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국내 지역발전지수의 현황과 시사점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황세영 | 조회수 | 40 | |
---|---|---|---|---|---|---|
용량 | 1.79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산업분석] 국내 지역발전지수의 현황과 시사점.pdf | 1.79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17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31 |
지역발전지수(RDI) 개요
지역발전지수(Regional Development Index: RDI)는 지역의 발전 수준과 잠재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 체계
지역발전지수(RDI)는 삶의 영역을 삶터(생활서비스), 일터(지역경제력), 쉼터(삶의 여유공간), 공동체의 터(주민활력)로 구분하고,
지역의 잠재력을 가늠해 볼 수 있도록 각 영역에서 지역의 발전 수준을 산출함.
지역의 삶의 질, 발전 수준, 잠재력 등을 객관적인 통계 자료로 분석하여, 지역이 자체적으로 약점을 보완하고 강점을 강화하여
지속가능하고 살기 좋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근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음.
2007~2008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처음 개발하여 2009년 언론 기획 기사 형식으로 발표되었으며,
2012년부터 격년 단위로 산출하여 발표하고 있음.
2024 지역발전지수의 특징
(생활서비스) 인구소멸위기 지역일수록 생활서비스 지수 하위, 인구가 성장하는 지역일수록 지수 상위 삶터의 수준을 보여주는
생활서비스 지수는 주택노후화, 식수보급 및 하수처리 현대화를 나타내는 기초생활 여건, 공교육과 사교육의 수준을 보여주는
교육 여건, 의료 및 복지 수준을 보여주는 보건·복지 여건 3개 부문 8개 지표로 구성됨.
생활서비스 지수 상위 지역은 수도권 시군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비수도권에서는 전주시, 목포시, 양산시, 김해시, 천안시, 익산시,
진주시, 창원시 등 지방 중심도시들이 상위에 포진하고 있음.
상위 50위(상위 30%)에는 일반시 21개 중 17개, 도농복합시 56개 중 28개, 군이 82개 중 5개에 불과해 생활서비스의 도농 간
격차가 아직도 큰 상황임.
상위 50위권에 군 지역이 5개소(화순군, 기장군, 무안군, 완주군, 달성군)가 포함되었는데, 2022년 2개소 (화순군, 기장군)에서
3개소 증가함.
- 화순군과 기장군 외에 신규로 50위에 포진한 무안군은 인구 증가에 따라 학원, 병원, 보육시설, 노인복지시설이 늘어난 결과임.
- 완주군의 경우는 노후주택 비율이 감소했고, 상하수도 보급률이 증가했으며, 학원 및 노인복지시설이 늘어나 지수 값이 상승하였음.
- 달성군은 노후주택 비율이 낮고, 보육시설, 노인복지시설이 늘어나 50위 내로 진입함.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