에서 스스로 이동하는 약 5kg의 로봇인 사이먼을 시험운영(최성원, 2018) - ‌ ‌ 2024년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를 위해 우주복을 AI를 이용하여 개발(박혜섭, 2020)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149 성장동력산업 시계열 데이터 결측치 처리 기술 동향 1도토리 조정희
2148 성장동력산업 경계없는 세상과 사용자 인증기술 동향 1도토리 조정희
2147 성장동력산업 해외 우정기관의 친환경 차량 운영 동향 1도토리 나혜선
2146 성장동력산업 다이아몬드 모형을 적용한 우리나라 ICT 소재, 부품, 장비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향 1도토리 나혜선
2145 성장동력산업 산업용 계측 기술 동향 1도토리 나혜선
2144 성장동력산업 실내 가상 경기를 위한 햅틱 AR 스포츠 기술 1도토리 류지원
2143 성장동력산업 MBMS 기반 지상파 방송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2142 성장동력산업 위성항법 시스템 및 기술 동향 1도토리 조정희
2141 성장동력산업 미래 항공기상서비스 기술개발 전략과 NARAE-Weather 실현 1도토리 조정희
2140 성장동력산업 초실감/고정밀 서비스를 위한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동향 1도토리 조정희
2139 성장동력산업 철도전용 무선통신 기술 동향 1도토리 나혜선
2138 성장동력산업 5G 기반 무인 비행체 운용 표준화 동향 1도토리 나혜선
2137 성장동력산업 6G 모바일 코어 네트워크 기술 동향 및 연구 방향 1도토리 류지원
2136 성장동력산업 산업용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2135 성장동력산업 딥러닝 기반 항공안전 이상치 탐지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2134 성장동력산업 과학치안 기반 선제 대응 치안서비스 기술 동향 1도토리 류지원
2133 성장동력산업 국내 스마트양식 기술 동향 1도토리 조정희
2132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모바일 인프라 공유 현황 1도토리 조정희
2131 성장동력산업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지능화 융합 서비스 1도토리 박민혁
2130 성장동력산업 하드웨어 트로이목마 탐지기술 동향 1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