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25년 국내 농업의 동향 및 전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황세영 | 조회수 | 35 | |
---|---|---|---|---|---|---|
용량 | 13.47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산업분석] 25년 국내 농업의 동향 및 전망.pdf | 13.47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16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553 |
1) 대외 여건과 거시경제 전망
2025년 세계 경제성장률은 미국의 정책 방향 전환과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불확실성 및 통상마찰 확대 가능성으로 인해 전년 대비 0.2%p 감소한 2.5%로 전망된다.
2024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반도체 생산과 수출이 높은 수준을 지속하였으며, 관련 설비투자도 증가세를 이어가나,
건설업의 부진이 지속되면서 경기회복이 제약되어 2.1~2.2%로 추정된다.
2025년 한국 경제성장률은 고물가·고금리 영향이 희석되어 소비를 중심으로 성장세를 나타내나, 미국 통상정책 전환,
주력업종 경쟁 심화 등의 세계 경제 불확실성으로 성장폭이 제한됨에 따라 1.8~1.9%로 전망된다.
- 2025년 국제 유가는 원유 생산 증가세가 원유 수요 증가세를 상회하여 전년 대비 9.7%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25년 원/달러 환율은 달러화의 흐름 반영, 미국 고용 호조, 트럼프 트레이드 등의 영향으로 달러 강세가 예상되어
전년 대비 2.1%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환율의 변동성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2) 한국 농업 동향과 전망
2024년 농업생산액은 전년 대비 1.4% 증가한 60.1조 원으로 추정된다.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3.3% 증가한 36.2조 원,
축산업은 1.5% 감소한 23.9조 원으로 추정된다. 2025년 농업생산액은 전년 대비 0.1% 증가한 60.1조 원으로 전망된다.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나, 평년 대비 11.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축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0.7%, 평년 대비 4.2% 증가한 24.0조 원으로 전망된다.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